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싱크론)]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607_1.jpg]] || 한글판 명칭 ||<-4>'''싱크론 캐리어'''|| || 일어판 명칭 ||<-4>'''シンクロン・キャリアー'''|| || 영어판 명칭 ||<-4>'''Synchron Carri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기계족]] || 0 || 1000 || ||<-5>"싱크론 캐리어"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싱크론"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br]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고, 이 카드 이외의 "싱크론" 몬스터가 전사족 또는 기계족 싱크로 몬스터의 싱크로 소재로서 자신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싱크론 토큰"(기계족 / 땅 / 레벨 2 / 공 1000 / 수 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싱크론 익스트림]]의 신규 수록 카드. [[싱크론 익스플로러]]와 마찬가지로 튜너가 아닌 [[싱크론]] 몬스터며, 마찬가지로 싱크론 몬스터를 지원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①의 효과는 [[싱크론]] 몬스터를 추가로 일반 소환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이를 통해 매 턴 싱크론을 추가로 일반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효과를 발동하는 [[정크 싱크론]], 싱크론 익스플로러와의 시너지는 발군. 다른 카드와의 사용은 조금 미묘하나, 도움은 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다른 [[싱크론]] 몬스터가 전사족 또는 기계족 몬스터의 싱크로 소재로 묘지로 보내지면 [[싱크론#싱크론 토큰|싱크론 토큰]]을 특수 소환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불러낸 토큰은 링크 소환이나 액셀 싱크로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는 등 활용도는 높지만, 효과의 발동 조건이 한정적인 게 아쉽다. 그래도 [[신의 심판]] 등에 싱크로 소환이 무효되더라도 이 카드의 효과 발동에는 지장이 없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기는 하다. [[정크도플]] 덱에서의 주된 사용법은 역시 [[정크 싱크론]]과 [[정크 스피더]]로 연결하는 것이다. 아니면 다른 싱크론과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뽑는 것. 카드 단독으로는 여러모로 소환하기도 쉽고 레벨도 같으면서 같은 토큰을 소환하는 몬스터인 [[도플 워리어]]에 비해 많이 밀린다. 싱크론 캐리어에 비해 그쪽은 턴 제한도 없으며, 따라 정크 싱크론, [[천륜(유희왕)|천륜의 쌍성도사]] 등의 카드로 끌어올려 계속 재활용 할 수 있고, 토큰도 레벨 2 토큰 1장이 아닌 레벨 1 토큰 2장을 특수 소환하므로 좀 더 미세한 조정에 용이하고 다른 개체와의 사용도 쉽다. 물론 그쪽은 필드에 남아있을 경우엔 제 역할을 못하지만, 그만큼 이 카드는 자기 자신을 소재로 해서는 제 역할을 못하기에 전혀 우월할 점이 아니다(...). 결국 싱크론을 1번 더 일반 소환할 수 있다는 것을 차별점으로 두지 않으면 하위호환에 가까운 카드라는 것. 물론 [[라이딩 듀얼! 액셀러레이션!]]으로 서치가 가능하다는 차별점이 생겼고 도플 워리어의 단짝 친구인 정크 싱크론이 또 이 카드와 궁합이 아주 잘 맞는다는 점을 이용해 그 세 카드를 함께 사용해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취향차이. 참고로, 이 카드의 역할이 가장 빛을 발하는 순간이 있는데, 바로 [[정크 워리어]]를 싱크로 소환할 때다. 위에서 말한 도플 워리어까지 동원하면 싱크로 소환 1번으로 정크 워리어의 공격력이 '''4100''' 까지 올라가기 때문. 그렇지 않더라도 이 카드 자체만으로도 3300까지는 올려낼 수 있다. 전용 덱을 짠 상황이라면 분명 다른 카드와의 콤보가 차고 넘침이 분명하기에, 정크 워리어를 주축으로 한 덱에서는 우수한 카드로서 활용할 수 있다. 마침 같이 출시된 [[스크랩 피스트]]도 정크 워리어의 지원 카드니 함께 사용하도록 하자.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싱크론 익스트림|-シンクロン・エクストリーム]]- || SD28-JP003 ||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싱크론 익스트림|Synchron Extreme]]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D28-EN00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Maximum Gold || MAGO-EN094 ||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싱크론 익스트림]]- || SD28-KR003 || [[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싱크론#싱크론 토큰|싱크론 토큰]] ===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