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심상보}}}'''[br]Sim Sang-bo}}}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심상보 PD.jpg|width=100%]]}}}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경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더빙]] [[PD(방송)|PD]]. [[대원방송]] 출신 PD로 '[[영상네트워크]]' 소속 '''외주 PD'''로 활동하고 있다. [[심상백]]과 이름이 비슷하니 주의. == 연출 능력 == 대원에서 방영한 만화영화 《[[던전 앤 드래곤]]》 연출로 성우 팬들에게 여러가지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걸 방영했던 시기의 대원은 여러모로 [[중복 캐스팅]]과 막장 행각으로 인식이 안 좋게 박혔는데, 첫 연출작인 던전 앤 드래곤도 성우팬들에게 엄청 많이 까였던 일부 성우를 제외하고 [[김정규|김사단]]식 캐스팅이라,[* 아마도 조연출 시절에 김사단 연출작들의 조연출을 맡은 듯 하다(…) 단지 엔딩 크레딧에 안나왔을 뿐이지.] 처음 성우진만 봤을 땐 "역시 김사단 ㅋㅋ"이라며 낄낄 댄 팬들이 담당 연출 이름을 보고 '''"혹시 욕 먹기 싫다고 가명 쓰는 거 아닌가?"'''라고 생각할 정도였으니 말 다했다.(...) 그리고 대원의 구세주였던 [[심상백]] PD가 맡아서 자존심을 살려준 [[스쿨럼블/애니메이션#TVA 2기: 스쿨럼블 2학기|스쿨럼블 2학기]]를 이어 맡았는데 활기찬 분위기로 호평을 받은 1기와 달리 직역체 가사와 맥아리빠지는 주제가[* 엔딩 2는 일본, 미국에선 각각 [[츠카모토 텐마|텐마]] 성우와 [[츠카모토 야쿠묘|야쿠모]] 성우가 부른 것에 비해 한국에선 전문 가수 두 명으로 녹음한 것도 퀄리티와 별개로 아쉬움이 남는다. 1기때 [[하리마 켄지|하리마]] 성우이신 [[성완경]] 성우가 은하철도 05를 부른 것을 보면 더더욱.]와 몇몇 성우진 교체에, 심지어 화면수정까지 두 번이나 [[http://cafe.daum.net/CastingBank/2ynZ/21330|등장인물 이름을]] [[http://cafe.daum.net/CastingBank/2ynZ/21447|엉뚱하게 표기]]해버려 단지 연출진만 바뀌었을 뿐인데 전체적으로 퀄러티가 엉망이 돼버렸다는 악평을 받았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방영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유희왕 GX]] 3기같은 경우에는 비록 바뀐 성우들도 있었지만 그래도 위에 스쿨럼블보단 비중이 크지않기에 크게 부각되지 않았고 오히려 새로운 성우를 더 캐스팅하고 주제가도 꽤 잘 뽑혀서 괜찮다는 평을 받았다.[* 주제가 녹음/믹싱을 외주사인 “블루머스 오디오 프로덕션”에서 했다.] 이후 [[슈퍼전대 시리즈]]의 판권이 [[투니버스]]에서 대원으로 넘어간 뒤 첫 작품인 [[파워레인저 트레저포스]]의 연출도 맡았으나 [[투니버스]]는 용어 감수까지 써가거나 [[재능방송]]은 더빙에 상당히 정성을 들인 반면 그런 모습도 전혀 보이지 않았을 뿐더러 캐릭터 이름을 수정하면서 '''[[이노우 마스미|주연 인물]]과 [[레이(굉굉전대 보우켄저)|악당]]의 이름이 같게 되버린''' [[병맛]] [[로컬라이징]]과 무성의한 번역, 떨어지는 녹음 음질에 주연 성우들까지 굴려먹는 무개념 중복 캐스팅 등 어이를 상실하는 행보로 많인 전대물빠들이 "투니는 그래도 사소한 것까지 신경 써줬는데 대원은 전대물이 애들꺼라고 대충 취급하는 거 같다."며 분노하기도 하였다. [[애니박스]] 초기 시절땐 [[투니버스]]에서 방영했던 [[천지무용]] 극장판 시리즈를 재더빙했으나 나름대로 화려한 성우진들에 비해 대부분 캐릭터와 연기가 동떨어졌고 무엇보다도 투니판이 본좌 '''[[신동식]]''' PD 덕분에 일본판과 맞먹는 초월더빙 수준이었던터라 상당히 까였다. 영상 네트워크 설립 이후 2009년에 더빙으로 방영한 [[유유백서/애니메이션|유유백서]]도 평이 좋지 않은데, 일단 '''등장인물 이름이 모두 대원 초기 발매판 기준으로 개명'''되어서 논란이 많았던 데다가 방영 전 예고 PV에도 대놓고 '''화려한 성우진 총집합'''이라는 멘트를 보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성우진은 나름 호화였지만 '''문제는 엄청난 [[중복 캐스팅]]으로 [[자문자답]]이 난무'''했고, '''관람등급이 15세로 올라갔는데도 불구하고 삭제/편집은 자막판보다 훨씬 증가'''한데다가 '''[[설상가상]]으로 그 모자이크마저도 지저분하게 대충 처리해서 화면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며''', 심지어 번역 면에서도 '''자막판과 동일한 번역 작가[* 자막판은 김언정과 윤성원, 이렇게 2명의 번역작가가 동원되었는데, 더빙판은 그 중 김언정이 번역을 맡았다.]를 동원'''했는데도 불구하고 '''주제곡 가사 자막부터 오역 작렬'''에 몇몇 장면에서는 '''내용도 완전 갈아엎는 수준의 막장 번역'''을 선보이는 등 2009년 더빙작이 맞나 싶을 정도의 발퀄리티를 선보여서 욕을 대차게 먹었다.[* 같은 시기에 방영된 강철의 연금술사도 유유백서와 성우 수가 5명 밖에 차이가 안 날 정도로 꽤 적은 성우진으로 중복커버를 했지만 그걸 커버할 연출력 덕에 그부분은 욕먹지 않았다.] 이후 2007년 5월 16일부터 대원 시절부터 줄곧 연출/조연출로 맡아오던 [[최옥주]] PD와 함께 외주업체인 '영상 네트워크'를 세우고 더빙 작업을 하고 있다.[* 초창기 이름은 Ryuni inc, 이때에는 따로 편집자, 녹음/믹싱 담당자가 없었고 모두 대원 편집자(이소연)이나 외주사(JPOST)에게 종합편집을 맡겼으나 2010년부터 편집자를 따로 구하고 2017년부터는 녹음/믹싱 담당자를 따로 구해 조혜은이라는 분이 녹음/믹싱을 맡고 있다.] 첫 애맥 연출작인 [[테니스의 왕자]] OVA는 기존 [[SBS]]쪽 주연 성우진의 80% 가량이 유지되는 기염을 토했으나 결국 성우가 맡은 주배역보다 중복인 배역의 대사가 더 많은 연출을 보여준데다, 4개월 뒤 투니버스에서 TV판을 재더빙을 해주면서 보인 엄청난 성의와 비교 당하며 격침되었다.[* 그나마 장점이었던 성우 유지는 후에 another stories편에서 이누이 성우인 [[서윤석]]에서 [[이상헌(성우)|이상헌]]으로 교체된다. 아마 돈이 딸려서 교체된거라 추정된다. 아래 헌터×헌터 총 참여 성우 수가 63명인 것을 보면 더더욱.][* 여담으로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연기를 보여준 [[정소영(성우)|정소영]] 성우의 킨타로도 더빙 퀄리티 때문에 묻혔다.(...)] 이후 [[날아라 호빵맨]] 재더빙판에선 투니판 주연인 [[이선주]], [[이자명]], [[김기흥]], '''[[황원]]'''을 그대로 캐스팅했으며, 그 외엔 다른 성우로 교체되었지만 바뀐 성우들도 나쁘지 않아 매우 양호한 편이었다. 그러나 번안한 주제가가 투니판에 비해 가사가 [[직역]]티가 나고, 조연 쪽에서 [[김현심]], [[김현지(성우)|김현지]], [[안현서]], [[서유리]], [[이상헌(성우)|이상헌]] 등으로 돌려막기가 보인데다[* 심지어는 주연급인 [[이자명]]과 [[조현정(성우)|조현정]]까지 동원되었다.] 결정적으로 전연령층, 즉 '''어린이, 유아들 위주로 보는 애니'''임에도 불구하고 삽입곡을 '''그냥 자막으로 내보내는''' 레전드 [[현지화]]를 보여줬다. 이 때문에 같은 외주 소속인 [[최옥주]] PD가 ~~[[블리치]] 3기로 순식간에 증발하긴 했지만~~ 그나마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 [[토라도라!/애니메이션|토라도라!]]로 약간의 이미지 업을 시켰으나 유난히 그런 연출 포텐이 터지는 더빙작들이 없어 성우팬들은 은근히 불안감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헌터×헌터(2011년 애니메이션)|헌터×헌터 (2011)]]로 이미지가 꽤 긍정적으로 변하였으며 '''드디어 제대로 된 더빙 연출작이 생겼다'''는 평가가 많'''았'''다. 일단 일본판에서 까인 주연 성우진의 교체가 한국에선 주연 4인방은 그대로이되 조연들로의 교체로만 이루어져 이 부분에선 확실히 리메이크다워서 보기 좋다란 의견도 많았고, 번역가도 특이하게 구 헌터×헌터 애니메이션 때의 번역가를 그대로 쓰기도 하였다. 또한 그 동안의 영상답지 않게 아니라 매화마다 적절한 게스트 성우진을 기용했는데 원로급 성우인 [[박태호]], [[장광]], [[최문자]], [[이인성(성우)|이인성]]과 중견급 성우인 [[배정미]], [[윤미나]][* 구판에 출연했던 적이 있다.]도 있어 놀라움을 주기도 했다. 그리고 주제가 편곡도 꽤나 잘 뽑혔는데 특히 엔딩은 [[오토튠]]으로 찌든(...) 원곡보다 락적으로 편곡이 돼서 이 부분에서도 많은 호평을 받았으나.. Part 2 들어와선 중복이 엄청 늘어나고 심지어 [[환영여단]] 캐릭터들 중에서도 기존 성우들로 중복을 돌렸으며, 편집도 엄청 구려서 "역시 영상."이란 소리를 듣고 있다. 게다가 [[테니스의 왕자/애니메이션|테니스의 왕자]] OVA 과거편에선 원래 맡은 남자 성우들이 어린 시절까지 그대로 연기해서 굵은 톤으로 기합까지 내보내는 막장 연출까지 선보이면서 헌터×헌터 리메이크가 처음이자 마지막인 [[리즈시절]]이었다는 반응이 우세해지고 있다(...). 그나마 Part 3에서 많이 나아진 모습을 보였지만 [[체즈게라]] 성우인 [[임채헌]]을 [[겐스루]] 역에 중복시키고[* 극 중 체즈게라와 겐스루의 대화 장면이 많다는 걸 감안하면 시사도 제대로 안 하고 대충 캐스팅한 걸로 보인다. --[[김정규|?]]--] 구판 [[히소카]] 성우인 [[장성호(성우)|장성호]]를 [[레이저(헌터×헌터)|레이저]] 역에 캐스팅하는 등 일부 성의없는 부분 때문에 여전히 까이고 있다. 굳이 장점을 말하자면(...) 영상으로 들어간 뒤로 타 방송사판의 성우진을 최대한 그대로 캐스팅하려는 노력을 보이는게 특징.[* [[최옥주]] PD는 정반대의 특징을 가졌는데, [[록맨 에그제 비스트]]는 [[투니버스]]판에서 두 주연인 [[이선호(성우)|이선호]], [[이지영(성우)|이지영]]을 제외하고 나머지 배역을 전부 교체한 바 있으며, '''[[블리치(애니메이션)|블리치]]'''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 반면에 최옥주는 심상보보다는 삽입곡 번안을 잘해주는 편이다. 심상보도 번안은 오프닝, 엔딩 정도는 해주지만 직역체가 많아서 좀 미묘하다. 그런데 [[포켓몬스터 AG]]는 [[SBS]] 때와 마찬가지로 [[최이슬]] 역의 [[지미애]]를 제외하면 거의 중복 셔틀로 돌리고 원곡을 삽입곡으로 그냥 두는 등 두 PD가 공동 연출하면 어째 서로의 단점만 부각되는 게 참(...)] 앞의 사례였던 테니스의 왕자 OVA, 호빵맨도 그렇고[* 특히 호빵맨의 [[황원]]은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가 원로 성우를 잘 기용하지 않는다는 걸 감안하면 꽤 과감한 행보이다.], 심지어 일본에서도 성우진을 싸그리 갈아엎은 헌터×헌터 리메이크도 주연 성우진을 그대로 캐스팅한걸 봐도 이거 하나만큼은 대원 시절보다는 나아졌다는게 팬들의 의견이었지만, 헌터×헌터 리메이크[* [[윤미나]], [[이상헌(성우)|이상헌]], [[사성웅]], [[정소영(성우)|정소영]], [[장성호(성우)|장성호]]와 같이 일부 구작에 참여했던 성우들을 기용했으나, [[양석정]]의 [[윙(헌터×헌터)|윙]]과 [[송준석(성우)|송준석]]의 [[클로로 루실후르|클로로]]를 제외하면 다른 캐릭터에 캐스팅해서 리메이크라지만 이왕에 할거면 그대로 유지해도 되지 않냐는 반응이 상당히 많았다.] 때문에 이것도 역시 좀 미묘해진 상태. 이후에도 여전히 애니메이션 연출을 맡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본 외화 연출도 맡고있다. 이전까지 연출보다 캐스팅 능력은 확실히 발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외화 부분에선 [[이재용(성우)|이재용]] 성우를, [[톰 소여의 모험]]에서 [[최덕희]]를 캐스팅했다. 허나 요즘에는 도통 이름을 볼수 없는데, 몇몇 기록들을 보면 영상 네트워크에 대표가 되어서 아마 연출를 포기하고 영상 네트워크 경영에 집중할려는거 같다. 다만 아예 포기 한건 아니고, [[집을 파는 여자의 역습]], [[집단좌천]], [[겟 레디!]]등 외화로는 간간히 연출하고 있다. == 연출작 == [[최옥주]] PD가 조연출로 들어간 작품은 ※으로 표시. === [[애니맥스 코리아]] === * [[날아라 호빵맨]] 재더빙판 * 날아라 호빵맨 1기 * [[날아라! 호빵맨 꿈고양이 나라의 야옹이]] * 날아라 호빵맨 극장판 쓰레기맨의 별 (최초 방영) * 날아라 호빵맨 극장판 용기의 꽃이 필 무렵 * [[날아라! 호빵맨 태양을 향해 손바닥을]] * [[딸기 100%]] ([[최옥주]] PD와 공동 연출)[* 애니맥스 동결 전 연출작.] * [[테니스의 왕자]] OVA 전국대회편 * [[헌터×헌터(2011년 애니메이션)|헌터×헌터 (2011)]][* Part 3까지만, Part 4부턴 자막.] === [[대원방송]] === * [[던전 앤 드래곤(애니메이션)|던전 앤 드래곤]] * [[스쿨럼블/애니메이션#TVA 2기: 스쿨럼블 2학기|스쿨럼블 2학기]] ※ * [[티미의 못 말리는 수호천사|요절복통 수호천사]] ※ *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원피스 Original]] 5기 25화~10기[* 5기 24화까진 [[정동열]] 성우가 대표로 있는 한빛영상이 맡았다고 한다. 11기부턴 [[최옥주]]가 담당.] * [[유유백서/애니메이션|유유백서]] (더빙판) ([[최옥주]] PD와 공동 연출) * [[유희왕 GX]] (3기) * [[전투요정 유키카제]] * [[천지무용]] 시리즈 ※ * 천지무용 in Love * 천지무용 in Love 2 * 천지무용 양황귀 OVA * 천지무용 한 여름밤의 이브 * 킹라이온 [[볼트론 포스]] * [[파워레인저 트레저포스]] ([[최옥주]] PD와 공동 연출) * [[플랜더스의 개]] * [[포켓몬스터 AG]] (4기) ※ * [[얼룩말 조우|호기심대장 쥬]] === [[외화]] === * 우러러보니 존귀한 === [[카툰네트워크]] === * 해피 엘프 ([[최옥주]] PD와 공동 연출) == 관련 문서 == * [[대원미디어]] * [[대원방송]] * [[애니원]] * [[애니원 슈퍼스타 대회]] * [[애니박스]] * [[대원방송 성우극회]] * [[곽영재]] * [[김정규]] * [[김정령]] * [[서정은(PD)|서정은]] * [[심상백]] * [[황태훈]] * [[챔프TV]] * [[최옥주]] [[분류:대한민국의 프로듀서]][[분류:청송 심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