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같은 이름의 교수, rd1=심재권(교수))]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강동구 을|{{{#cfa547 강동구 을}}}]])'''}}} || || 제13-15대[br][[김중위]] || → || '''제16대[br]심재권''' || → || 제17대[br][[이상경(1964)|이상경]] || || 제18대[br][[윤석용]] || → || '''제19-20대[br]심재권''' || → || 제21대[br][[이해식]] ||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새천년민주당|[[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width=35]]]] [[새천년민주당|[[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110]]]] {{{#ffffff '''사무총장'''}}} || || 제4대[br][[이협(정치인)|이협]] || → || '''직무대행[br]심재권''' || → || 제5대[br][[김원길]]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580009,#fe8f9a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 [[외교통일위원회|{{{#cfa547 외교통일위원장}}}]]'''}}} || || 제19대 후반기[br][[나경원]] || → || '''제20대 전반기[br]심재권''' || → || 제20대 후반기[br][[강석호]] || ---- }}} || ||<-2> '''대한민국 제16·19·20대 국회의원[br]{{{+1 심재권}}}[br] 沈載權 | Sim Jae-kw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심재권.jpg|width=100%]]}}} || ||<|2> '''출생''' ||[[1946년]] [[8월 15일]] ([age(1946-08-15)]세)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삼례면]][br](현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http://www.jj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0644|#]]] || || {{{#ffffff '''본관'''}}} ||[[청송 심씨]][* 인수부윤공파-참봉공 현(鉉)파 25세 재(載) 항렬.] || || {{{#ffffff '''혈액형'''}}} ||[[O형]] || || {{{#ffffff '''가족'''}}} ||부인 정명숙[* 鄭明淑. 1956년 10월 2일생. [[경주 정씨]]이다.], 슬하 1남 || || {{{#ffffff '''학력'''}}} ||[[배명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경제학부|서울대학교 상과대학]] {{{-2 ([[무역학과|무역학]] / [[제적]])}}}[br][[모내시 대학교|모내시 대학교 대학원]] {{{-2 ([[국제정치학]] / [[박사]])}}} || || {{{#ffffff '''병역'''}}} ||면제,,(고령),,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의원 선수'''}}} ||'''3''' || || {{{#ffffff '''의원 대수'''}}} ||'''[[제16대 국회의원|16]],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 || {{{#ffffff '''현직'''}}}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이사 || || {{{#ffffff '''약력'''}}}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위원장[br][[새정치국민회의]] 창당발기인[br][[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부의장[br]녹색환경연구소 연구위원[br][[제16대 국회의원]] {{{-2 ([[강동구 을|서울 강동구 을]] / [[새천년민주당]])}}}[br][[새천년민주당]] [[김대중]] 총재 비서실장[br][[새천년민주당]] 기조위원장[br][[새천년민주당]] 사무총장 권한대행[br][[제16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화관광위원회]] 간사[br]제16대 국회 후반기 보훈특별위원회 간사[br][[새천년민주당]] [[조순형]] 대표 비서실장[br]시민일보 사장[br][[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서울시당 위원장[br][[민주당(2008년)|민주당]] 서울시당 위원장[br][[제19대 국회의원]] {{{-2 (서울 강동구 을 / [[민주통합당]])}}}[br][[제19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외교통상통일위원회]] 간사[br]제19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간사[br][[제20대 국회의원]] {{{-2 (서울 강동구 을 / [[더불어민주당]])}}}[br][[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 위원장[br]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이사 || || {{{#ffffff '''외부 링크'''}}} ||[[http://blog.naver.com/shimjk815|[[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jk0815, 크기=24)] | [[https://www.facebook.com/jkshim0588|[[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channel/UCIVwzvh9brQf8A75-zuAJd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생애 == 1946년 8월 15일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삼례면]](현 [[완주군]] [[삼례읍]])에서 아버지 심병구(沈炳求, 1912. 6. 24 ~ 1996. 2. 21)와 어머니 [[전주 이씨]] 이부용(李芙蓉, 1914. 10. 21 ~ 2006. 1. 31)[* 이봉선(李奉善)의 딸이다.] 사이의 4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대표적인 [[민주화]]운동가, [[학생운동]]가 출신. [[배명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경제학부|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무역학과]]에 재학 중일 때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서울대 동기이자 친구 [[김근태]]와 함께 서울대 학생운동을 이끌던 주요인물이었다. 아이러니하게 [[김문수]]가 젊은 시절 처음으로 민주화운동에 관심을 갖게 한 인물이다.[* 심재권이 같은 상과대 5년 선배였다.] 1970년 강의 시작 전 강의실에 들어가 후배들에게 연설하였는데, 이 때 심재권을 보고 매료된 신입생이 바로 김문수. 김문수의 회고로는 강의시간 직전에 강의실에 자신있게 들어와 "후배 여러분들은 머리 좋아 일류대학 들어와 입신양명하는 게 중요한가? 일류대학에 출세하러 왔는가?”라고 외치던 심재권의 카리스마에 완전히 반해서 마치 어둠 속의 빛을 본 것 같았다고. 직후 김문수는 심재권을 따라 서울대 민주화운동 동아리 중 하나였던 '후진국 사회연구회'에 가입하면서 학생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대신 김문수가 학생운동보다 노동운동에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만든 계기는 [[김근태]]였다고 한다. 학생운동 동아리에 들어간 다음해 김문수에게 공활을 가자고 처음 말한 선배가 김근태였기 때문. 1971년 서울대생 내란음모 사건으로 3학년에서 제적되었다. [[1972년]] [[10월 유신]] 이후에는 유신 반대 투쟁을 하다가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었다. 1980년에는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었고, 출옥 후 호주로 망명하였다. === 정치 활동 ===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김중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도전장을 내민다. 맞상대였던 [[한나라당]] [[김중위]] 의원이 [[1986년]] 국회 법률사법위원회 간사로 재임했을 때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에 관해 "나는 부천 경찰서 사건의 희생양이라 주장하는 [[권인숙]][*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더불어시민당]]의 비례대표 3번으로 등록하였다.]씨의 정신감정이 우선해야한다고 생각한다"라는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적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져, 당시 거세게 몰아쳤던 시민 단체의 낙선운동의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낙선운동의 효과로 [[김중위]] 의원은 당선 실패, [[심재권]]은 설욕에 성공한다. 이후 새천년민주당에서 [[총재]] [[비서실장]], 기획조정위원장, 사무총장 대행, 대표비서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총재비서실장으로 있던 2001년 11월, 당시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민주당 총재직 사퇴서를 대독하기도 했다. 2003년 [[열린우리당]] 분당 때 새천년민주당에 잔류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이상경(1964)|이상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상경과의 공천 경합에서 승리하여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윤석용]]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누리당 [[정옥임]]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재입성 후 [[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일통상위원회 간사를 역임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42,096표(득표율 41.2%)를 득표하여 [[새누리당]] [[이재영(1975)|이재영]] 후보와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강연재]][* 2016년 12월 4일 자신의 [[트위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문재인]]을 상대로 막말을 하여 물의를 빚은 사람이다.]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6월 13일 [[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이해식]] 전 강동구청장에게 경선에서 패배하면서 출마가 좌절되었다. 고령임을 감안하면 사실상 정계은퇴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논란 == 2013년 "[[김정은]]에게 정중한 예(禮) 를 갖추라"는 발언이 논란이 되었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11/2013041102455.html|#]] 이에 대해 본인은 "김정은 개인에 대해 정중히 예를 갖춰야 한다는 게 결코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기본적으로 남북 간 신뢰구축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그 신뢰구축을 위해서는 우리 정부가 북측에 대해서도 사적으로는 무슨 표현을 하든 공식 문건에서만은 최소한의 예의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26/2013042690319.html|#]][[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1854394#cb|#]] 2020년 초, 더불어민주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가 진행한 선출직 공직자 평가 하위 20% 명단이란 찌라시가 돌았다고 알려져있다.[[https://news.joins.com/article/23696085|#]] 관련하여 "전혀 사실이 아니다", "문자·카톡으로 가짜뉴스를 받으면 사무실로 보내달라"는 문자를 보냈다는 기사. == 여담 == * [[문재인 정부]] 초대 법무부장관 [[박상기]]와 묘하게 닮았다. * [[추미애]] 전 당대표와 공통점이 많다. 서울 지역구 국회의원 중 가장 오래 전인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6회 연속 출마한 인사는 둘 뿐이다. 다만 5승 1패를 기록한 추미애와 달리 3승 3패로 반타작했다. 또한, 둘 다 [[열린우리당]] 분당에 참여하지 않고 당 잔류를 선택했으며, 민주당에서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에 찬성표를 던진 유이한 현역의원이다. 추미애는 불출마, 심재권은 낙천으로 21대 국회내 민주당에서 노 대통령 탄핵안에 찬성표를 던진 현역의원은 볼 수 없을 예정이다.[* 다만 이 때 같은 [[새천년민주당]] 잔류파 중 노무현 탄핵안에 반대표를 던졌던 의원이 21대 국회에 다시 들어가게 되었다. 모두들 예상하겠지만 그 의원은 바로 '''[[이낙연]]'''.]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6> [[서울특별시|서울]] [[강동구 을|강동 을]]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0,416 (32.36%) || 낙선 (2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2,997 (48.43%)''' || '''당선 (1위)''' || '''초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17,087 (16.40%) || 낙선 (3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0,147 (39.44%) ||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통합당)] || '''51,451 (54.17%)''' ||<|2> '''당선 (1위)''' || '''재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2,096 (41.15%)''' || '''3선'''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재권 15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재권 16총.jpg|width=100%]]}}}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5대 총선}}}]] [[강동구 을|{{{#000000,#e5e5e5 (서울 강동구 을)}}}]]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6대 총선}}}]] [[강동구 을|{{{#000000,#e5e5e5 (서울 강동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재권 17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재권 18총.jp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7대 총선}}}]] [[강동구 을|{{{#000000,#e5e5e5 (서울 강동구 을)}}}]]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8대 총선}}}]] [[강동구 을|{{{#000000,#e5e5e5 (서울 강동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재권 19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재권 20총.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9대 총선}}}]] [[강동구 을|{{{#000000,#e5e5e5 (서울 강동구 을)}}}]]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대 총선}}}]] [[강동구 을|{{{#000000,#e5e5e5 (서울 강동구 을)}}}]] ||}}}}}}}}} || [[강동구 을]] 지역구에 내리 6번 출마, 그 중에서 3선만 성공해서 승률이 50%이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 - 2000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5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당(2005년))] || 2005 - 2007 || 당명 변경 || ||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 2007 || 합당[*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탈당[* [[대통합민주신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창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현재 || 당명 변경[br]정계 은퇴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완주군 출신 인물]][[분류:청송 심씨]][[분류:1946년 출생]][[분류:배명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모내시 대학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2020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