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별개의 연원으로 형성된 두 개 이상의 비슷한 규모의 [[도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담화되어 하나의 [[도시권]]을 이루는 것. 아예 하나의 도시로 통합되기도 한다. [[헝가리]]의 [[수도(행정구역)|수도]] [[부다페스트]]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래도 주민들 사이에선 별개라는 인식이 한동안 유지되곤 한다. == 양상 == [[국경]]에는 유난히 쌍둥이 도시가 많아 [[국경도시]] 쌍을 이루곤 한다. 양국으로 오가는 [[관문]]과도 같은 곳이므로 외교 사절의 통행, 교역 상행위, 군사적 요충지 등 고정 수요가 있어 도시가 형성되기 좋기 때문이다. 더욱이 강가나 [[항구]]처럼 입지가 좋은 곳이면 각국이 서로 해당 지역을 이용하려고 하기 때문에 나란히 도시가 만들어지게 되지만 아직 국가 간 협력 거버넌스는 미진한 상태이므로 국경 간 쌍둥이 도시는 관계는 밀접할지언정 행정구역상으로까지 통합되기는 어렵다. == 사례 == 미국에서 영어로 그냥 Twin Cities라고 할 경우는 [[미네소타]] 주의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을 뜻한다. 그래서 지역 야구팀 이름이 [[미네소타 트윈스|쌍둥이]]다. === [[대한민국]] === ==== 행정구역이 같은 경우(통합 포함) ==== * [[서울특별시]]([[한양도성]] vs [[서울특별시/영등포|영등포]]): 본래 영등포는 서울과는 구분되는 독자적인 지역 정체성이 존재했고 서울의 가장 큰 위성도시로서 독자적으로 성장하고 있었으나 부평의 경성 편입을 고려한 [[조선총독부]]에 의해 경성부로 편입되면서 현재의 서울시로 이어진다. * [[인천광역시]](원인천 vs 부평): 조선시대에 인천 원도심 지역을 권역으로 하는 인천도호부와 현재 부평구와 계양구, 부천시 일대를 권역으로 하는 부평도호부가 있었는데 훗날 두 도시가 합쳐져 오늘날의 인천이 되었지만 이후에도 인천 원도심과 옛 북구(부평구·계양구)의 생활권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다른 쌍둥이 도시들처럼 발전 과정에서 서로 맞닿게 되었다기보다는 우선 한 행정구역으로 묶이고서 광역행정의 영향으로 한 도시로 발전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 [[경기도]] * [[성남시]]([[수정구|수정]]·[[중원구]] vs [[분당구]]): [[성남 본시가지]]와 [[위례신도시]]가 '''수정중원 대생활권'''을 이루고 있으며, [[분당신도시]]의 '''분당 대생활권''', [[판교신도시]] 및 [[수정구]] 서부지역([[고등지구]] 등)의 '''판교 대생활권''' 등 3개의 대생활권 체제로 이루어져 있다. [[1970년대]] 광주대단지 조성 이후 [[성남 본시가지]]가 가장 먼저 생겼으며 [[1990년대]] [[분당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원도심과 쌍둥이 도시를 구성하고 [[2010년대]] [[판교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성남지역 3대 생활권의 축이 만들어졌다. [[위례신도시]]는 [[수정구]] 생활권에 속하지만 수정구 원도심 지역과는 영장산으로 가로막혀 있다. 지방자치 행정상으로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부 인프라를 공유하는 것을 제외하면 이 세 대생활권은 사실상 독립된 시 처럼 상호 대등한 입장에서 교류하고 있다. * [[고양시]]([[일산동구]]·[[일산서구|서구]] vs [[덕양구]]): [[일산신도시]]와 [[덕양구]] [[화정동(고양시)|화정지구]] 사이([[대장동]], [[내곡동]])에는 [[개발제한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실상 두개의 독립된 도시처럼 보인다. [[1990년대]] 이전에 농촌 지대였던 [[고양군]]은 [[일산신도시]]가 들어선 후 이에 대응하여 화정지구와 행신지구를 개발하였으며 두 시가지가 서로를 마주보며 쌍둥이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창릉신도시]]가 개발되어 기존 덕양구 시가지와 연담화되면 일산 vs 창릉의 구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평택시]]([[평택시청/송탄출장소|송탄]] vs 평택원도심 vs [[평택시청/안중출장소|안중]]): 원래 [[평택군]]이라는 하나의 행정구역이었으나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안중)으로 행정구역이 분리된 역사가 있으며 통합 평택시가 출범한 후에도 평택, 송탄, 안중은 각각의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 [[화성시]]([[병점]] vs [[동탄신도시]] vs [[봉담]]·[[향남]]·[[남양]](서부지역)): 원래는 모두 수원에 속하는 생활권이었으나 동부지역의 병점은 2000년대 초반에 태안지구가 개발되어 병점만의 독자적인 생활권이 일부 형성되었으며 서부지역은 현재도 개발 중인 [[봉담읍]]의 [[봉담지구]], [[향남읍]]의 향남지구, [[남양읍]]의 [[남양뉴타운]] 등 일부 읍들도 개발되어 소생활권을 형성하였고 동탄은 [[2기 신도시]] 중 최대규모인 동탄신도시가 개발되면서 다른 지역과는 완전히 독립된 생활권을 보여준다. * [[강원도]] * [[동해시]](묵호 vs 북평): 묵호는 [[강릉시]] 생활권, 북평은 [[삼척시]] 생활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두 지역이 합쳐져 [[동해시]]가 출범하였다. * [[광주광역시]]([[광산구]] vs 그 외 지역): [[광산구]]는 옛 [[송정시]]와 [[광산군]] 지역으로 (구)광주직할시(북구, 서구, 동구, 남구)와 쌍둥이 도시를 형성하였고, 이후 통합되어 [[광주광역시]]로 이어진다. * [[대전광역시]]([[유성구]] vs [[둔산신도시]] vs 원도심): 유성구 시가지와 둔산신도시, 원도심([[중앙동(대전광역시 동구)|중앙동]] 일대)이 3개 축으로 되어 있다. * [[경상남도]] * [[창원시]]([[의창구|의창]]·[[성산구]] vs [[마산합포구|마산합포]]·[[마산회원구|회원구]] vs [[진해구]]): [[일제강점기]] [[마산시|마산부]]가 먼저 개발되고 이후 [[창원시(통합 이전)|창원신도시]] 개발로 마산과 창원이 쌍둥이 도시를 형성하였는데 [[2010년]]에 [[창원시(통합 이전)|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되어 (신)창원시로 출범했다. * [[사천시]](구 [[삼천포시]] vs [[사천읍]]): 삼천포가 먼저 읍으로 승격된 후 시가지가 발전하였으며 이후 사천읍이 형성되어 쌍둥이 도시를 구성했다. [[1995년]] 사천군과 삼천포시가 통합되어 사천시가 출범했으나 사천읍과 구 삼천포시 간의 갈등이 남아 있다. * [[양산시]] [[웅상|웅상지구]](서창 vs 덕계): 서창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덕계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생활권이다. * [[전라남도]] * [[여수시]]([[여수시(통합 이전)|구 여수시]] vs [[여천시|구 여천시]]): [[삼여 통합]] 참조. 통합 이후에도 구 여수시 권역과 구 여천시 권역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불편함이 크다. * [[나주시]](구 나주읍 vs 영산포읍):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나주 지역의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1981년 하나의 시로 통합되었다([[금성시]]). 1986년 나주시로 다시 개칭 후 [[1995년]] 통합 나주시가 출범했다. ==== 행정구역이 다른 경우 ==== * 2개 이상의 [[광역자치단체]] 소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중부내륙선]] [[감곡장호원역]] 관련 문제로 갈등이 있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2020년대]] 들어 [[경부고속선]] 서측에 [[오송생명과학단지|오송제2생명과학단지]]가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두 시가지 간의 거리는 1km도 채 안 되도록 가까워졌지만 [[오송역]]~[[세종역]] 관련 분쟁으로 두 지역 사이의 감정은 그닥 좋지 않다. * [[전라북도]] [[군산시]]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군장국가산업단지) * [[전라남도]] [[구례군]] + [[경상남도]] [[하동군]]([[섬진강]] 권역)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경산시]]: 경산시내지역은 [[수성구]] 및 [[달성군]] [[가창면]]과, [[하양읍]]과 [[와촌면]]은 [[동구(대구광역시)|동구]](일명 안심)와 연담화되어 있다. * [[경기도]] * [[구리시]] + [[남양주시]]: 기존 남양주군에 속해있던 구리읍이 [[구리시]]로 분리된 후 나중에 남양주군이 남양주시로 승격한 케이스다. 다만 남양주시는 지리적으로 다핵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도농이나 별내 정도만 해당하고 나머지 동네들과는 연담화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 [[수원시]] * [[수원시]] [[이의동]], [[원천동]], [[하동]] + [[용인시]] [[영덕동]], [[상현동]]: [[광교신도시]]는 각개의 시별로 개발되었다. * [[안양시]] [[동안구]] + [[안양시]] [[만안구]] + [[군포시]] + [[의왕시]]: 이 세 도시들은 한때 같은 [[시흥군]] 소속이었고 지도상으로만 봤을 땐 거의 한 도시인 것처럼 보일 만큼 시가지가 서로 매우 밀접하게 붙어 있어 꾸준히 [[행정구역 개편/수도권/경기도#s-2.8|통합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안양시 내에서도 [[평촌신도시]] 지역인 [[동안구]]와 원도심인 [[만안구]]가 서로 쌍둥이 도시처럼 되어 있고 [[산본신도시]]와 [[내손동]] 택지지구가 연담화되어 있다. 군포시 대야미 같은 경우는 산너머에 따로 동떨어져 있어 한 동네 같은 느낌이 덜한 편이다. * [[화성시]] * [[동탄신도시|동탄1~9동]] + [[용인시]] [[기흥구]]: '''[[삼성전자/캠퍼스|삼성전자 기흥사업장]]''' 한 마디로 모든 것이 정리된다. * [[반월동]] +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 [[용인시]] [[기흥구]] [[서천동]]: 기흥의 서천지구와 영통의 망포 등과 완전히 붙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 [[새솔동]] + [[안산시]] [[상록구]]: 화성시 생활권과는 먼편이고 다리만 건너면 되기때문에 안산시 생활권에 속한다. * [[봉담읍]]([[화성봉담지구]]) + [[수원시]] [[권선구]]([[수원 호매실지구]]) : 둘 다 비슷한 시기에 택지지구([[수원 호매실지구|호매실지구]], [[화성봉담지구|봉담지구]])로 개발되었고 [[봉담과천로]]가 지나가는 지역이다. 이 사이에는 [[오목천동]], [[고색동]] 등이 있으며 [[신분당선]]이 개통될 예정이고, 인구도 약 8.8만명으로 비슷한 편이다. 물론 봉담읍은 호매실의 생활권이라기보단 수원시 서부 전체의 생활권에 가깝다. * [[시흥시]] * [[정왕동]] + [[안산시]] [[단원구]]: [[정왕동]](일명 군자), [[시화신도시]] 및 [[배곧신도시]] 한정으로 안산시와 연담화되어 있어 쌍둥이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 [[목감동]] + [[안양시]] [[만안구]]: [[목감동]]은 [[안양시]] 구시가지 생활권에 포함된다. 예전 시흥군 수암면 일대. * [[평택시]] + [[안성시]]: 평택 원도심 지역과 [[안성시]] [[공도읍]]이 서로 밀접하게 연담화되어 있다. * [[충청남도]] * [[천안시]] + [[아산시]]: [[경기도]] 바로 아래 자리하고 있는 두 도시는 가까운 거리와 함께 발전해 온 역사 등으로 인해 매우 밀접하게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고 천안시청 및 [[아산신도시]] 일대가 천안과 아산 한가운데에 위치해 있을 만큼 거의 한 도시인 것처럼 개발되고 있다. 다만 과거 [[천안아산역|고속철도역]] 명칭 문제와 [[행정구역 개편/충청/천안·아산 통합|천안·아산 통합]], [[행정구역 개편/충청/천안광역시|광역시]] 승격 논의 등과 관련하여 두 도시간 크고 작은 갈등들이 존재하고 있다. * [[홍성군]] [[홍북읍]] + [[예산군]] [[삽교읍]]([[내포신도시]]): [[충남도청]]이 [[홍성군]] [[홍북읍]]과 [[예산군]] [[삽교읍]] 일대에 자리하게 되면서 그 주변이 함께 발전하고 있는 양상을 띄고 있다. 홍성군은 예산군과의 통합 혹은 '''홍주시''' 단일 승격을 노리는 반면 [[내포신도시]] 주민들은 [[홍북읍]]과 [[삽교읍]] 일원으로 홍성과 예천과는 독립된 별개의 시를 출범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 [[음성군]] 맹동면 + [[진천군]] [[덕산읍]]([[충북혁신도시]]) * [[경상북도]] * [[문경시]] + [[상주시]]: [[점촌동]](구 [[점촌시]])과 [[함창읍]]이 연담화되어 쌍둥이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 [[안동시]] + [[예천군]]: [[경북도청신도시]]가 [[풍천면]]과 [[호명면]]에 지어져 연담화되어 있다. * [[포항시]] + [[경주시]] * [[전라남도]] * [[여수시]] + [[순천시]] + [[광양시]]: 일명 여순광. * [[목포시]] + [[무안군]] [[삼향읍]]([[남악신도시]]) + [[영암군]] [[삼호읍]]: [[영산강 하굿둑]]이 생기면서 당시 삼호면이었던 삼호읍이 당시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였던 목포시 옥암동과 연결되어 연담화되었고 이후 [[전라남도청]] 남악신도시가 생기면서 무안군 삼향읍과 일로읍도 연담화되었다. * [[경상남도]] * [[진주시]] + [[산청군]] * [[창원시]] [[마산회원구]] + [[함안군]] === 외국 === [[북한]]은 편의상 이 문단에 기술한다. * [[일본]] [[기타큐슈시]]-[[시모노세키시]] 본래 [[규슈]]-[[혼슈]]의 경계인 [[간몬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었으나 [[칸몬교]]와 [[칸몬 터널]] 건설 이후 도로와 철도가 연결되면서 하나의 시가지처럼 되었다. 시모노세키의 중심지 [[시모노세키역]]에서 전철 타고 기타큐슈의 중심지 [[코쿠라역]]까지 전철로 2 정거장, 기껏해야 14분 걸린다. * [[일본]] [[오사카시]]-[[교토시]]-[[고베시]]-[[나라시]] 제각기 다른 역사적 배경으로 발달한 도시들이지만 오늘날에는 함께 [[케이한신]](京阪神, 교토-오사카-고베)권을 이루고 있다. 다만 각 도시들은 여전히 저마다 지역색이 상당히 다른 편이다. * [[대만]] [[타이중시]](대중)-장화(창화) * [[대만]] [[타이난시]](대남)-[[가오슝시]](고웅) * [[중국]] [[시안시]]-[[셴양시]] * [[미국]]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일리노이 주]] 이스트 세인트루이스 * [[미국]] [[시애틀]]-타코마-벨뷰 원래는 그냥 시애틀과 타코마만 큰 도시였지만 벨뷰가 급성장하면서 세쌍둥이 도시가 됐다. * [[미국]] [[신시내티]] - [[코빙턴]] * [[미국]] [[캔자스주]] [[캔자스 시티]]-[[미주리주]] [[캔자스 시티]] * [[미국]]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이 분야의 네임드.] * [[미국]] [[워싱턴 DC]]-[[볼티모어]] * [[미국]] [[댈러스-포트워스]] 가운데 알링턴이 끼기도 한다. 이 알링턴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텍사스 레인저스]] 홈 구장이 있다. * [[미국]] [[어바나]]-[[샴페인]] * [[파키스탄]] [[라왈핀디]]-[[이슬라마바드]] * [[캐나다]] [[오타와]]-[[가티노]] * [[북한]] [[함흥시]]+[[흥남시]]=[[함흥시]][* 이 동네는 통합되었다 분리되었다를 반복했는데 [[2005년]]에 통합되었다.] * [[일본]] [[코쿠라시]]+[[토바타시]]+[[모지시]]+[[야하타시]]+[[와카마츠시(후쿠오카)|와카마츠시]]=[[기타큐슈시]] * [[일본]] 우라와시+오미야시+요노시+이와츠키시=[[사이타마시]] * [[일본]] [[시즈오카시]]+[[시미즈구|시미즈시]]=[[시즈오카시]] * [[일본]] [[토쿠야마시]]+[[신난요시]]+[[쿠마게초]]+[[카노초]]=[[슈난시]] * [[일본]] [[후쿠오카]]+[[하카타]]: 본래 나카강을 기준으로 동쪽은 상인 위주의 하카타, 서쪽은 무사 위주의 후쿠오카였으나 근대에 도시가 합쳐졌는데 도시 이름은 [[후쿠오카시]]로 정해졌지만 [[하카타역]], [[하카타구]], [[하카타항 국제터미널]] 등 '하카타'라는 지명이 많이 남아 있다. * [[미국]] [[뉴욕]]([[맨해튼]])+[[브루클린]]+[[퀸즈]]+[[브롱크스]]+[[스태튼 아일랜드]]=[[뉴욕]] 5개의 다른 도시/지역이 묶여 하나의 도시를 이룬 경우로, 전미에서 유일한 사례. 보통 미국 도시들은 [[카운티]] 예하에 존재하지만 뉴욕은 5개의 카운티가 [[자치구]]로 변모하여 연합한 채 한 도시가 되었다. 일본 기타큐슈시의 모습에서 보듯 전 세계적으로 드문 일은 아니다. * [[미국 통치기 류큐 열도]][* 당시(1954년)는 오키나와가 일본령이 되기 전이었다.] 나하시+슈리시=[[나하시]] * [[영국]] [[런던#s-1.9|런던]]+[[웨스트민스터]]=[[런던]][* 두 도시를 중심으로 주변지역을 합쳐 런던 주, 이후 그레이터 런던으로 확장했다. 그래서 오늘날 웨스트민스터에서 시티로 향하는 길목에 있는 위치한 트라팔가 광장을 런던의 중심으로 삼는다.] * [[중화인민공화국]] [[다롄]]+[[뤼순]] = 다롄 * [[중화인민공화국]] [[우창]](무창)+[[한커우]](한구)+[[한양]]=[[우한]](무한) * [[헝가리]] 부다+오부더+페슈트=[[부다페스트]] 아래 목록은 인접한 국가 간의 [[국경도시]]로써 통행에 검문을 요구하는 특수 지역(예: [[홍콩]]) 등을 포함한다. * [[북한]] [[신의주시]] - [[중국]] [[단둥시]] * [[홍콩]]-[[중국]] [[선전시]] * [[마카오]]-[[중국]] [[주하이]]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 [[스웨덴]] 하파란다 - [[핀란드]] 토르니오 * [[스웨덴]] [[말뫼]] - [[덴마크]] [[코펜하겐]]: 본래 [[해협]]이 가로막고 있었으나 [[외레순 다리]] 개통으로 20분 거리가 되었다. * [[에스토니아]] [[나르바]] - [[러시아]] [[이반고로드]] * [[에스토니아]] 발가 - [[라트비아]] 발카 * 미국 [[디트로이트]] - [[캐나다]] [[윈저(캐나다)|윈저]] * 미국 [[샌디에이고]] - [[멕시코]] [[티후아나]] * [[미국]] [[버팔로(미국 도시)|버펄로]] - [[캐나다]] 포트 이리(Fort Erie), [[미국]] [[뉴욕 주]] [[나이아가라 폴스]] - [[캐나다]] [[온타리오 주]] [[나이아가라 폴스]]: 다 같은 광역권으로 묶일 만큼 연담화되어 있는 곳으로, 특히 같은 도시가 국경으로 잘린 수준으로 연담화된 곳들을 따로 표기한다. * [[미국]] [[엘파소]] - [[멕시코]] [[시우다드후아레스]] 등 [[미국-멕시코 국경]] 도시 사실 하나의 도시였다가 [[미국-멕시코 전쟁]]의 여파로 분할된 것이기 때문에 [[분단 도시]]에 속한다. 다만 갈라진 지 200년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도시라는 인식은 거의 사라졌다. * [[콩고 공화국]] [[브라자빌]] - [[콩고 민주 공화국]] [[킨샤사]][* 두 국가가 이름도 비슷하기 때문에 수도 이름을 따 각각 '브라자빌 콩고', '킨샤사 콩고'라고 부르기도 한다.]: [[콩고 강]]이 두 도시의 경계이며 둘 다 수도다. 강 하나를 사이에 둔 두 쌍둥이 도시가 각국의 수도인 특이한 경우. * [[생마르탱]] - [[신트마르턴]]: [[세인트마틴 섬]]을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남북으로 양분하고 있다. 각 지역에 여러 마을들이 있는데 두 지역의 인구가 비슷하고 섬 전체가 [[하남시]] 정도로 그리 큰 섬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 쪽이 딱히 우세할 것 없이 비등비등한 크기로 서로 교류하고 있다. *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 [[독일]] 켈(Kehl): [[라인강]]을 사이에 두고 도시가 거의 붙어 있으며 심지어 스트라스부르 [[노면전차]]가 켈까지도 간다. 도시 규모는 스트라스부르가 압도적으로 크다. * [[프랑스]] [[니스]] - [[모나코]]: 모나코 쪽이 개별 [[도시국가]]이긴 하지만 도시 규모는 니스가 더 크다. 니스에서 모나코까지는 국경이 있지만 버스로도 45분밖에 안 걸린다. * [[영국]] [[지브롤터]] - [[스페인]] 라리네아데라콘셉시온(La Línea de la Concepción): 사실상 붙어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4) 당시에 영국이 쪼개서 가져간 것은 아니고 시가지 일대를 모두 포함한 것인데 1728년 지브롤터 공성전 이후 스페인 측에서 국경선에 딱 붙인 대루(對壘)[* 대루(對壘)란 성을 포위한 군대가 성에 맞대응하여 쌓는 보루를 말한다.]인 '지브롤터 선'(La Línea de Gibraltar)[* 혹은 그 역할을 그대로 이름으로 써 대루 선(La Línea de Contravalación)이라고도 한다. 오늘날처럼 '수태고지의 선'(라리네아데라콘셉시온, La Línea de la Concepción)이라는 이름으로 바꾼 것은 1870년이다. 영국 측에서는 '스페인 선'(Spanish Lines)이라고도 한다.([[https://en.wikipedia.org/wiki/Lines_of_Contravallation_of_Gibraltar|#]]]을 설치하여 딱 달라붙었다. 어쨌거나 별개의 연원으로 생겨난 두 도시이니 쌍둥이 도시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쌍둥이 도시처럼 약간 떨어져서 별도의 도시권을 형성하다가 연담화된 곳으로는 알헤시라스(Algeciras)를 들 수 있다. * [[이스라엘]] [[에일라트]] - [[요르단]] [[아카바]] - [[이집트]] [[타바]]: 모두 [[홍해]] 아카바 만을 낀 [[항구도시]]다. 에일라트, 아카바에 비해 타바는 인구가 1만 명도 채 되지 않는 소도시다. == 유사 개념 == 대형 도시와 그 주변 도시들이 연담화된 [[메갈로폴리스]], 중심 도시에 의존하는 [[위성도시]], [[베드타운]]과는 다소 다른 개념이다. 하나의 도시였다가 국경 변경으로 인하여 [[분단 도시|분단된 도시]]들도 넓은 의미의 쌍둥이 도시라고 할 수 있는데 [[통일]]이나 국경 조정을 통해 하나로 합쳐지는 경우도 간간히 있다.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는 [[도청(행정)|도청]] [[신도시]]를 행정구역 경계에 건설하는 경우가 많은데 역시 도시 형성은 동시에 이루어지니 엄밀한 의미의 쌍둥이 도시와는 다소 다르지만 행정구역의 차이로 도시 발달의 다소간의 차이가 나기는 한다.[* 일례로 [[내포신도시]]는 [[2010년대]]까지 홍성 측의 발전이 압도적이었지만 2020년대에 들어서는 이 격차가 거의 해소되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지리 관련 정보]] [[분류:유형별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