[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자로 소주(蘇州)인 중국 장쑤성의 도시, rd1=쑤저우시(장쑤성))] [include(틀:안후이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000,#ddd 안후이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宿州, ruby=Sùzhōu)][ruby(市, ruby=Shì)]}}}'''[br]쑤저우시 | Suzhou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宿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안후이성]] 쑤저우시 융차오구[br]인허이루506호[br]安徽省宿州市埇桥区银河一路506号 || ||<-2> '''{{{#ffff00 지역}}}''' || [[화둥]] || ||<-2> '''{{{#ffff00 면적}}}''' || 9,939.8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구 4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5,324,476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536명/km² || ||<-2> '''{{{#ffff00 서기}}}''' || 양쥔(杨军) || ||<-2> '''{{{#ffff00 시장}}}''' || 왕치룽(王启荣)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306억 2,326만 ^^(2020)^^ || || '''{{{#ffff00 1인당}}}''' || $5,751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월계화 || || '''{{{#ffff00 시목}}}''' || [[은행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皖L'''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宿'''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4'''13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557''' || ||<-2> '''{{{#ffff00 우편번호}}}''' || '''234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AH-13''' ||}}}}}}}}} || ||<-3> [[https://www.ahsz.gov.cn/|홈페이지]] || [[파일:숙주 중국.jpg|width=480]] 퉈허 강(沱河)과 시가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안후이성]] 북부의 지급시. [[쉬저우]]에서 서남쪽으로 50km, [[허페이]]에서 북쪽으로 150km 떨어진 평지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54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170만명이 거주한다. 20세기 초엽 미국과 프랑스 선교사들의 노력으로 중국의 다른 지역들보다 기독교세가 있는 편이다. == 지명 == 동남쪽으로 350km 떨어져 있는 [[장쑤성]]의 유명한 [[쑤저우시(장쑤성)|쑤저우]]와 한자가 다르다. 다만 영어나 한어병음 철자는 둘다 Suzhou로 같은데, 소주는 1성이고 숙주는 4성이다. 표기가 통일되지 않아 기자들도 쓰저우, 쑤조우, 수저우 등의 표기를 남발한다. 여담으로, 중국 내에서도 쑤저우 하면 성조 상관없이 장쑤성의 쑤저우를 먼저 생각하기 때문에, 이 쑤저우를 언급할 때에는 안후이 쑤저우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중국어]] 자체가 지역마다 판이하게 다른 식으로 발음되는 언어이고, [[표준중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중국인]]도 가끔씩 성조가 틀리는 경우가 많아 이 경우에도 그냥 실수로 발음이 틀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 역사 == [[파일:중국 숙주 쑤저우.png|width=720]] 중세 숙주성 유지. 지금은 해자만 남아있다 고대에는 서주 패군의 부리현 (符離縣)이었다. [[진승·오광의 난]]이 시작된 곳이고, [[초한지]]의 대미를 장식하는 [[해하 전투]]의 장이기도 하였다. [[위나라]] 시기에는 예주 초군에 속하였다. [[수나라]] 시기인 605년 [[대운하]]가 지나가게 되며 번영하였고, 당대인 809년에 현 지명의 유래인 숙주 (宿州)의 치소가 되었다. [[금나라]]와 [[남송]] 간의 주요 전장이었고, [[개희북벌]] 당시 일시적으로 송이 수복하기도 한다. 1906년 철도역이 개업하였고, 1912년 숙주는 쑤현 (宿縣)으로 개칭되었다. [[국공내전]] 시기에는 화이허 전역의 주요 전장이었다. 1979년 현급시 쑤저우가 설치되었고, 1998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2001년에는 경제기술개발구로 지정되었다. [[시진핑]]의 후계자 중 한명으로 거론되는 [[왕양]] 국무원 부총리가 이곳 출신이다. == 경제 == [[알리바바]]의 숸시 공장이 위치하며, 각종 제조업이 발달하였다. 인근 토지의 농산물이 집산되며, 북쪽 구릉지대의 석탄과 황커우 유전지대의 석유가 매장되어 있다. 화학 물질로 인한 오염이 심하여 2010년의 경우 융차오구에서만 한해에 2,000명이 넘는 이가 암으로 사망하였다. 농업에 2015년 ITF쑤저우챌린저 테니스 국제 대회가 열렸다. [[항우]]의 부인인 [[우미인]]의 무덤이 주요 관광지이다. == 교통 == 쑤저우둥역에는 [[지난]]-[[벙부]] 고속철이 지나고,[* [[베이징]], [[상하이]], [[푸저우시|푸저우]] 방면으로 갈 수 있다.] 당샨난역에는 [[정저우]]-숙주 방면 일반 철도가 지난다. [[롄윈강]], [[란저우]] 방면으로도 갈 수 있다. 그외에 [[화이안]], [[화이베이]]와도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분류:안후이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