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해남도의 시군)] ||<-4>
{{{-2 {{{#000000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황해남도|{{{#000000,#dddddd 황해남도}}}]]{{{#000,#ddd 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 군}}}]] '''}}}}}}[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000 '''{{{+1 {{{#000,#ddd 신천군}}}}}}'''[br]{{{#000,#ddd 信川郡}}}[br] {{{-2 {{{#000,#ddd Sinchŏn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신천군, 너비=100%, 높이=250px)]}}} || ||<-2> {{{#fff '''군청 소재지'''}}} ||<-2> 신천읍 || ||<-2> {{{#fff '''광역시도''' }}} ||<-2> [[황해남도]] || ||<-2> {{{#fff '''광복 당시 면적'''}}} ||<-2> 791㎢ || ||<-2> {{{#fff '''광복 당시 행정구역''' }}} ||<-2> 1읍 14면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 [[황해남도]]의 군이다. == 역사 == 대방군(帶方郡) 소명현(昭明縣), 장잠현(長岑縣)이었고 [[고구려]] 식성군(息成郡)이었으며 [[신라]] [[경덕왕]]이 중반군(重盤郡)으로 고쳤다. 고려시대에는 안주(安州)였다. 광복 당시 1읍 14면. 면적 791.7제곱킬로미터이며 군청소재지는 신천읍 사직리였다. 북한 치하에서 고속도로나 경의선이 깔린 [[사리원시]]나 [[재령군]]에 비해 발전이 더딘 곳이다. == 출신 인물 == * [[김찬삼]] * [[김형욱]] * [[최룡해]] == 기타 == 용진면 [[구월산]] 기슭에는 31본산의 하나인 패엽사가 있었으며, 두라면 청계동 천봉산 기슭에는 [[안중근]] 의사의 본가가 있었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신천·재령군 봉기]]가 일어났으며, 이 때문에 신천군은 북한 [[반미]]선전의 성지로 여겨지게 되었다. 매년 6월만 되면 [[신천박물관]]을 찾아 반미정신을 불태우고 간다는 북한 사람들의 소식은 노동신문에 거의 연례행사로 실릴 정도.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신천군기.png|width=50%]] || [[파일:신천군.jpg]] || === 구 신천군 지역 === 아래 지역은 원래부터 신천군이었던 곳이다. * '''신천읍'''(信川邑) * 관할 리 : __사직(社稷)__, 교탑(校塔), 대관(大館), 동양(東陽), 무정(武井), 송오(松梧), 양장(良長), 원암(猿巖), 척서(滌暑) * 본래 신천군 동부면(東部面)으로 신천면으로 개칭되었다가 1937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신천군 소재지. [[황해선]](은률선) [[신천역(은률선)|신천역]]이 있다. 송오리[* 온천면의 신천온천 바로 옆동네다.]에 [[김정일]]이 지은 [[특각]]인 신천초대소가 있다. * '''가련면'''(加蓮面) * 관할 리 : __조우(棗隅)__, 난전(蘭田), 동령(東嶺), 명사(明沙), 미산(眉山), 백련(百蓮), 백산(白山), 사견(四見), 월성(月城), 지봉(芝峰) * 면 동쪽, [[재령군]] 장수면과의 경계에 전탄천(箭灘川)을 막아 세운 재신(載信)저수지[* [[재령군]]과의 경계에 있다 하여 그렇게 지었다. 북한에서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235826&cid=57738&categoryId=57911|명수(明秀)저수지]]라고 한다. 위 지도에는 온천면에 있는 것으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가 있다. * '''가산면'''(加山面) * 관할 리 : __배촌(裵村)__, 간성(干城), 백석(白石), 서정(西井), 송련(松蓮), 용두(龍頭), 용천(龍川), 은천(銀川) * 100m 이하의 구릉들만 있을 뿐 거의 평지이다. 백석리에 [[백석역(은률선)|백석역]]이 있다. * '''남부면'''(南部面) * 관할 리 : __서부(西部)__, 능동(陵洞), 마산(馬山), 봉황(鳳凰), 부정(婦貞), 비봉(肥鳳), 서원(書院), 천봉(天峰), 청양(靑陽), 한은(閑隱), 화남(花南) * 면 가운데에 부정천(婦貞川)을 막아 세운 신천저수지[* 북한에서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236562&cid=57738&categoryId=57911|서원(書院)저수지]]라 한다.]가 있으며, 청양리에 북한 국보문화유물 80호인 자혜사[* 고려 초에 창건되었다 하나 창건연대 미상이며, 1572년에 재건되었다.]가 있다. * '''노월면'''(盧月面) * 관할 리 : __오국(五局)__, 고초(高草), 구창(舊倉), 굴산(屈山), 덕성(德成), 동성(東城), 마명(馬鳴), 설매(雪梅), 성월(星月), 쌍교(雙橋), 월음(月陰), 의둔(宜屯), 정례(貞禮), 청룡(靑龍), 초당(草堂) * 면 전체가 평지이다. 바로 북쪽이 [[안악 3호분]]이 있는 [[안악군]] 용순면이고, 남쪽 북부면과의 경계에 서강(西江)이 흐른다. * '''두라면'''(斗羅面) * 관할 리 : __원동(院洞)__, 간동(間洞), 백운(白雲), 봉래(蓬萊), 삼산(三山), 신전(新田), 쌍천(雙川), 청계(淸溪), 청산(靑山) * 군의 가장 남쪽에 있어 [[벽성군]] 검단면·나덕면과 경계를 이룬다. 면 서부 천봉산 부근 청계리에 [[안중근]]의사 본가가 있다. * '''북부면'''(北部面) * 관할 리 : __석당(石塘)__, 구동(舊洞), 남천(南川), 동창(東倉), 산죽(山竹), 서호(西湖), 수철(水鐵), 승도(蠅島), 신풍(新豊), 야죽(野竹), 우산(牛山), 청산(靑山), 토성(土城) * 면 서부에 우령산(雨靈山, 271m)이 있으나, 동쪽으로 갈수록 대부분 평지이다. 북쪽 노월면과의 경계에 서강(西江)이 흐른다. * '''온천면'''(溫泉面) * 관할 리 : __온천(溫泉)__, 고송(高松), 발산(鉢山), 산수(山水), 송정(松亭), 용구(龍口), 용당(龍塘), 운봉(雲峰), 장재(長財), 진우(榛隅), 추산(楸山), 한정(寒井) * 면소재지인 온천리에는 이름 그대로 신천온천이 있고, [[황해선]](은률선) [[신천온천역]]도 있다. * 면 남부에는 성재(聖齋)저수지[* 위 지도에는 재신저수지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가 있다. === 구 문화현 지역 === 아래 지역은 1909년에 신천군으로 편입된 곳이다. [[문화 류씨]]의 본관이다. * '''궁흥면'''(弓興面) * 관할 리 : __만궁(彎弓)__, 금천(金川), 농사(農司), 문박(文朴), 삼천(三泉), 석정(石井), 성암(星巖), 오원(五院), 용암(龍巖), 용천(龍川), 월봉(月峰), 응봉(應峰), 치수(雉峀) * 북한 행정구역상 [[삼천군]] 소재지로, 농사리에 [[황해선]](은률선) [[월봉역|궁흥역]], 삼천리에 [[삼천역|삼천온천역]]이 있다. * '''문무면'''(文武面) * 관할 리 : __추릉(楸陵)__, 건산(乾山), 고현(古縣), 괴정(槐亭), 동곡(桐谷), 묘각(妙覺), 양암(陽巖), 월남(月南), 추령(杻嶺) * '''문화면'''(文化面) * 관할 리 : __동각(東閣)__, 덕천(德泉), 서정(西亭), 수장(壽長), 연봉(蓮峰), 용산(龍山), 용현(龍峴), 천내(川內), 탄현(炭峴), 화산(花山), 화암(花巖) * 구 문화현의 중심지로, 용현리에 [[황해선]](은률선) [[문화역(은률선)|문화역]]이 있었으나 폐역되었다. 고암(古岩)저수지가 있다. * '''산천면'''(山川面) * 관할 리 : __경지(境地)__, 강촌(江村), 대덕(大德), 동산(東山), 사산(四山), 사읍(沙邑), 산현(山峴), 송오(松塢), 순흥(順興), 용동(龍東), 용월(龍月), 용정(龍亭), 월송(月松), 천내(川內), 한양(漢陽) * 대덕리에 [[장당경]]의 후보지로 꼽히는 '장재이벌터'라는 유적이 있다. * '''용진면'''(用珍面) * 관할 리 : __유천(柳川)__, 박달(朴達), 사문(士文), 삼봉(三峰), 삼성(三聖), 석성(石城), 운계(雲鷄), 월정(月精), 패엽(貝葉), 현천(玄川) * 군의 가장 북쪽에 있으며, 서쪽 [[은율군]]과 [[구월산]]을 경계로 접하며 패엽리에 [[패엽사]]·단군대·삼성사(三聖祠)[* 남한에서는 [[지리산]] [[삼성궁]]이 이 곳을 잇는다고 하고 있다.]가, 아사봉 부근 월정리에 846년([[신라]] [[문성왕]] 8년) 창건된 월정사(月精寺)[* 남한의 [[오대산]] [[월정사]]와는 다르다.]가 있다. 문무면, 산천면과의 사이에 용진저수지가, 동부에는 [[안악군|안]]신(安信)저수지가 있다. * '''초리면'''(草里面) * 관할 리 : __달천(達泉)__, 거문(巨門), 도명(道明), 백현(白峴), 수원(水源), 신명(新明), 용학(龍鶴), 월산(月山), 청산(靑山), 흥학(興鶴) * 면소재지인 달천리에 달천[[온천]], [[류차달]]묘가 있다. === 구 송화군 지역 === 아래 지역은 1914년에 신천군으로 편입된 곳이다. * '''용문면'''(龍門面) * 관할 리 : __삼황(三皇)__, 남산(南山), 냉정(冷井), 매추(梅秋), 반정(泮亭), 복우(福隅), 사정(射亭), 사창(司倉), 성당(聖堂), 청송(靑松) * 1914년 상용문면(上龍門面)과 하용문면(下龍門面)을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황해선]](은률선) [[황해룡문역|황해용문역]]이 있다. * 산촌(散村)이 많은 지역으로 꼽힌다. 척서천(滌暑川)이 남부면·신천읍 방향으로 동류(東流)하며, 척서천을 막아 세운 용문저수지[* 북한에서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236249&cid=57738&categoryId=57911|복우저수지]]라 한다.]가 있다. [[분류:황해남도]][[분류:이북 5도의 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