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불가리아의 행정구역)] ||||<#87CEEB><:>{{{#gold {{{+3 실리스트라[br] Силистра}}}}}}|| ||<-3><:> [include(틀:지도, 장소=Силистра)]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나우강]]에 접한 [[불가리아]]의 도시이자 실리스트라 주(Област Силистра)의 [[주도(행정구역)|주도]]. 지리적으로는 남[[도브루자]]에 속하며, 도나우강을 마주보고 [[루마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 언어 표기 == || [[불가리아어]] || Силистра || || [[루마니아어]] || Silistra || || [[튀르키예어]] || Silistre || || [[그리스어]] || Θεωδωρόπολις || == 역사 == [[로마 제국]] 시대인 서기 29년 [[트라키아인]]이 건너와 정착해 두로스토룸(Durostorum) 요새를 건설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대에 [[도시]]로 성장했으며 이후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로마 제국이 [[동로마 제국]]과 [[서로마 제국]]으로 갈라졌을 때 동로마 제국에 속했으며 이후 [[불가리아 제1제국]] 시대에는 드러스터르(Дръстър)라 불렸다. 976년 [[키예프 공국]]의 [[스뱌토슬라프 1세]]가 일시적으로 점령했으나 2년 뒤 동로마 제국의 손에 들어갔고 이후 동로마 제국 황제 [[요안니스 치미스케스]]의 도움을 받았다고 전해지는 성자 테오도로스 스트라틸라티스(Θεόδωρος ὁ Στρατηλάτης)의 이름을 따 테오도로폴리스(Θεωδωρόπολις)로 개칭되었다. 1186년 [[불가리아 제2제국]]이 다시 점령했으며 1400년 [[오스만 술탄국]]이 [[발칸반도]]를 정복하면서 오스만 영토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리스트레 에야레트(Eyālet-i Silistre)라는 길쭉한 행정구역을 설치해 발칸반도와 [[우크라이나]] 남부를 이었으며 실리스트라는 외지(Özi)[* 현 우크라이나 [[오차키우]]]와 더불어 실리스트레 에야레트의 핵심 도시로 기능했다. 그러나 18세기 말~19세기 초 연이은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전하고 예디산[* 현 우크라이나 [[오데사]] 일대]과 [[베사라비아]]가 [[러시아 제국]]으로 연달아 넘어가면서 많은 영토를 상실했다. [[크림 전쟁]] 중에는 [[러시아 제국군]]에 점령되기도 했으며 1878년 [[산 스테파노 조약]]으로 [[불가리아 공국]]에 할양되었다. [[발칸 전쟁#s-3|제2차 발칸 전쟁]]으로 [[루마니아 왕국]]과 [[불가리아 왕국]]이 맞붙은 후 [[부쿠레슈티]]에서 강화조약이 체결되어 1913년부터 루마니아로 편입되었다. 루마니아 왕국 치하에서는 두로스토르 주(Județul Durostor)의 주도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불가리아로 반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인구와 사회 == 2022년 기준 인구는 35,235명으로 많지는 않은 편. 대부분은 [[불가리아 정교회]]를 믿는 불가리아인이며 소수민족으로는 [[튀르키예인]]이 10%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소수의 [[루마니아인]], [[집시]] 등이 있다. == 출신 인물 == *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 [[서로마 제국]]의 장군. [[분류:불가리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