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각국 영화)] [include(틀:싱가포르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싱가포르]]의 [[영화]]에 대한 문서. == [[영화 시장]] == [[동남아시아]] 유일의 [[선진국]]인 [[싱가포르]]답게 영화 시장은 가장 발달되어 있다. 문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너무나도 적은 인구로 인해 시장 규모가 작다. [[부산광역시|부산]] + [[울산광역시|울산]]의 인구와 엇비슷한 까닭에 시장 규모도 작고, [[영미권|영어권]] + [[중화권]]인데다 외부와 교류가 많은 까닭에 자국 영화의 점유율이 '''4.9%'''에 불과하다. [[2011년]] 기준 싱가포르 영화 시장은 [[싱가포르 달러]]로 1.89억 달러, [[미국 달러]]로 환산하면 1.1억 달러 정도 된다. 물론 인구에 비해 영화 시장 규모는 크고 수준은 높지만 [[도시국가]]의 한계를 보인다. 싱가포르 영화 시장에서 [[미국 영화]] 점유율이 한때는 80% 이상에 육박했다. 지금은 [[미국 영화]], [[영국 영화]] 외에도 [[한국 영화]], [[일본 영화]], [[대만 영화]], [[중국 영화]], [[홍콩 영화]], [[호주 영화]], [[인도 영화]] 등 다양한 국적의 영화가 유입되면서 [[미국 영화]]의 점유율이 감소했다. 그래도 [[미국 영화]], [[영국 영화]]를 합치면 기본 50% 이상 차지하고 자국 영화는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 역사 == === [[독립]] ~ [[리콴유]] 집권기([[1990년]]) === === [[고촉통]] 집권기([[1990년]] ~ [[2004년]]) === 싱가포르 영화 산업은 사실상 에릭 쿠라는 감독이 하드캐리해 숨통이 틔고 성장한 경향이 있다. 놀랍게도 에릭 쿠 이전엔 싱가포르인이 만든 싱가포르 영화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다. 일단 [[싱가포르]] 특성상 검열이 매우 심했고, [[싱가포르]]에서는 타 [[영미권|영어권]]과 같이 [[미국]], [[영국]]에 진출하는 비중이 높은데다 내수 시장이 작았다. 싱가포르 재벌 서열 1위인 쿠 텍 푸아트의 아들인 에릭 쿠는 영화광이었는데, 당시 싱가포르 영화 산업은 상당히 미약한 수준이었다고 한다.[* 정작 에릭 쿠는 이 이야기를 하는걸 매우 싫어한다.] 당시 아버지의 반대가 심했지만, 어머니가 전폭적으로 지원해줘서 호주 영화학교 유학까지 갔다온 에릭 쿠는 군인 신분으로 단편 영화를 만들어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데뷔작 면로와 두번째 영화 12층으로 [[칸 영화제]]에서 화제를 불러일으키면서 스타가 되었고 쿠 가문 역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큰 영향을 발휘하게 되었다. 쿠 가문이 워낙 권력이 막강해서 사회 비판적인 내용에 대한 검열도 제재를 받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다보니 싱가포르 제계 1위인 에릭 쿠 가문 역시 비판을 받는다. 하지만 에릭 쿠는 12층 이후 잠시 감독직에서 멀어져 산업 육성과 검열 완화에 힘을 썼다고 한다. 이렇게 싱가포르 영화계를 갈고 닦은 에릭 쿠는 동남아시아 영화들에게도 아낌없이 지원을 해줘서 동남아시아 영화들을 발전하는데 큰 공을 거뒀다. 그렇게 후진 양성에 힘을 쓰다가 7년만에 복귀작 내 곁에 있어줘를 내놓았는데 엄청난 호평을 들으며 2000년대 걸작선에 꼽히는 영화가 되었다. === [[리셴룽]] 집권기 초기([[2004년]] ~ [[2010년]]) === === [[2010년]] 이후 === [[미국 영화]], [[영국 영화]] 위주인 싱가포르 영화 시장에 [[한국 영화]], [[일본 영화]], [[대만 영화]], [[중국 영화]], [[홍콩 영화]], [[호주 영화]], [[인도 영화]] 등이 진출하면서 시장의 다양성이 발생했다. [[일본 영화]]는 실사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를 가리지 않고 싱가포르에 진출하고 [[한국 영화]]는 많은 작품들이 진출하지만 아직은 유명한 작품들 위주로 진출한다. [[중국 영화]]는 [[중화권]] 버프를 타고 [[싱가포르]]에 도전장을 내밀지만 [[싱가포르]] 내 [[반중/국가별 사례|반중 현상]], [[중국 영화]]의 문제점으로 인해 외면을 받고 있다. 오히려 [[말할 수 없는 비밀]], [[나의 소녀시대]],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로 시장에 진출한 [[대만 영화]], [[이소룡]], [[성룡]], [[주윤발]], [[주성치]], [[홍금보]], [[유덕화]] 등으로 전통적인 인기를 얻은 [[홍콩 영화]]가 더 인기가 있다. == 작품 == * 내 곁에 있어줘 * 나의 마법 * 하우스메이드 * [[좀비 워]] == [[영화 감독]] == * 에릭 쿠 == [[영화 배우]] == * 범문방(范雯芳)[* 1998년 싱가포르판 [[신조협려]]에서 [[소용녀]]를 연기한 배우] * 이명순(李銘順)[* 1998년 싱가포르판 [[신조협려]]에서 [[양과]]를 연기한 배우. 위의 소용녀를 연기한 범문방과 아예 결혼도 한 상태다. 2014년판 신조협려에서 [[황약사]] 역으로 특별출연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유명한 무협지 [[신조협려]] 드라마판에 출연해서 그나마 한국의 중국드라마 내지는 무협물 팬들 사이에서 유명한 싱가포르 배우이기도 하다. 다만 이명순은 범문방과 다르게 원래 출신지는 [[말레이시아]]다.] == [[영화관]] == * 캐세이시네플렉스 (Cathay Cineplexes): [[http://www.cathaycineplexes.com.s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Cathay Organisation에 속해있는 [[영화관]] 체인으로 싱가포르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크다. (2023년 7월 기준 총 8곳의 체인과 61개의 상영관) 주로 젊은 관객층 및 가족 관객들이 선호하는 편이다. * 골든빌리지 (Golden Village): [[https://www.gv.com.s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홍콩의 [[골든하베스트]]와 호주의 빌리지 로드쇼의 50:50 조인트벤처로 설립된 싱가포르 최대 규모의 영화관 체인. (2023년 7월 기준 총 14곳의 체인과 113개의 상영관) 현재는 [[오렌지스카이 골든하비스트]]가 모든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독점상영하는 경우가 많다. * 쇼 시어터즈 (Shaw Theatres): [[https://www.shaw.s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싱가포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영화관 체인으로 규모는 3위. (2023년 7월 기준 총 9곳의 체인과 78개의 상영관) 싱가포르에서 유일하게 [[IMAX]] 포맷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2019년 3월 완공 후 [[싱가포르 창이 공항|창이공항]]에 오픈한 복합몰 (Jewel Changi Airport) 내에 입주했다. [[분류:싱가포르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