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정기 운용의 이탈 및 퇴역으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신칸센 E4계 전동차/현황)] [include(틀:신칸센)] [include(틀:신칸센 차량 목록)] ||<-3>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005daa '''신칸센 {{{+1 E4계 전동차}}}'''[br]{{{-1 新幹線}}} E4系 電車[br]{{{-1 Shinkansen}}} E4 Series}}} ||}}}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R_East_Shinkansen_E4.jp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60px-E4_P5_Max_Toki_316_Takasaki_20140407.jpg|width=100%]] || ||<-3> {{{#navy,#0072BC 외부[br](좌)구 도색 / (우)신 도색[* 2014년부터 적용되었고, 얼핏 봐도 바로 알겠지만 기존의 노란 라인을 분홍색으로 바꾼 것 뿐이다. E2 차량의 도색과 비슷하지만 진한 분홍색의 E2와 달리 E4와 E1이 적용한 신도색은 연분홍에 가깝다.]}}}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신칸센 입선용 [[전동차]]/[[고속철도|고속철도차량]]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 || '''량 수''' ||<-2> 8량 || || '''운행 노선''' ||<-2> [[파일:JRE-SKS.svg|width=16]] [[도호쿠 신칸센|{{{#006600 도호쿠 신칸센}}}]][* [[도쿄역|도쿄]]~[[모리오카역|모리오카]] 구간][br][[파일:JRE-SKS.svg|width=16]] [[조에츠 신칸센|{{{#006600 조에츠 신칸센}}}]][br][[파일:JRE-SKS.svg|width=16]] [[호쿠리쿠 신칸센|{{{#006600 호쿠리쿠 신칸센}}}]][* [[도쿄역|도쿄]]~[[카루이자와역|카루이자와]] 구간] || || '''도입시기''' ||<-2> 1997년~2003년 || || '''제작사''' ||<-2>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svg|width=100]]]][br][[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50]]]] || || '''차량기지''' ||<-2>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 '''퇴역시기''' ||<-2> 2021년 10월 1일 || ||<:><-3><#ddd,#212121>'''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3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편성 무게''' ||<-2> 428.0t || || '''편성 길이''' ||<-2> 201m || || '''전장''' ||<-2> 25,000㎜[* 선두차는 25,700㎜] || || '''전폭''' ||<-2> 3,380㎜ || || '''전고''' ||<-2> 4,485㎜ || || '''궤간''' ||<-2> 1,435㎜ || || '''차체''' ||<-2> 알루미늄 합금 || || '''대차''' ||<-2> DT208(동력차)/TR7007(부수차) || || '''사용 전압''' ||<-2>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일부 편성은 50Hz/60Hz 대응] || || '''신호 장비''' ||<-2> [[열차자동제어장치|ATC-2형]], DS-ATC, RS-ATC[* DS-ATC 작동 불능시 사용하는 대용폐색시스템이다. 이 경우 속도가 110으로 제한된다.] || || '''제어 방식''' ||<-2>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제 3레벨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 || '''동력 장치''' ||<-2>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기어비''' ||<-2> (전동기 : 차축) 기준으로 26 : 94[br] = 대략 1 : 3.615 || || '''제동 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편성 출력''' ||<-2> 6,720kW || ||<|2> '''최고 속도''' ||<-1> 설계 || 265㎞/h[* 주행시험 기준으로의 최고 속도로, 이 속도를 유지하면 대차에 큰 무리가 오기 때문에 장시간 유지하기 매우 어렵다. 다만, 260km/h로 통합해야 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증속할 여유를 남겨두었다.] || || 영업 || 240㎞/h || || '''기동 가속도''' ||<-2> 1.65㎞/h/s || || '''감속도''' ||<-2> 상용 2.69㎞/h/s[br]비상 4.04㎞/h/s || || '''전동차 비''' ||<-2> 4M 4T ||}}}}}} || ||<:>[youtube(0hmqX858EaI)]|| ||<:>'''{{{#ffffff [[JR 동일본]] 공식 은퇴 홍보 동영상}}}'''|| [목차] [clearfix] == 개요 == [[JR 동일본]]에서 1997년부터 운행했었던 [[신칸센]] 차량. [[신칸센 E1계 전동차|E1계]]의 정식 후속작이자 확장형 차량으로, [[신칸센 200계 전동차|200계]]의 노후화로 인한 교체 및 E1계를 도입한 이후에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폭증하는 여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되었다. E1계와 마찬가지로 전 차량 2층 구조로 「Max」의 애칭이 주어지고 있다. [[조에츠 신칸센]] Max [[토키(열차)|토키]]와 MAX [[타니가와(열차)|타니가와]]로 운용되고 있다. 콘셉트는 '''닥치고 많이 실어나르기'''.--[[라이언에어|이런 도색을 한 물건들은]] [[An-225|왜 다 가축수송으로 이름을 날리는가]]-- 당초 2016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이었다가, 한 차례 연기되어 2020년 중에 [[신칸센 E7·W7계 전동차|E7계]] 신조차량으로 E4계를 전부 대체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E7계 10편성 120량이 [[하기비스(2019년 태풍)|제19호 태풍 하기비스]]로 인해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인근 하천이 범람하면서 침수되는 바람에 폐차되면서 차량이 부족해져 연장 운용하게 되었다.[* 그 폐차된 10편성(120량)은 침수로 인한 전장품 손상이 너무 심각해서 수리해도 소용 없다고 한다.] 이후 2020년 12월 발표된 다이아 개정에 따라 2021년 10월 1일에 라스트런을 진행했다. == 세부 사양 == [[신칸센 E1계 전동차|E1계]]는 철강으로 된 차체를 사용하였지만, E4계는 [[차내판매]] 카트용 승강기의 설치 등으로 인한 무게 증가를 보완하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었다. 터널 통과시 발생하는 기압파 및 고속 주행시 소음 억제 대책으로 선두 차량의 전두부는 E1계보다 길어졌다. 차체 도장은 흰색과 파란색이며, 그 경계선에 노랑색 띠가 들어간다. 2014년에 띠 부분만 연분홍색으로 재도색되었다. 라이트는 HID 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2층 차량이므로 바닥에 각종 전장기기를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바닥 전장품은 물탱크, 공기압축기와 주 전동기 및 전동 송풍기에 그치고 주 변압기, 주 변환 장치, 보조 전원 장치는 차량 끝 부분의 바닥에 탑재했다. 장비실은 기밀 벽으로 내부와 분할되어 밀폐되었다. 4량(T + M1 + M2 + T)이 1단위를 구성하고 M1객차에 주 변환장치와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M2 차량에 주 변압기와 주 변환장치를 탑재했다. 회로제어는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 제어가 채용되었다. 주 변환 장치는 [[IGBT]] 소자를 사용한 3레벨 컨버터 + 3레벨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신칸센 E1계 전동차|E1계]]에 비해 편성된 전동차가 적으므로, 차량고장 등 비상시에 대응할 목적으로 모터의 제어를 기존의 1량 단위의 제어에서 대차 단위의 제어로 변경했다. 주 전동기는 3상 유도전동기를 채용하고 E1계보다 출력을 높인 420kW로, 이를 통해 MT 비가 1:1이면서도 기동 가속도를 1.65km/h/s로 E1계보다 향상시켰다. 최고 속도는 240 km/h로, 8량 편성의 정원은 817 명. E1계의 경우 12량 편성인데, 대부분의 신칸센 역사가 16량 대응이기 때문에 병결이 불가능해 비효율적이었던 문제를 보완하여 8량 편성으로 열차를 제작하였다. 2[[중련]]으로 16량 편성이 되면 정원이 무려 '''1,634명'''이 된다. 그야말로 승차인원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한 열차로, 전 세계 고속철도 중에서 가장 많이 실어나르는 열차이다. 20량 편성(객실은 18량)의 [[KTX(차량)|KTX-1]]이 935명이라는 것에 비교해 엄청난 수송력을 자랑한다. 고속철도에서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을 하는 [[일본]]이기 때문에 가능한 구조. 자유석 같은 경우에는 좌석배치가 무려 3+3인데다 의자가 붙어 있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따위는 있을 수가 없다.[* 참고로 일본 이외에 3+3 좌석배치의 가축수송을 하는 나라로는 [[인도]]가 있는데, 인도는 그나마 [[광궤]]이다.] 물론 출퇴근 시간에는 이런 자유석까지 꽉꽉 들어찬다. 하지만 [[그린샤]]는 다른 신칸센 차량에 비해 편하다는 게 중론. 다만 8량 1편성 816석인 점을 알 수 있듯이 2층차라고 해서 기기배치나 계단공간 등의 문제로 2배로 튀겨지진 않는다. 신칸센의 대량 수송 비결은 넓은 전폭과 2+3, 3+3 좌석배치이고 이게 큰 효과를 낸다. 신칸센에 이게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 최고조에 이른 일본 수도권의 [[스프롤 현상]] 때문이다. 이 열차가 나올 1990년대 일본 수도권은 교외화가 진행될대로 진행되어 신칸센 출퇴근 이용객이 많았고, 대도시가 적어 출장객 수, 즉 비즈니스 이용객이 적은 조에츠 신칸센과 도호쿠 신칸센에는 더 두드러졌다. 이런 상황에서는 가속력과 최고속도에서 좀 뒤쳐져도 그저 많이 우겨넣을 수 있는 차량이 장땡이었다. 1층과 2층 사이를 오르내리기 위하여 일부 칸에 휠체어 리프트와 차내 판매 카트용 엘리베이터가 각 칸마다 설치되어 있다. [[E231계 전동차]] 근교형 차량의 그린샤 차내 판매는 승무원이 직접 바구니를 들고 판매하지만, 신칸센은 그것으로는 감당할 수 없기 때문.[* 통근형 전동차 그린샤는 기껏해야 2량이지만, 신칸센은 8량이다.] 일부 [[호쿠리쿠 신칸센]]의 급경사 구간 주행과 [[카루이자와역]] 서쪽의 상용 전원 주파수 60Hz호환되는 편성이 존재한다. P51·P52 편성은 30‰의 급구배 구간 주행에 대응하고, 카루이자와역까지 입선 가능하다. P81·P82 편성은 급구배 대응뿐 아니라 [[카루이자와역]]과 [[사쿠다이라역]] 사이의 전원 주파수 전환 장치 (60Hz 대응)를 탑재해, [[나가노역]]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전장품들이 50Hz에서의 사용을 고려하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장시간 운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차량의 성능한계 때문인지 도쿄 방면 한정으로 긴급 상황에만 나가노역까지 운행한다.[* E2계나 E7계에 비해 완벽하게 대응되어 있지 않은지 만석일 때 급구배 구간을 오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조에츠 신칸센과 도호쿠 신칸센이 폭설 지대에 한랭 지대이므로 폭설 대응 장비를 갖추고 있다. == 운용 == 도입 초기에는 모든 편성이 센다이 종합차량기지(현재의 신칸센 종합차량센터)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2013년 10월부터는 모든 편성이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에 소속되어 있다. 2013년 4월 1일 현재 [[죠에츠 신칸센]]의 Max 토키, Max 타니가와로만 전용되고 있으며, [[신칸센 E5·H5계 전동차|E5계]]의 도입에 따라 도호쿠 신칸센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 이북에서는 2012년 9월 28일부로 전부 퇴역했다. 시운전을 통해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역|모리오카]]~[[하치노헤역|하치노헤]]~[[신아오모리역|신아오모리]] 구간에 입선한 적이 있다. 1997년 12월 20일 도호쿠 신칸센에서 영업 운전을 개시하였으며, 1999년 4월 29일 [[야마가타 신칸센]] [[츠바사(신칸센)|츠바사]]와의 병결운전을 시작했다. 2001년 5월 7일부터는 [[죠에츠 신칸센]]에서 영업 운전을 개시하였으며, 7월 22일에는 [[나가노 신칸센]]의 임시 열차 Max [[아사마(열차)|아사마]]로 [[도쿄역|도쿄]]~[[카루이자와역|카루이자와]] 에서 영업 운전을 개시하였으나, 이 구간에서는 2003년 9월 15일까지만 영업하고 철수하였다. 2005년 12월 10일부터는 도호쿠 신칸센 센다이역 이북에서 정기 운용을 종료하였으며, 2012년 3월 17일부터는 죠에츠 신칸센 [[에치고유자와역]] 이북에서도 E4계를 중련한 16량 편성으로 영업 운전을 개시함과 동시에 도호쿠 신칸센 오미야 역 이북에서 E4계 중련 편성의 영업 운전이 종료되었다. [[신칸센 E5·H5계 전동차|E5계]]의 지속적인 도입으로 같은해 9월 28일에는 도호쿠 신칸센 오미야역 이북에서 정기운행을 종료하였으며, 동시에 야마가타 신칸센 츠바사 또한 [[신칸센 E2계 전동차|E2계]]와의 병결만으로 운용된다. 도호쿠 신칸센에서 영업하던 열차들은 죠에츠 신칸센의 [[신칸센 E1계 전동차|E1계]]를 대신하여 들어가며, E1계는 영업 열차로써의 수명을 다하고 퇴역한다. 운행등급은 Max 토키, Max 타니가와. 한때는 Max 야마비코나 Max 아사마 등으로도 운행되었으며, 전부 MAX라는 말이 들어가는데, Multi Amenity eXpress라는 약자가 있기는 하지만 [[역두문자어|많이 실어나른다는 의미에서 붙은 명칭.]]~~차량한계까지 사람을 Max로 태우겠다는 뜻이다 카더라~~ 얼추 [[AMBAC]]처럼 우선 정해놓고 나중에 때려박은듯한 인상이 확 느껴지는 네이밍 센스. 어찌됐든, [[신칸센 E2계 전동차]]에 비해서는 분명히 수송 능력은 상위에 속했다. 2011년 3월 9일의 마이니치 신문에서 2012년 이후 순차적으로 폐차를 시작해 2016년에는 전량 폐차할 예정이라고 보도했으며, 2013년부터 폐차가 시작되고 있었지만 2016년까지 단 3편성만 폐차되었고, 여전히 남은 편성은 2017년이 되어서도 운행되고 있었다. 2017년 4월에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신칸센 E7계 전동차|E7계]]로 [[http://www.asahi.com/articles/ASK445DKVK44ULFA01B.html?ref=tetsudocom|교체시키겠다는 발표]]가 나왔으나, 2019년 가을에 태풍 하기비스로 인해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에서 주박하고 있던 E7·W7계 10개의 편성이 침수되어 그대로 폐차, 이로 인해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소속의 E7계 6개의 편성을 호쿠리쿠 신칸센에 투입하게 되었고, 결국 조에츠 신칸센의 차량 부족 문제로 인해 퇴역 예정 연도가 E7계의 대차 편성 신조보다 1년 이른 2021년으로 미루어진 바 있다. 2021년을 기해 전량 퇴역하면서 '2층 신칸센'은 찬란했던 철도의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현재 JR 동일본은 2층 신칸센 제조계획이 없다고 일축했다. 2층 신칸센은 신칸센 통근객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이 큰데 그 통근객이 저출산과 도심회귀 현상으로 인해 줄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JR 동일본의 신칸센 경영 전략은 수송량보다 속도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고 그 결과물이 [[신칸센 E5계 전동차|E5계]] 및 [[신칸센 E7계 전동차|E7계]]이다.] 퇴역 이후의 행방은 폐차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E1계처럼 선두차량만큼은 보존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E4의 퇴역 이후 전 세계를 통틀어서 운행중인 [[2층열차|2층]] [[고속열차]] 차종은 [[프랑스]]의 [[TGV 듀플렉스]]가 유일하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CR400]]의 파생형인 2층 고속열차 CR400AF-S가 개발 중이지만, 상용화까지는 몇 년의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한국도 추진하고 있지만 역시 시간을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앞모습이 매우 거대하고 괴상하게 생겨먹어서 그런지 일본 현지에서도 ''''[[하마]]', '[[오리너구리]]', '거대 [[오징어]]' 등'''의 해괴망측한 별명을 붙였다. * 가상매체에 등장한 경우가 적은 신칸센 열차이다. [[트랜스포머 카로봇|정의의 용사 카봇]]의 [[팀 신간선|J-4(제이 포)]]로 등장한 것 외에는 이렇다 할 유명 작품 등장이 없으며 [[신칸센변형로보 신카리온 THE ANIMATION|신칸센변형로보 신카리온]]에서도 주역 메카들의 프로토타입이었다는 설정으로 등장한 [[신칸센 E2계 전동차|E2]]와 달리 방영당시 운행중이던 동일본 계열 신칸센 열차 중 혼자만 등장을 못했다. * 이 열차로 운행했던 MAX 토키 315호[* 10시 16분에 도쿄를 출발하는 니가타행 열차.]는 [[NGT48]]의 곡 이름이 되었다.[* 2019년 3월 15일 10시 16분 출발 열차를 끝으로 토키 315호로 변경된다. 차량은 E7계.] * [[주식회사 관수금속|KATO]]에서 [[철도 모형]]화 되었다. [[https://www.katomodels.com/product/n/e4kei_max|#]]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신칸센]] * [[전동차]] * [[JR 동일본]] [[분류:일본의 고속철도 차량]][[분류:전동차]][[분류:1997년 출시]][[분류:2003년 단종]][[분류:2021년 폐지]][[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분류:도호쿠 신칸센]][[분류:조에츠 신칸센]][[분류:헤이세이 시대]][[분류:JR 동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