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의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faa.or.kr/991213711_cJzXI7sU_BDC5BDCAC0E5BBFDB5B5C6EDC1FD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fs9.blog.daum.net/471ffc9157dc5&filename=bamboo1030_5.jpg|width=100%]]}}} || || {{{#FFD700 ''' 〈십장생도〉'''}}} || 십장생 ([[十]][[長]][[生]])은 열(十) 가지 [[장수|오래(長) 사는(生)]] 것들을 이르는 말이다. 직역하자면 오래 사는 열 가지 생물인데, 실제로는 생물학적 분류로 무생물인 것이 태반이다. 따라서 생물이라기보다는 생성이나 형성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목록은 [[태양|해]][*A 자연물], [[산]][*A 자연물], [[물]][*A 자연물], [[암석|돌]][*A 자연물], [[달]][*A 자연물] 또는 [[구름]][*A 자연물], [[소나무]][*B 생물], [[불로초]][*B 생물], [[거북]][*B 생물], [[두루미]][*B 생물], [[사슴]][*B 생물]이다. 앞의 6개[*A 자연물]는 자연물, 뒤의 5개[*B 생물]는 생물이다. 경우에 따라 [[시내(동음이의어)|내(川)]]랑 [[대나무]]가 자연물과 생물에 대신 포함된다. 이들은 수명이 10년 내외인 사슴을 제외하면 실제로도 오래 산다.[* 대신 사슴은 계속 새로 자라나는 [[녹용]]이 생명력의 원천으로 여겨졌고 사람들은 녹용을 약재로 섭취했다.] 해와 달 같은 앞의 자연물들이야 수십억 년을 존재했고[* 태양 - 45억 6721만 년, 달 - [[https://zdnet.co.kr/view/?no=20200715140304|44억 2500만 년]]], 불로초는 가상의 존재라 제외하면 소나무와 대나무, 두루미, 거북은 종류와 상황에 따라 80년 ~ 100년 이상까지 살기 때문에 인간 기준으로도 상당히 오래 사는 생물들이다. === 십장생도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의 유형 문화재}}}]]''' || || 136호 ||<|2> ← || '''137호''' ||<|2> → || 138호 || || [[본원정사 목 보살좌상 (지장보살)|본원정사 목 보살좌상[br](지장보살)]] || '''십장생도''' ||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6호}}}]]''' || ||<-2> {{{#fff {{{+1 '''십장생도'''}}}[br]{{{-1 十長生圖}}}}}}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역사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서울]] [[종로구|종로]] [[새문안로|새문안]] 55[br]([[신문로|신문]] 2가 2-1, [[서울역사박물관]]) || || '''{{{#fff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영모화조화 / 영모화 || || '''{{{#fff 수량 / 면적}}}''' || 병풍 한틀 (10幅) || || '''{{{#fff 지정연도}}}''' || [[2001년]] [[12월 31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조선 후기]] ([[19세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십장생도.jpg|width=100%]]}}} || || {{{#FFD700 '''십장생도[*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320&ccbaKdcd=21&ccbaAsno=0137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clearfix] ---- 조선 말기 궁중에서 그린 십장생도가 있다. 10폭을 [[병풍]] 하나로 합친 [[그림]]이며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이 그림은 2001년 12월 31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7호로 지정받았다. === 1에서 유래된 [[화장품]] 이름 === 이름의 유래는 1. 광고 모델은 [[전인화]]. 로제 화장품에서 개발한 한방라인 화장품 브랜드로, 중년 여성이 타켓인 듯. == 신조어 == '''십'''대도 '''장'''차 백수가 되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는 말의 준말로, 한국의 세태를 비꼬는 말. [[이태백]], [[삼팔선]] 등 성인들의 취업난에 관한 신조어가 생기더니 어느새 십대 소년들의 장래에 대한 우려를 의미하는 신조어까지 생겨나고 말았다. === 관련 문서 === * [[이태백]] * [[삼팔선(동음이의어)#s-3|삼팔선]] * [[사오정(동음이의어)#s-4|사오정]] * [[오륙도]] * [[육이오]] == 비속어 == 본래 뜻에 의하면 절대로 욕이 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감 때문에 [[욕설]]로도 쓰이고 있다. '십'으로 시작하기에 발음을 조금만 세게 하면 [[씹|욕설]]로 들리기 때문인 듯하다. '[[욕 먹으면 오래 산다]]'는 속설과 관련지으면 '십장생만큼 오래 살 정도로 욕 먹을 놈'이라는 뜻이 되는 경우가 있다. [[웃찾사]] 초기 시절 한 코너에서 이 말이 나왔는데, 이후 자주 쓰이고 있다. 십장생이라는 말 자체는 사전적으로 비속어로 분류가 안 되므로 검열에 안 걸리는 것도 한 몫 한다. 예시) >[[욕이라는 건 말이다]], 옘병 땀병에 가다버릴 속병에 걸려가지고 땀통이 끊어지면은 끝나는 거고 [[시베리아]] 벌판에서 얼어죽을 년 같으니! '''십장생''' 같은 년! 옘병 땀병에 그냥, 땀통 끊어지면은 그냥 죽는 거야, 이 년아. 이런 [[개나리]]를 봤나! 야, 이 십장생아! [[귤]] 까라 그래! 거이 [[시베리아]]야, 예라이 [[쌍화차|썅화차]]야! 이 시베리아 벌판에서 귤이나 까라! - By [[김영옥(배우)|김영옥]] in [[올드미스 다이어리]] >3학년 4반이다, 이 '''십장생'''아! - By [[오니즈카 에이키치]] in [[GTO(만화)/애니메이션|GTO 투니버스 더빙판]]. == [[정구(작가)|정구]]의 [[십장생(소설)|무협소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십장생(소설))]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국어 욕설]][[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서울역사박물관 소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