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绥芬河站}}}||<:>{{{+1 Suifenhe Railway Station}}}||<:>{{{+1 бограничкая}}}|| ||<-6><)>[[중국 국철|[[파일:chinarailways_white.png|height=24&align=left]]]][[중국 국철|{{{#FFFFFF '''중국 국철'''}}}]]|| ||<-6><(>{{{#ffffff,#000000 {{{+2 쑤이펀허역}}}[br]{{{+1 绥芬河站}}}}}}|| ||<:><-2>[[하얼빈역|{{{#!html
하얼빈 방면}}}]][[쑤이양역|쑤이양]][br]← 21.0 km||<-2><:>[[빈쑤이 철도|{{{#!html
빈쑤이 철도}}}]]||<:><-2>{{{#gray 시종착}}}|| ||<-6><:>[[러시아 철도|{{{#ffffff '''러시아 철도'''}}}]]|| ||<:><-2>{{{#gray 시종착}}}||<-2><:>[[쑤이펀허-그라데코보철도|{{{#!html
<-2> 쑤이펀허-
그라데코보철도
}}}]]||<:><-2>[[그라데코보역|{{{#!html
그라데코보 방면}}}]][[그라데코보역|그라데코보]][* 중문명: 格罗捷科沃, 러시아어:Гродеково] [br]26.0 km →|| ||<-6>[include(틀:지도,장소=绥芬河站,너비=100%,높이=300px)]|| ||<-6><:>'''다국어 표기'''|| ||<:><-2>중국어||<:><-4>绥芬河|| ||<:><-2>영어||<:><-4>Suifenhe || ||<-6><:>'''주소'''|| ||<-6><:>중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쑤이펀허시 우쑤리다지에[br]黑龙江省牡丹江绥芬河市乌苏里大街|| ||<:><-6>'''역 운영기관'''|| ||<:><-2>{{{#ffffff 모든노선}}}||<-4> [[중국국가철로집단|[[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width=200]]]] || ||<-6><:>'''개업일'''|| ||<-6><:>1900년 1월 4일 || ||<-6><:>'''노선거리표'''|| ||<:><-2>[[하얼빈역|{{{#!html
하얼빈 방면}}}]][[쑤이양역|쑤이양]][br]← 21.0 km||<:><-2>'''[[빈쑤이철도]]'''[br]쑤이펀허||<:><-2>{{{#gray 종점}}}|| ||<:><-2>{{{#gray 기점}}}||<:><-2>'''{{{-2 [[쑤이펀허-그라데코보철도|쑤이펀허-[br]그라데코보철도]]}}}'''[br]쑤이펀허||<:><-2>[[그라데코보역|{{{#!html
그라데코보 방면}}}]][[그라데코보역|그라데코보]][br]xx.0 km →|| ||[[파일:绥芬河站.jpg|width=430]][br]새로 건축된 쑤이펀허역||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시]]의 현급도시 [[쑤이펀허시]]에 위치한 쑤이펀허역은[* \[구글맵\] 쑤이펀허역 Suifenhe Railway Station[[https://www.google.com/maps/search/Suifenhe+Railway+Station/@44.4030171,131.1273814,2201m/data=!3m1!1e3]]] 1900년도에 개업한 국경철도역이며 [[중국철도하얼빈그룹]] 관할이다. 빈쑤이철도(滨绥铁路)[* 옛 중동철도의 일부로 현재는 러시아정부가 2016년 말 극동지역 개발을 위해 승인한 내륙복합운송망 프로젝트 '''프리모리예 1(Приморье-1)''' 의 일부이기도 한다. 프리모리예 1 노선은 헤이룽장성 하얼빈→무단장→수이펀허(이하 빈쑤이철도)/포그라니치니(러시아) -> 그로데코보, 두닌/폴타프카 → 우수리스크 → 블라디보스톡/보스토치니/나훗카]의 종점인 동시에 시베리아철도의 지선인 쑤이펀허 - 그라데코보 철도[* 현재는 중국 쑤이펀허에서 러시아 그라데코보까지만 열차가 운행하나 철로는 시베리아철도의 경유지인 우수리스크(중문명:双城子)까지 연결돼 있으며 미래에는 여객철도가 개통될 것으로 본다.]의 시점이기도 한다. 매일 각 1회씩 러시아행 열차와 중국행 국제열차 <401/402>가 출 도착한다.[* 편도 기준으로 1700루블(약 31,000원)이며 1시간 30분정도 소요된다.] == 역사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역은 2014년 4월도에 재건축되었으며 이전에 사용하던 구 역사는 '''중동철도기념관(中东铁路纪念馆)'''으로 사용되고 있다. == 쑤이펀허 철로통상구 ==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ffff00 '''[[중국|{{{#ffff00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ffff00 헤이룽장성}}}]]의 국경통상구[br]{{{+1 [ruby(绥芬河, ruby=Suífēnhé)][ruby(铁路, ruby=Tiělù)][ruby(口岸, ruby=Kŏuàn)][br]Пограничный Порт }}}'''[br] Suifenhe Railway Port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绥芬河口岸,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분류}}}''' || 육로(철도) || ||<-2> '''{{{#ffff00 등급}}}''' || 국가급(1류) || ||<-2> '''{{{#ffff00 접경지}}}''' || [[파일:러시아 국기.svg|height=15]]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 ||<-2> '''{{{#ffff00 관할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해관총서|[[파일:1024px-Flag_of_the_Customs_of_the_People's_Republic_of_China.svg.png|height=15]]]]하얼빈해관[br][[중국 국가이민관리국| [[파일:Flag_of_the_National_Immigration_Administration_of_PR_China.jpg|height=15]]]]헤이룽장 출입경변방검사총참 || ||<-2> '''{{{#ffff00 운영시간}}}''' || 매일 24시간 || ||<-2> '''{{{#ffff00 주소}}}''' || {{{-1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쑤이펀허시}}}[br]{{{-1 黑龙江省牡丹江市绥芬河市}}} || ||<-2> '''{{{#ffff00 설치년도}}}''' || 1952년 12월 || [clearfix] 중국에서 3번째로 수출입 유동량이 많은 쑤이펀허철로통상구는 위치상으로 헤이룽장성의 성도 [[하얼빈]]과 460㎞, 동쪽 러시아 측 통상구 포그라니치니(Пограничный)와 21㎞ 가량 떨어져 있으며 러시아 극동 항구성시인 [[블라디보스톡]]에서는 210㎞ 떨어져 있으며 연간 100만톤의 화물처리능력을 가지고 있다. 철도통상구 외에도 도로통상구가 따로 있다. [clearfix] == 고속열차 == 2023현재 [[트립닷컴]] 기준 하얼빈역(합이빈역)-쑤이펀허(수분하)역간 소요시간은 3시간전후이며 5편(평일기준) 정도 운행하고 있다. 비용([[원(화폐)|원화]]기준)은 대략30,000(이등석)~50,000(일등석)원이다.[* \[트립닷컴\]쑤이펀허/수분하 — 하얼빈/합이빈 검색 결과: 4개[[https://kr.trip.com/trains/china/list?departureDate=2023-03-12&returnDate=&departureStation=%E7%BB%A5%E8%8A%AC%E6%B2%B3&arrivalStation=%E5%93%88%E5%B0%94%E6%BB%A8&displayDepartureStation=%EC%91%A4%EC%9D%B4%ED%8E%80%ED%97%88/%EC%88%98%EB%B6%84%ED%95%98&displayArrivalStation=%ED%95%98%EC%96%BC%EB%B9%88/%ED%95%A9%EC%9D%B4%EB%B9%88#]]] 중간에 [[무단장시]]를 지나면서 [[아무르강]]의 지류인 [[목단강]](무단장)을 볼수있다.[* \[구글 맵\] 무단장 시(牡丹江市)중국 헤이룽장 성[[https://www.google.com/maps/place/%EC%A4%91%EA%B5%AD+%ED%97%A4%EC%9D%B4%EB%A3%BD%EC%9E%A5+%EC%84%B1+%EB%AC%B4%EB%8B%A8%EC%9E%A5+%EC%8B%9C/@44.5850742,129.3354211,11z/data=!3m1!4b1!4m15!1m8!3m7!1s0x5dcc073dd5d412b3:0x57ecff28a7bf0d22!2zS2FyeW1za29lLCDsnpDrsJTsnbTsubwg7KeA67CpIOufrOyLnOyVhA!3b1!8m2!3d51.6262572!4d114.3495651!16s%2Fg%2F1233lkpn!3m5!1s0x5e4e653a67e4cbef:0xfcd583f601af8d1e!8m2!3d44.5526899!4d129.6324399!16zL20vMDZmMzhf]]] 한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2023년 현재 철도 노선 및 항공노선의 여행객수요와는 달리 산업물류 물동량은 대규모로 증가하였다. [* 연합뉴스-러시아, 유럽 접근 막히자 극동지역 물류 통로 확대[[https://www.yna.co.kr/view/AKR20220525120300096]]][* \[주블라디보스톡 대한민국 총영사관\]러시아 극동지역 주간 동향(2.3-2.9)[[https://overseas.mofa.go.kr/ru-vladivostok-ko/brd/m_7804/view.do?seq=2115088]]] == 관련문서 == *[[만주 횡단철도]] [[분류:중국의 철도역]][[분류:19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중국의 국경통상구]][[분류:중러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