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호칭]] [목차] == 개요 == [[臣]][[妾]]. 현대에서 [[사극]]에서 [[왕비]], [[후궁]]과 같은 비빈들이 임금에게 스스로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두 가지 뜻이 있다. ‘여자가 임금을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 ‘신하가 임금을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 그러나 역사적으로 실제로는 후자에 가까우며 전자는 쓰인 바 없다. == 역사적 쓰임 == [[첩#s-1.2|첩]](妾)은 원래 여자 [[노비]]를 뜻하는 말이었다. 높은 신분의 여성 또한 군주 앞에서 자기를 첩으로 지칭하며 낮춰불렀다. 첩의 반대말은 남자 노비를 뜻하는 신(臣)이다. 그래서 신첩(臣妾)은 남자 백성과 여성 백성을 합친 신하를 강조하는 백성을 뜻하는 말이었다. [[신민]]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조선왕조실록부터 구한말의 기록까지 실제적으로 신첩은 이러한 뜻으로 쓰였다. 흔히 왕비나 후궁이 중국 사극에서 군주 이상에게 신첩을 쓰고, 한국 사극에서는 군주에게 쓰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극에서 쓰이는 법칙 중 하나일 뿐이다. 신첩은 사극에서 쓰는 것처럼 일상에서 쓰이지 않았다. 역사적으로 여성이 임금에게 중국이나 한국, 일본 등에서 첩, [[소첩]], 첩신(妾身), 일반 여성은 신녀(臣女)[* 성종실록 권제39, 성종 5년 2월 1일(병진), 중종실록 104권, 성종실록 259권, 성종 22년 11월 18일 경인 1번째기사 중종 39년 9월 2일 무술 2번째기사 등] 등이 주로 쓰였다. 예를 들면 고려시대의 기록인 [[동국이상국집]]에서 왕족 여성이 군주 이상(태후, 왕후, 왕)에게 첩으로 자신을 지칭한다. [[http://gil092003.egloos.com/m/565397|출처]] 조선왕조실록에서 여성이 자신을 임금에게 신첩(臣妾)으로 지칭할 때 원문을 보면 왕비는 첩(妾)[* 성종실록 9권, 성종 2년 1월 19일 임진 4번째기사], 일반 여성은 신녀(臣女)로 되어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신첩’을 검색해보면 태조~순종 때까지 일관되게 신민, 신하의 뜻으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백관들(남자)이 ‘우리 신첩이~’(저희 백성은, 저희 신민은~)이라며 자칭하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sillok.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첩, version=337, paragraph=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