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실제 날씨/기상 현상에 관한 설명, rd1=사이클론)] [[유희왕]]의 속공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サイクロン(DR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싸이크론, 일어판명칭=サイクロン, 영어판명칭=Mystical Space Typhoon, 속공=, 효과1=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 별다른 발동 조건도 없고 앞면 표시건 뒷면 표시건 가리지 않고 부숴준다는 점과 스펠 스피드 2의 속공 마법이라는 점이 강점이라서 성능은 상당히 좋다. 1:1 교환이므로 딱히 손해도 없으며 상대의 함정 카드에 훅 가는 사태가 적잖게 일어나는 유희왕에서는 상대의 강력한 함정 카드를 지정하고 제거할 수 있는 상당히 중요한 마법 / 함정 파괴 카드이다. 하지만 파괴만 할 뿐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과 효과를 무효로 하는 기능은 없다.''' 주로 애니만 본 실전 듀얼 초심자들이 흔히들 하는 착각 중 하나로[* 추가로 유명한 것으로는 제알까지 넘어가서야 고쳐진 '''앞면 수비 표시 일반 소환'''이 있다. 그러나 수비 표시 일반 소환과 달리 싸이크론으로 무효로 하는 장면은 애니메이션에도 등장한 적이 없다.] 이미 발동한 마법 / 함정에 싸이크론 등을 발동하는 것. 일명 '파괴해서 무효화'이다. 다만 필드에 남는 지속 카드(지속 마법 & 지속 함정 / 장착 마법 / 필드 마법 / 펜듈럼 존에 놓인 펜듈럼 몬스터)의 경우 효과 처리하기 위해서 필드 위에 있어야 하므로 발동 시 체인으로 파괴해버리면 그대로 불발된다. 그 외에 이미 발동된 효과는 그대로 처리되므로 무의미하다. 따라서 세트해뒀다가 상대 턴 엔드 페이즈에 상대의 세트 카드를 미리 파괴해서 효과 발동 자체를 미연에 방지하는 전법이 자주 쓰인다. 일본에서의 약칭은 엔드싸이크. 심플하고 쓰기 쉬운 효과와 어떤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높은 범용성으로 누구나 두루두루 쓰기 편한 카드. 결국 제한의 위치까지 올라갔으나 2010년 9월 금제에서는 [[태풍(유희왕)|태풍]]이 금지의 철퇴를 맞아서인지 준제한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2011년 9월 금제에서 태풍이 제한으로 다시 내려오면서 이 카드는 '''무제한'''으로 내려왔다. 위에 있는 건 개정된 신 텍스트로, 예전 텍스트는 다음과 같았다. "필드 위의 마법 또는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여기서는 단순 무식하게 대상이 쭈욱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로 존재하면 되는 걸로 해석하면 되나, 발동 / 효과 해결 시의 대상의 조건이 구분되어 있는 신 텍스트에서는 "특정 장소"[* 필드 / 묘지 / 패 등]에 대한 언급만은 반복하지 않기 때문에, 발동 시의 대상의 조건은 "필드의 마법/함정 카드"이고, 효과 해결 시의 대상의 조건은 "(필드의) 카드[* 참고로 "카드"만으로도 의미 있는 조건이 된다. 엑시즈 소재는 필드에 여전히 있되 카드로 취급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게 된다. 어쨌든 신 텍스트로도 싸이크론으로 지정한 게 효과 해결 시에 패로 돌아가거나 하면 파괴되지 않는다는 소리다. 중요하니 잘 알아두자. 영어판과 한글판 / 일본판의 이름이 판이하게 다르므로 주의. 영어권에서는 이름이 'Mystical Space Typhoon' 이라 하도 길어서 'MST' 등으로 줄여서 부른다. 현재 나온 모든 레어도로 나온 카드 중 하나다. 이런 필카류 종류는 꽤나 여러 팩에서 복각되기에 어떻게 보면 당연한 사실. 한때는 정말 많이 쓰였던 카드지만 지금은 보기가 힘들어진 카드다. 패 1장 코스트가 필요하지만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 파괴할 수 있는 [[트윈트위스터]]와 LP를 1000 지불해야 하지만 파괴 대신 제외시키는 [[코즈믹 싸이크론]], 배틀 페이즈 스킵 디메리트가 붙어있으나 노 코스트로 2장을 파괴하고, 상대 턴 발동으로 디메리트를 회피할 수 있는 [[모래 먼지의 태풍]] 등의 카드들의 등장으로 채용률이 확 줄었다. 그나마 [[왕궁의 철벽]]을 사용하는 덱이라면 [[코즈믹 싸이크론]]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철벽을 채용하는 덱에서나 넣는 수준. 사실상 인플레에 밀려 사용되지 않는 카드였으나 [[섬도희]] 덱이 실전에서 이 카드를 투입하여 실적을 올린 전례가 있다. 단순 제거 능력은 상술한 대체 카드에 밀리지만, 코즈믹 싸이크론과 달리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는 점을 살려 여차할 때는 자신의 마법 카드를 파괴해 묘지로 보내는 용도로 사용한 것. 에리어제로를 파괴하는 것으로 섬도희 몬스터의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트윈트위스터 역시 같은 활용이 가능하나 패 코스트가 필요하여 가볍게 사용하기 어렵다. 애니메이션에서도 가끔 등장하는데, 비슷한 부류의 범용 카드 중에서는 비교적 등장이 많다. DM에서는 오리지널 스토리인 도마 편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몇 번 쓴 적이 있으며[* 다츠의 지속 마법, 쌍궁의 켄타우로스를 파괴했다.], 극장판 [[빛의 피라미드]]에서 [[카이바 세토]]가 사용했다.[* 어둠의 유우기가 세트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을 파괴했다.] 이외에도 조연의 듀얼에서도 가끔 등장한다. 사용자는 [[마자키 안즈]], [[비비안 웡]], [[레온 윌슨]], [[지크 로이드]][* 카이바의 지속 마법 [[영혼 흡수]]를 파괴했다.]. [[유희왕 GX]]에서는 마루후지 쇼, 에드 피닉스, 츠바인슈타인 박사 등 종종 사용되었다. [[유희왕 ZEXAL]]에서는 [[카미시로 료가]]가 이 카드를 사용했다. [[유희왕 ARC-V]]에선 [[유토(유희왕)|유토]]가 선턴에 세트해 두었는데, [[빙제 뫼비우스]]에 걸려 발동되지는 못하고 파괴당했다. [[유고(유희왕)|유고]]도 이 카드를 가지고 있는 장면이 나왔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3512/read?articleId=2137857&bbsId=G006&itemId=546&pageIndex=8|#]]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ANTINOMIC THEORY]]에서 UR로 수록되었다. OCG와 정반대로 [[코즈믹 싸이크론]]보다 한참 늦게 등장했는데, 코싸와 비교하자면 반값 세일 / 박스 칩 등의 대상 바깥이라 더 비싸고[* 카드 생성 기능이(가루)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듀얼링크스에서는 유저에 따라서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23년 5월에 등장한 초기 카드 무료 교환인 박스 칩 기능으로 많은 유저들이 코싸를 교환했다. 번들 또한 일반 싸이크론은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23년 앱 클라이언트 유출로 존재가 확인되었다.]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가 있는 마함 / 파괴 내성이 있는 경우[* 23년에 등장한 [[시오르페골 딩기르수]]는 많은 유저들이 싸클을 버리고 코싸를 채용하게 했다.]에 취약하지만, LP 지불이 필요없고[* LP가 줄었을때 발동가능한 스킬이 존재하기에 일장일단이 있는 면이나 코싸를 2번, 3번 사용하는 경우 초기 LP가 4000인 듀얼링크스에서는 LP 관리에 부담을 느끼는 유저들도 많다.] [[아티팩트-롱기누스]]가 발동되어 카드를 제외할 수 없는 경우에도 대처가 가능하다는 점 / [[함정 속으로(유희왕/카드군)#교활한 함정 속으로|교활한 함정 속으로]][* '''자신의 묘지에 함정 카드가 없을 것'''이 발동 조건이라 코즈믹에 제외되면 2장째 교활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23년 시점에서는 많이 채용률이 줄어든 카드라 이를 의식하지 않는 유저들도 많다.] 2회 발동을 저지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있다. 전반적으로 OCG의 사용 패턴을 거의 따라가는 모습이라 할 수 있지만, OCG와 달리 일반 마법으로서의 마함 제거 수단 또한 크게 부족하여([[해피의 깃털]] / [[라이트닝 스톰]] 미실장, [[국소적 허리케인]]의 금지) 그 역할까지 대신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차례는 많다. ===# 수록 팩 #=== ||<-5>수록 시리즈 || ||<(> 2000-04-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R-47 | '''[[마법의 지배자|MAGIC RULER]]''' || ||<(> 2001-06-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U-25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遊戯編-''' || ||<(> 2002-06-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1-036 | '''DUELIST LEGACY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3-03-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C1-005 | '''2003/03 プロモーション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03-05-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Y2-030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遊戯編- Volume 2''' || ||<(> 2003-08-0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J2-026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城之内編- Volume 2''' || ||<(> 2004-03-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M-022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マリク編-''' || ||<(> 2004-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1-JP031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JP011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곤의 힘|ドラゴンの力]]-'''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JP014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언데드의 위협|アンデットの脅威]]-''' || ||<(> 2005-01-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JP015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작열하는 대지|灼熱の大地]]-''' || ||<(> 2005-03-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4-JP016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해룡신의 분노|海竜神の怒り]]-''' || ||<(> 2005-06-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5-JP020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전사의 전설|戦士の伝説]]-''' || ||<(> 2005-09-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6-JP018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마법사의 심판|魔法使いの裁き]]-''' || ||<(> 2005-12-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7-JP017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무적의 요새|守護神の砦]]-''' || ||<(> 2006-03-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8-JP019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열풍의 패왕|烈風の覇者]]-''' || ||<(> 2006-06-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09-JP023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고대룡의 분노|恐竜の鼓動]]-''' || ||<(> 2006-09-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0-JP024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기계의 반란(유희왕)|機械の叛乱]]-''' || ||<(> 2006-10-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04-JP015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ヘルカイザー編-''' || ||<(> 2006-12-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1-JP019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섬광의 파동|閃光の波動]]-''' || ||<(> 2007-03-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2-JP018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암흑의 주술|暗闇の呪縛]]-''' || ||<(> 2008-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02-JP043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ワームの侵攻!!」-''' || ||<(> 2009-01-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S01-JP011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1-03-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SD6-JP024 | '''[[스타터 덱 2011|STARTER DECK 2011]]''' || ||<(> 2011-05-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1-JP027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201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1-11-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12-JP021 | '''[[X-세이버 스페셜 에디션|デュエリストボックス2012]]''' || ||<(> 2012-03-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2-JP024 | '''[[스타터 덱 2012|STARTER DECK 2012]]''' || ||<(> 2012-08-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DB1-JP011 | '''THE GOLD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2-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S13-JPL28 | '''[[듀얼리스트 세트|デュエリストセット]] Ver.ライトニングスター''' || ||<(> 2012-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S13-JPL28 | '''[[듀얼리스트 세트|デュエリストセット]]DX ダブルユニオン''' || ||<(> 2013-03-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3-JPV12 | '''[[스타터 덱 2013|STARTER DECK 2013]] スターターデッキ強化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12-0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6-JP027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機光竜襲雷]]-''' || ||<(> 2014-03-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4-JP024 | '''[[스타터 덱 2014|STARTER DECK 2014]]''' || ||<(> 2014-10-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PTR-JP051 | '''[[부스터 스페셜|ブースターSP]] -[[트라이브 포스|トライブ・フォー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5-03-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VS15-JPS16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DUELIST ENTRY DECK VS]] -セイバーフォース-''' || ||<(> 2015-03-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VS15-JPD17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DUELIST ENTRY DECK VS]] -ダークレギオン-''' || ||<(> 2015-06-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9-JP031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마스터 오브 펜듈럼|マスター・オブ・ペンデュラム]]-''' || ||<(> 2015-08-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PHR-JP043 | '''[[부스터 스페셜|ブースターSP]] -[[하이스피드 라이더스|ハイスピード・ライダ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5-11-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PWR-JP040 | '''[[부스터 스페셜|ブースターSP]] -[[윙 레이더스|ウィング・レイダーズ]]-'''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6-03-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6-JP025 | '''[[스타터 덱 2016|STARTER DECK 2016]]''' || ||<(> 2017-03-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7-JP024 | '''[[스타터 덱 2017|STARTER DECK 2017]]''' || ||<(> 2018-03-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8-JP025 | '''[[스타터 덱 2018|STARTER DECK 2018]]''' || ||<(> 2019-0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TH-JPC89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R)] || ||<(> 2019-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T19-JP026 | '''[[스타터 덱 2019|STARTER DECK 2019]]''' || ||<(> 2020-03-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8-JP033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혼돈의 삼환마|混沌の三幻魔]]-''' || ||<(> 2021-07-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1-JPA26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 ブラック・マジシャン ]''' || ||<(> 2021-07-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1-JPB18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 青眼の白龍 ]''' || ||<(> 2021-07-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1-JPC19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 剣聖-ネイキッド・ギア・フリード ]''' || ||<(> 2022-04-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2-JPB21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 伝説の都 アトランティス ]''' || ||<(> 2022-04-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2-JPC19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 サクリファイス ]''' || ||<(> 2022-04-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02-JPD23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 仮面魔獣デス・ガーディウス ]''' || ||<(> 2004-05-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L-K047 | '''[[마법의 지배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4-08-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P-KR032 | '''[[스타터 덱]] -페가수스 편-''' || ||<(> 2005-04-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YE-KR037 | '''[[스타터 덱]] -유희 편- 에볼루션''' || ||<(> 2005-12-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KR011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드래곤의 힘]]-''' || ||<(> 2005-12-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KR014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언데드의 위협]]-''' || ||<(> 200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1-KR031 | '''[[비기너즈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6-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3-KR015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작열하는 대지]]-''' || ||<(> 2006-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4-KR016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해룡신의 분노]]-''' || ||<(> 2006-12-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5-KR020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전사의 전설]]-''' || ||<(> 2007-06-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6-KR018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마법사의 심판]]-''' || ||<(> 2007-10-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7-KR017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무적의 요새]]-''' || ||<(> 2007-10-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8-KR019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열풍의 패왕]]-''' || ||<(> 2008-04-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04-KR015 | '''[[듀얼리스트 팩]] -헬카이저 편-''' || ||<(> 2008-04-3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09-KR023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고대룡의 분노]]- 스페셜 에디션''' || ||<(> 2008-04-3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0-KR024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기계의 반란(유희왕)|기계의 반란]]- 스페셜 에디션''' || ||<(> 2008-09-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1-KR019 | '''[[익스팬션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09-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GS01-KR011 | '''[[골드 시리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1-05-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L-KRPR2 | '''[[마법의 지배자]] 프로모션 카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1-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YSD6-KR024 | '''[[스타터 덱 2011]]''' || ||<(> 2012-01-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XS12-KR025 | '''[[X-세이버 스페셜 에디션]]''' || ||<(> 2012-04-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2-KR024 | '''[[스타터 덱 2012]] 스페셜 에디션''' || ||<(> 2013-06-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S13-KRL28 | '''[[듀얼리스트 세트]] Ver.라이트닝스타''' || ||<(> 2013-06-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3-KRV12 | '''[[스타터 덱 2013]] 강화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4-03-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6-KR027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 2014-07-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4-KR024 | '''[[스타터 덱 2014]]''' || ||<(> 2015-01-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PTR-KR051 | '''[[부스터 스페셜|부스터 SP]] [[트라이브 포스]]''' || ||<(> 2015-07-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VS15-KRS16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세이버 포스''' || ||<(> 2015-07-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VS15-KRD17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다크 레기온''' || ||<(> 2015-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9-KR031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마스터 오브 펜듈럼]]-''' || ||<(> 2015-12-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PHR-KR043 | '''[[부스터 스페셜|부스터 SP]] [[하이스피드 라이더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6-04-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PWR-KR040 | '''[[부스터 스페셜|부스터 SP]] [[윙 레이더스]]''' || ||<(> 2016-08-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6-KR025 | '''[[스타터 덱 2016]]''' || ||<(> 2017-07-0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7-KR024 | '''[[스타터 덱 2017]]''' || ||<(> 2018-07-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8-KR025 | '''[[스타터 덱 2018]]''' || ||<(> 2019-05-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EC1-KR089 | '''[[레전드 컬렉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R)] || ||<(> 2019-08-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T19-KR026 | '''[[스타터 덱 2019]]''' || ||<(> 2020-06-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38-KR033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 2002-09-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L-047 | '''[[마법의 지배자|Spell Rule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3-03-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P-032 | '''[[스타터 덱|Starter Deck]] Pegasus''' || ||<(> 2004-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YE-037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Evolution''' || ||<(> 2004-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1-EN031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1-EN011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곤의 힘|Dragon's Roar]]''' || ||<(> 200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2-EN014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언데드의 위협|Zombie Madness]]''' || ||<(> 2005-05-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3-EN015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작열하는 대지|Blaze of Destruction]]''' || ||<(> 2005-05-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4-EN016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해룡신의 분노|Fury from the Deep]]''' || ||<(> 2005-10-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5-EN020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전사의 전설|Warrior's Triumph]]''' || ||<(> 2006-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L2-EN002 | '''Hobby League 2'''[* 공식 DB의 레어도는 Ultra Rare (Hobby League Vers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06-01-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6-EN018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마법사의 심판|Spellcaster's Judgement]]''' || ||<(> 2006-05-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7-EN017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무적의 요새|Invincible Fortress]]''' || ||<(> 2006-07-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8-EN019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열풍의 패왕|Lord of the Storm]]''' || ||<(> 2006-10-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09-EN023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고대룡의 분노|Dinosaur's Rage]]''' || ||<(> 2007-0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10-EN024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기계의 반란(유희왕)|Machine Re-Volt]]''' || ||<(> 2007-03-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04-EN015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Zane Truesdale -''' || ||<(> 2008-04-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DE-EN019 | '''[[황제의 강림|The Dark Emperor]]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 2008-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1-EN057 | '''Retro Pack'''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G1-EN058 | '''Dark Legends''' || ||<(> 2009-08-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09-EN014 | '''Duelist League 2010'''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9-10-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WS-EN023 | '''[[전사의 일격|Warriors' Strike]]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 2010-01-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1-EN093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s-5.1|Duel Terminal 1]]'''[*DTP DT 패러렐 레어 사양] || ||<(> 2010-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GLD3-EN040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관련 카드 == === [[더블 싸이크론(유희왕)|더블 싸이크론]] === 자신과 상대의 마법 / 함정을 1장씩 부수도록 나온 변종. === 스페이스 싸이크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512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스페이스 싸이크론, 일어판명칭=スペース・サイクロン, 영어판명칭=Space Cyclone, 속공=, 효과1=필드 위에 존재하는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한다. )] [[빛의 충격파]]에서 등장.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엑시즈 몬스터]] 메타 카드. 싸이크론의 효과와는 거의 관계없다.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걸로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 사용 횟수를 줄일 수 있지만, 차라리 엑시즈 몬스터 자체를 없애버리는 [[강제 탈출 장치]]나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쪽이 낫다. 거의 쓸모가 없는 카드이지만,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 같은 경우 엑시즈 소재가 없어지는 2턴 후 LP를 지불해야 하는데, [[강제전이]]로 상대에게 옮긴 후에 엑시즈 소재를 빨리 제거해버려서 데미지를 주는 정도로 사용할 수는 있겠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61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 || PHSW-KR061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61 || [[노멀#s-2]]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주사위크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17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주사위크론, 일어판명칭=サイコロン, 영어판명칭=Dicephoon, 속공=, 효과1=①: 주사위를 1회 던지고\, 나온 눈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2=●2\, 3\, 4: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효과3=●5: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2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효과4=●1\, 6: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 일단 장점을 살펴보면 ⅙의 확률로 마법 / 함정을 2장 파괴할 수 있고, 파괴 효과가 불확정이라 [[스타더스트 드래곤]] 등에 안 막히며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그 대가로 마함을 1장 파괴할 수 있는 원래 싸이크론의 효과나마 쓸 수 있는 확률이 ½이 되고, ⅓의 확률로 아무것도 못 하고 데미지만 받게 되는 디메리트가 너무 커서 무제한인 싸이크론을 놔두고 채용하기는 좀 실용적이지 못하다. 더군다나 1000 데미지를 받는 눈이 1과 6이라서 [[엉터리#s-2]]가 상대 필드에 있으면 무력해진다. ⅙의 확률로 반드시 마법 / 함정 2장을 파괴해야 하지만 [[개틀링 드래곤]]처럼 파괴 수가 불확정이기 때문인지 마법 / 함정이 필드에 1장만 있어도 발동할 수 있다는 재정이 나와 있다. 단, ⅓ 확률로 마법 / 함정을 파괴하지 않는다고 해서 다른 마법 / 함정이 없을 때도 발동할 수는 없다.[* 단, 듀얼링크스에선 필드 위에 다른 마함이 없어도 발동은 할 수 있다. 1, 6의 효과인 자신은 대미지를 입는 효과 때문인 듯.] 또한 마법 / 함정 1장만 있을 때 발동해서 5가 나오면 어떻게 되는가 하면 개틀링 드래곤처럼 1장이라도 파괴하는 게 아니라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는다'''고 하며, 더블 싸이크론과 마찬가지로 이 효과로 파괴하는 대상에 이 카드는 포함될 수 없다. 원래 일본판 카드 이름인 '사이코론'은 [[주사위]]를 뜻하는 일본어 '사이코로'와 '싸이크론'을 합쳐놓은 말장난 이름이다. 실제로 일러스트도 싸이크론 한가운데에 주사위가 나와있는 모습이고 효과도 주사위 던지기와 관련되어 있다. 영어명 Dicephoon도 'Dice(주사위)+Typhoon(영어명 'Mystical Space Typhoon' 의 Typhoon 부분)'이나 한글판 이름도 주'''사위크론'''으로 언어유희를 살려서 번안되었다. 듀얼링크스에서도 등장. 갤럭시 싸이크론, 더블 싸이크론 등의 고레어 마함 저격 카드가 없는 유저들이 종종 사용한다. 예고 없이 4년 만에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 제왕 강림]]에서 재판되어 사람들을 뜬금없게 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6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진 제왕 강림]] || SR01-KR032 || [[노멀]] || 한국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63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진 제왕 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32 || [[노멀]]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6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진 제왕 강림|Emperor of Darkness Structure Deck]] || SR01-EN032 || [[노멀]] || 미국 || || === [[갤럭시 싸이크론]] === 세트된 카드를 요격할 수 있는 일반 마법. 묘지에서 제외해 앞면 마법 / 함정을 파괴할 수 있는 부가 효과가 있다. === 타이푼 === [[파일:タイフ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타이푼, 일어판명칭=タイフーン, 영어판명칭=Typhoon, 효과외1=상대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가 2장 이상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발동은 패에서도 할 수 있다., 효과1=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TCG Battle Pack에서 발매된 일반 함정 카드 버전 싸이크론. OCG에는 [[엑스트라 팩]] 2015로 들어왔다. 리얼 '[[패 트랩]]'인데, 상대 필드에만 마법 / 함정이 2장 이상 존재하면 패에서도 냅다 갈겨 줄 수 있다. 후공일 때도 패에서 발동할 수 있고, [[마법족의 마을]] 같은 마법 봉쇄 카드들을 뚫고 발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다른 마함 파괴 카드들과 나름 차별화할 수 있다. 무엇보다 함정 카드라서 후공인 플레이어도 냅다 갈겨버릴 수 있다. 특히 '자신 필드에는 없고 상대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 2장 이상'이라는 조건은 첫 턴에 상대가 펜듈럼 소환을 하는 덱이면 충분히 엿먹이기 좋다. 스케일을 세팅했는데 그게 날아가면 멘탈도 날아갈 것이다. 일본에선 [[EMEm]] 전성기 때 그 특성으로 꽤나 채용률이 높았다고 한다. 다만 한국엔 EMEm이 죽은 다음에야 건너왔다. 하지만 싸이크론도 거의 안 쓰는 마당에 이 카드는 발동 조건이 상당히 까다로워 채용률이 매우 낮다. 이 카드를 그나마 쓰기 쉬운 상대인 펜듈럼 덱들이 링크 소환으로 인한 룰 변경으로 나락으로 떨어졌기도 하고. 앞면 마함을 파괴하는 패 트랩으로 쓴다면 차라리 발동이 훨씬 쉽고 몬스터도 파괴 가능한 [[유령토끼]]를 넣는 게 훨씬 낫다. 타이푼이 유령토끼보다 나은 점은 필수 카드들인 [[무덤의 지명자]], [[말살의 지명자]]에 막히지 않는 게 전부. 세트해 놓고 쓴다면 효과는 [[더스트 토네이도]], [[황야의 토네이도]]의 하위 호환. 특별히 더 좋은 점이 없다. 조건부로 패에서 발동이 가능하지만, 앞면 표시의 마함 하나를 파괴하는 비교적 가벼운 효과에 일러스트는 굉장히 중후하고 멋진 게 특징. === [[코즈믹 싸이크론]] === === [[토네이드래곤]] === 싸이크론의 몬스터 버전. === 사이버설 싸이크론 === [[파일:サイバーサル・サイクロ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사이버설 싸이크론,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サル・サイクロン, 영어판명칭=Cybersal Cyclone, 속공=,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링크 마커의 수가 같은 몬스터 1장을 자신 묘지에서 골라 제외하고\, 대상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 효과로 제외한 자신 몬스터의 원래 종족이 사이버스족일 경우\, 추가로 상대의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등장. 원작에선 28화 후지키 유사쿠가 사용. 50화에선 호무라 타케루의 패에 있는걸로 확인 사이버스족 덱이라면 링크 전개도 방해하고 마법 / 함정 하나도 갈아버릴 수 있으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이지만, 파괴하고자 하는 몬스터가 링크 몬스터로 제한되는 데다, 자신 묘지의 몬스터와 동일한 링크를 가진 링크 몬스터를 코스트로 삼아서 파괴하는 것이므로 발동시키기가 의외로 까다로운 편이다. 또한 대상 지정이기 때문에 대상 지정 내성을 가진 링크 몬스터만 존재하면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성잔]]처럼 링크 대량 전개가 가능한 덱에서나 그럭저럭 유용하게 쓸 수 있을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53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53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53 || [[노멀#s-2]]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기타 == * 앞서 언급한 '싸이크론으로 효과 무효화'라는 착각은 인지도가 워낙 높아서인지, 픽시브에서 '[[https://www.pixiv.net/artworks/78235355|아가씨 듀얼리스트는 최강 싸이크론으로 거울의 힘을 자꾸 무효할려고 해(お嬢様YPは最強サイクロンでミラフォを無効にしがち)]]'라는 유희왕 규칙알못 아가씨를 주연 삼은 유희왕 팬 만화가 인기를 얻은 바 있다. 그러나, 어느 순간 듀얼 터미널이나 원작 스토리와 연관을 시키고 스피드 듀얼의 스킬, 듀얼리스트 킹덤의 TRPG 룰 등 현실 OCG와 동떨어진 요소를 마구 집어넣으면서 평가가 다소 떨어졌다. [[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