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신한, other1=신한화구, rd1=신한화구)] [include(틀:신한금융그룹)] ---- || '''{{{#012f8b,#ffffff 신한금융지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의 금융지주회사)] ---- [include(틀:대한민국의 5대 금융지주회사)] }}} || ---- ||<-2> '''{{{+2 신한금융지주}}}'''[br]'''新韓金融持株 | SHINHAN FINANCIAL GROUP''' || ||<-2> [[파일:신한금융지주회사 베이직 로고.svg|width=300]] || || '''법인명''' ||주식회사 신한금융지주회사 || || '''영문명''' ||SHINHAN FINANCIAL GROUP || || '''설립일''' ||[[2001년|{{{#000,#ddd 2001년}}}]] [[9월 1일|{{{#000,#ddd 9월 1일}}}]] '''^^([age(2001-09-01)]주년)^^''' || || '''업종명''' ||[[금융지주회사]] || || '''기업 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2001년]]~ ) || || '''종목 코드'''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55550| KS:055550]] || || '''대표이사''' ||진옥동 || || '''본사'''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세종대로9길]] 20 ([[태평로(서울)|태평로2가]]) [br] [include(틀:지도, 장소=신한금융지주회사, 너비=100%)] || || '''링크''' ||[[http://www.shinhangroup.com/kr/index.jsp| [[파일:신한금융그룹 베이직 심볼.svg|width=20]]]] | [[https://youtube.com/@shinhangroup_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hinhangroup.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shinhangroup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고객센터''' ||대표전화: '''02-6360-3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한금융그룹]] 계열 [[금융지주회사]]. 2021년 The Banker 기준 세계에서 61번째 규모의 금융지주사이다. == 역사 == 2001년 [[신한은행]], 신한증권, 신한캐피탈 등 계열 금융사의 지분을 이전해 만든 [[금융지주회사]]이다. 2002년 [[제주은행]] 인수, 2002년 [[신한투자증권|굿모닝증권]] 합병, 2005년 [[신한생명]] 지주회사 편입, 2006년 [[조흥은행]] 합병, 2007년 [[LG카드]] 합병, 2008년 아이타스(현 신한펀드파트너스) 인수, 2019년 아시아신탁(현 신한자산신탁) 인수, 2020년 네오플럭스(현 신한벤처투자) 인수, 2021년 [[오렌지라이프]](현 [[신한라이프]]) 합병, 2022년 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현 [[신한EZ손해보험]]) 인수 등 [[M&A]]로 규모가 급성장했다. == 자산규모 == ||
<#0046ff> 총 자산규모 ||<#0046ff> 기준 분기 || || 962조 원 || 2022년 4분기 || == 지배구조 == [[2023년]] [[5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재일교포]] 간친회(懇親會)[* 5천여명의 간친회 회원이 나누어 가짐] || 약 17%||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국민연금공단]] || 7.9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블랙록]] || 5.7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자사주 || 0.03%|| === [[일본]]과의 관계 === 신한금융은 탄생 때부터 재일교포와 밀접한 관계였다. 1977년 간사이흥은을 설립한 고(故) 이희건 명예회장이 세운 단기금융회사 제일투자금융을 모태로 1982년 7월 구(舊) [[신한은행(1982년)]]이 탄생했다. 당시 이 명예회장은 재일교포 340여 명으로부터 출자금을 확보함으로써 은행을 설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명예회장에게 자금을 대준 재일교포들은 초대 주주의 지위를 획득했다. 이후 이들은 상속과 증여 등을 통해 그 수가 5000여 명까지 늘어났다 2023년 현재 신한금융지주의 최대주주는 명목상 국민연금이다. 하지만, 재일교포 그룹인 간친회 회원 약 5000여명이 지분 17%를 가지고 있고 간친회는 단일한 목소리를 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간친회가 신한금융지주의 실질적 대주주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관한 문제점은 신한금융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재일교포 주주들의 지분율 등 관련 내용 일체를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금융감독원에서는 신한은행을 국내 은행이 아닌, 외국계 은행으로 분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https://www.ep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7|#]] 그리고 신한금융 임원진들은 일본 오사카에 위치한 간친회 주주들과의 만남을 위해 주기적으로 오사카를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룹 중요 사안을 결정 하기 전 간친회 주주들의 재가를 받는 것으로도 알려져있다.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4015415|#]] 신한은행에서 임원되는 지름길이라고 불리우는 소위 출세 코스로 분류되는 것은 다름 아닌 ‘일본 지사’다. 이 중에서도 특히 간친회가 위치한 오사카 라인이 요직으로 꼽힌다. [[https://www.hankyung.com/news/amp/2006022327271|#]] 2023년 현재도 신한금융 내 ‘오사카 사단’으로 불리며 영향력를 행사하고 있다. [[https://m.mk.co.kr/amp/10572702|#]] 이를 방증하듯 2006년 신상훈 은행장 이후 2023년 정상혁 은행장까지 총 8명의 은행장 가운데 2명을 제외하고 모두 일본 오사카 지점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 또한, 경영에 목소리를 내는 사외이사진 중 적잖은 비율도 재일교포 주주 추천 인사 몫으로 정해져 있다. 2023년 현재 사외이사 9명 중 3명이 재일교포 출신으로 분류된다. == 역대 임원 == * 명예회장 * 이희건 (2001~2011) * 이사회 의장 * 남궁훈 (2012~2016) * 박철 (2016~ ) * 대표이사 회장 * 라응찬 (2001~2010) * 한동우 (2011~2017) * 조용병 (2017~2022) * 진옥동 (2023~) * 대표이사 사장 * 라응찬 (2001~2003) * 최영휘 (2003~2005) * 이인호 (2005~2009) * 신상훈 (2009~2010) == 마케팅 == 2007년에 배우 [[이영애]]와 개그맨 [[유재석]]이 모델로 발탁됐고 이후 2008년에는 배우 [[배용준]]과 짝을 지었으나 2009년에는 [[유재석]], [[차태현]], [[구혜선]]이 따로 3편을 만들어 단독 모델로 나왔다. 2010년에는 4년 연속으로 전속 모델인 [[유재석]]과 [[강호동]]이 모델로 나왔으나, [[유재석]]은 계약 만료가 되었다. 2016년에 배우 [[김유정(배우)|김유정]]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였다. [[분류:신한금융그룹]][[분류:대한민국의 금융지주회사]][[분류:2001년 설립]][[분류:코스피상장법인]][[분류:뉴욕증권거래소상장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