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싱가포르의 철도 운행 노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싱가포르 MRT|[[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싱가포르 MRT|{{{#FFFFFF {{{+1 '''싱가포르 MRT'''}}}}}}]]}}}|| ||<-2>{{{#!wiki style="margin: -5px -10px"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파일: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로고.svg|width=100%]]]]}}} || ||<-2>[[파일:CT251-Exterior-LTA-1.jpg|width=100%]] || ||<-2> {{{#9D5B25 '''Thomson–East Coast Line'''[br]新加坡地铁汤申-东海岸线[br]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 || ||<-2> '''{{{#fff 노선 명}}}'''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영어]] || Thomson–East Coast MRT line || || [[마인어|말레이어]] || Laluan MRT Thomson-Pantai Timur || || [[정자(한자)|정체자]] || 場申-東海岸地鐵線 || || [[간체자]] || 汤申-东海岸地铁线 || || [[타밀어]] || தாம்சன் - ஈஸ்ட் கோஸ்ட் எம்ஆர்டி வழி ||}}}}}}}}} || ||<-2> '''{{{#ffffff 노선 정보}}}''' || || '''소유자''' || [[Land Transport Authority|[[파일:Land Transport Authority 로고.svg|height=40]]]] || || '''운영기관''' || [[SMRT#s-3|[[파일:SMRT_Trains_logo.svg.png|width=140]]]] || || '''분류''' || [[MRT]] || || '''노선 기호''' || '''{{{#!html TEL}}}''' || || '''상징색'''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9D5B25;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갈색 {{{-2 (#9D5B25)}}}}}}}}} || || '''개업일''' || [[2020년]] [[1월 31일]] || || '''구성 노선''' ||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 || '''사용차량''' || [[싱가포르 MRT CT251형 전동차]] || || '''차량기지''' || 만다이 차량기지 [br] 이스트 코스트 차량기지 || ||<-2> '''{{{#ffffff 노선 제원}}}''' || || '''영업거리''' || 30.4 km [* 전체 구간이 개통되면 43 km가 될 예정이다.] || || '''궤간''' || 1,435 mm || || '''역 수''' || 20 [* 전체 구간이 개통되면 32개가 될 예정이다. 참고로, 2040년에 연장되면 36개.] || || '''사용전류''' || 직류 750 V [[제3궤조집전식]] || || '''신호방식''' || [[CBTC]] / [[ATC]] / [[ATO]] || || '''최고속도''' || 90 km/h || || '''표정속도''' || 80 km/h || || '''지상구간''' || [*없음 전 구간 지하.] || || '''개통연혁''' ||2020.1.31 우드랜즈 노스 ~ 우드랜즈 사우스 [br] 2021.8.28 우드랜드 사우스 ~ 칼데콧 [br] 2022.11.13 칼데콧 ~ 가든즈 바이 더 베이[*A 마운트 플레젠트,마리나 사우스 제외] || || '''개통예정''' ||2024 가든즈 바이 더 베이 ~ 베이 쇼어 [br] 2025 베이 쇼어 ~ 숭에이 베독 [br] 2027 파운더즈 메모리얼 [br] 불명 마운트 플레전트, 마리나 사우스 [br] 2040년대 타나메라 ~ 창이공항 5 터미널 || [목차] [clearfix] == 개요 ==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은 싱가포르의 여섯번째 MRT 노선으로, 노선색은 갈색이다. 총 5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공사중이며, 2020년 1월 31일에[* 모종의 이유로 2019년에서 연기됨] 제 1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21년 8월 28일에 2구간이 개통했고 이후 2022년 3~4분기 그리고 2024년에 각각 제3, 4, 그리고 제 5구간의 개통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2구간은 코로나 19로 인해 2020년 4분기 개통이 불가능해져서 2021년 3분기에 개통 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https://www.straitstimes.com/singapore/transport/stage-2-of-thomson-east-coast-line-to-be-delayed-by-another-six-months-to-q3|관련 뉴스 링크]]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경계에 근접한 우들랜드 노스(우들랜드 북부역)부터 우들랜드역을 경유, 우들랜드 사우스(남부역)~~마치 서울의 [[잠실새내역|어]][[잠실역|디]][[잠실나루역|를]] 보는 것 같지만 넘어가자.~~까지가 2020년 1월 31일에 개통한 제 1구간 예정이며[* 사실 싱가포르에는 이런 종류의 역이 매우 많다. 한국의 동두천 ~ 동두천 중앙, 과거의 의정부북부 ~ 의정부, 의정부 ~ 의정부 중앙, 도봉상 ~ 도봉,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종로 5가 ~ 종로 3가,용산 ~ 신용산,구로~ 남구로~ 구로디지털단지,인천 ~ 동인천,오산 ~ 오산대, 평택지제 ~ 평택, 앞서 언급 한 잠실 시리즈, 신정,신정네거리, 영등포 ~ 영등포구청, 을지로입구 (1가) ~ 3가 ~4가, 상왕십리 ~ 왕십리, 뚝섬 ~ 뚝섬유원지,금호 ~ 신금호미아 ~ 미아사거리, 하나검단산 ~ 하남시청 ~ 하남풍산, 여의나루 ~ 여의도,마포 ~ 마포구청, 논현 ~ 신논현,반포 ~ 신반포 ~ 구반포, 보라매 ~ 보라매공원 ~ 보라매병원, 과거의 광명 ~ 광명사거리,부천종합운동장 ~ 부천 ~ 부천시청,신중동 ~ 중동, 부평 ~ 부평구청,강동 ~ 강동구청, 송파 ~ 송파나루,삼성중앙 ~ 삼성,석촌 ~ 석촌고분, 둔춘동 ~ 둔촌오륜,목동 ~ 신목동,마곡 ~ 마곡나루, 방화 ~ 신방화등 한가지 이름은 같으나 위치나 특별 시설 이름등 붙은 역이 매우 많다. ], 2024년까지 숭게이 베독역[* 차후 다운타운선의 3e(Stage 3 extension, 3구간 추가연장)구간의 두개 역의 개통이 2024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아, 아무래도 숭에이 베독 역에서의 두 노선의 환승을 위함으로 보인다.]을 끝으로 총 5년간의 공사 후 완공이 된다면 싱가포르의 북부에서 남부를 거쳐 동부로 가는 ㄴ자 형태의 노선이 될 예정이다. 집전 방식은 [[싱가포르 MRT 동북선|한 노선]]을 제외하고 늘 그래왔듯이 제3궤조 집전방식을 채택했으며, [[싱가포르 MRT 동북선]] 이후로 개통되는 모든 노선들이 그랬듯이 전구간 무인운전으로 운행되고 있다[* 완전히 개통되면 총 43킬로미터로, 세계에서 가장 긴 무인운전 지하철 노선이 될 것이다.]. 노선 계획 극 초반에는 두 개의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먼저 계획된 구간은 현재의 3, 4, 5구간과 겹치는 동부선(Eastern Region Line)으로, 2001년부터 계획이 시작되었고, 나머지 구간은 톰슨선(Thomson Line)으로, 2008년부터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2014년 8월 15일에 발표된 싱가포르 LTA의 최종결정안에는 두 노선이 직결된 현재의 톰슨-이스트코스트선의 형태가 나왔다.[* 당시에도 직결 운행을 전제로 하고 계획된 노선이다.] == 차량 == || [[파일:CT251-Exterior-LTA-1.jpg|width=100%]] || || 가와사키 중공업제 [[싱가포르 MRT CT251형 전동차|CT251형 차량]] , 톰슨 이스트 코스트 선 91편성 중 29 편성 운행 중 || [[http://www.sgtrains.com/img/trains/ct251/ct251-exterior.jpg|LTA 본사에 전시되었던 목업 차량. 다운타운 선 차량의 목업도 함께 전시되어 있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535b_ce9aa84d0ea64f18b5e0e1b7526b91c6.jpg_srb_p_1025_577_75_22_0.50_1.20_0.00_%E2%80%8Bjpg_srb|CAF가 내놓은 3D 렌더링 1안. 위의 목업과는 다른, 노선색과 열차색이 매칭되지 않는 디자인이 되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535b_6b6bf0309f7e41908f8c7cb86109d0fe.jpg_srb_p_1026_577_75_22_0.50_1.20_0.00_%E2%80%8Bjpg_srb|CAF가 내놓은 3D 렌더링 2안. 또 다른 디자인. 하지만 결국 가와사키 중공업-CRRC 컨소시엄이 낙찰되면서 실제로 제작되지는 않았다.]] 차량은 [[가와사키 중공업]] - [[중국중차|CRRC 칭다오 쓰팡]] 컨소시엄에서 제작되는[* 입찰 당시 이 회사 외 알스톰, CAF, 현대로템, 봄바르디어, CRRC 주저우 등이 경쟁하였다.] [[싱가포르 MRT CT251형 전동차]]를 사용할 예정이며,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에서 사용하는 봉바르디에 MOVIA C951과 비슷한 형태의 차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1량당 문이 총 10곳(한 면에 5개)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C951의 1량당 전장인 23.37미터보다 짧아진 22.9미터가 된다. 결국 목업에 전시된대로 갈색과 노란색 줄무늬로 된 차량이 반입되었다. == 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l_sm_tel1.png|width=100%]]}}} || || 역번호 || 한국어 역명 || 영어/말레이어 역명 || 중국어 역명 || 타밀어 역명 || 환승노선 || 비고 || ||<-7> '''{{{#ffffff Stage 1 / 제 1구간 - 2020년 1월 31일 개통}}}''' || || TE1 || [[우드랜즈 노스 역]] || Woodlands North || 兀兰北 || உட்லண்ட்ஸ் நார்த் || || [* 2026년에 조호르바루-싱가포르 RTS선과의 직결이 될 예정이다.] || || TE2 || [[우드랜즈 역]] || Woodlands || 兀兰 || ஊட்லண்ட்ஸ் ||'''{{{#!html NSL}}}''' [[싱가포르 MRT 남북선|남북선]] || || || TE3 || [[우드랜즈 사우스 역]] || Woodlands South || 兀兰南 || உட்லண்ட்ஸ் சவுத் || || || ||<-7> '''{{{#ffffff Stage 2 / 제 2구간 - 2021년 8월 28일 개통}}}''' || || TE4 || [[스프링리프 역]] || Springleaf || 春叶 || ஸ்பிரிங்லீஃவ் || || || || TE5 || [[렌토르 역]] || Lentor || 伦多 || லென்ட்டோர் || || || || TE6 || [[메이플라워 역]] || Mayflower || 美华 || மேஃபிளவர் || || || || TE7 || [[브라이트 힐 역]] || Bright Hill || 光明山 || பிரைட் ஹில் ||--'''{{{#!html CRL}}}''' [[싱가포르 MRT 크로스 아일랜드선|크로스 아일랜드선]]-- || || || TE8 || [[어퍼 톰슨 역]] || Upper Thomson || 汤申路上段 || அப்பர் தாம்சன் || || || || TE9 || [[칼데콧 역]] || Caldecott || 加利谷 || கால்டிகாட் ||'''{{{#!html CCL}}}''' [[싱가포르 MRT 서클선|서클선]] || || ||<-7> '''{{{#ffffff Stage 3 / 제 3구간 - 2022년 11월 13일 개통}}}''' || || TE10 || --[[마운트 플레전트 역]]-- || --Mount Pleasant-- || --快乐山-- || --மவுண்ட் பிளசண்ட்-- || || [*미개통 주변 지역 미개발로 차후 개통 예정] || || TE11 || [[스티븐스 역]] || Stevens || 史蒂芬 || ஸ்டீவன்ஸ் ||'''{{{#!html DTL}}}'''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다운타운선]] || || || TE12 || [[네이피어 역]] || Napier || 纳比雅 || நேப்பியர் || || || || TE13 || [[오차드 볼리바드 역]] || Orchard Boulevard || 乌节林荫道 || ஆர்ச்சர்ட் பொலிவார்ட் || || || || TE14 || [[오차드 역]] || Orchard || 乌节 || ஆர்ச்சர்ட் ||'''{{{#!html NSL}}}''' [[싱가포르 MRT 남북선|남북선]] || || || TE15 || [[그레이트 월드 역]] || Great World || 大世界 || கிரேட் வோர்ல்ட் || || || || TE16 || [[해블락 역]] || Havelock || 合乐 || ஹவ்லாக் || || || || TE17 || [[우트램 파크 역]] || Outram Park || 欧南园 || ஊட்ரம் பார்க் ||'''{{{#!html EWL}}}''' [[싱가포르 MRT 동서선|동서선]] [br] '''{{{#!html NEL}}}''' [[싱가포르 MRT 동북선|동북선]] || || || TE18 || [[맥스웰 역]] || Maxwell || 麦士威 || மெச்ஸ்வெல் || || || || TE19 || [[셴튼 웨이 역]] || Shenton Way || 珊顿大道 || ஷென்ட்டன் வே || || || || TE20 || [[마리나 베이 역]] || Marina Bay || 滨海湾 || மரீனா பே ||'''{{{#!html NSL}}}''' [[싱가포르 MRT 남북선|남북선]] [br] '''{{{#!html CCL}}}''' [[싱가포르 MRT 서클선|서클선]] || || || TE21 || --[[마리나 사우스 역]]-- || --Marina South-- || --滨海南-- || --மரினா சவுத்-- || || [*미개통 주변 지역 미개발로 차후 개통 예정] || || TE22 || [[가든즈 바이 더 베이 역]] || Gardens by the Bay || 滨海湾花园 || கரையோரப் பூந்தோட்டங்கள் || || [* 보타닉 가든 역과 더불어 두개의 별도 말레이어 역명이 존재하게 될 역이다. 말레이어 역명은 Taman di Pesisiran. 뜻은 영어 그대로 해안가에 위치한 정원이다.] || || TE22a || --[[파운더스 메모리얼역]]-- || --Founders' Memorial-- || --建国先贤纪念园-- || --தேச நிறுவனர்கள் நினைவிட நிலையம்-- || || [* [[2027년]]에 가든스 바이 더 베이 역하고 탄종루 역 사이에 생길 역이다.] || ||<-7> '''{{{#ffffff Stage 4 / 제 4구간 - 2024년 개통 예정}}}''' || || TE23 || --[[탄종 루역]]-- || --Tanjong Rhu-- || --丹戎禺-- || --தஞ்சோங் ரூ-- || || || || TE24 || --[[카통 파크역]]-- || --Katong Park-- || --加东公园-- || --காத்தோங் பார்க்-- || || || || TE25 || --[[탄종 카통역]]-- || --Tanjong Katong-- || --丹戎加东-- || --தஞ்சோங் காத்தோங்-- || || || || TE26 || --[[마린 퍼레이드역]]-- || --Marine Parade-- || --马林百列-- || --மரீன் பரேட்-- || || || || TE27 || --[[마린 테라스역]]-- || --Marine Terrace-- || --马林台-- || --மரீன் டெரஸ்-- || || || || TE28 || --[[식랍역]]-- || --Siglap-- || --实乞纳-- || --சிக்லாப்-- || || || || TE29 || --[[베이쇼어역]]-- || --Bayshore-- || --碧湾-- || --பேஷோர்-- || || || ||<-7> '''{{{#ffffff Stage 5 / 제 5구간 - 2025년 개통 예정}}}''' || || TE30 || --[[베독 사우스역]]-- || --Bedok South-- || --勿洛南-- || --பிடோக் சவுத்-- || || || || TE31 || --[[숭에이 베독역]]-- || --Sungei Bedok-- || --双溪勿洛-- || --சுங்கை பிடோக்-- ||--'''{{{#!html DTL}}}'''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다운타운선]]-- || || ||<-7> '''{{{#ffffff Stage 6 / 제 6구간 - 2040년 개통 예정}}}''' || || TE00 || --[[창이 공항 제5 터미널역]]-- || Changi Airport [br] Terminal 5 || || ||--'''{{{#!html CRL}}}''' [[싱가포르 MRT 크로스 아일랜드선|크로스 아일랜드선]]-- || || || TE00 || --[[창이 공항 역]]-- || Changi Airport || 樟宜机场 || சாங்கி விமானநிலையம் ||'''{{{#!html EWL}}}''' [[싱가포르 MRT 동서선|동서선]] || || || TE00 || --[[엑스포 역]]-- || Expo || 博览 || எக்ஸ்போ ||'''{{{#!html DTL}}}'''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다운타운선]] [br] '''{{{#!html EWL}}}''' [[싱가포르 MRT 동서선|동서선]] || || || TE00 || --[[타나 메라역]]-- || Tanna Merah || 丹那美拉 || தானா மேரா ||'''{{{#!html EWL}}}''' [[싱가포르 MRT 동서선|동서선]] || || == 주행 영상 == ||[youtube(291bv7Lk7Dg)]|| || {{{#white '''가든즈 바이 더 베이 → 우드랜즈 노스 운행 영상'''}}} || ||[youtube(GWFRC3E19rU)]|| || {{{#white '''우드랜즈 노스 → 가든즈 바이 더 베이'''}}} || [각주] [[분류:싱가포르 MRT]][[분류:2020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