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섬들)] [include(틀:전라남도의 섬)] ||<-2> '''{{{#black {{{+2 신지도}}}[br]薪智島[br]Sinjid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지도.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薪智島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에 속한 섬으로 면적 30.99㎢[* [[마카오]]의 면적과 같다.], 해안선 길이 48km이며 [[완도]] 동쪽에 위치해 있다. 섬의 동쪽으로는 생일도, 평일도가 위치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고금도]], [[조약도]]와 접하고 있다. 완도와는 신지대교로 연결되어 있고, 고금도와 장보고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부속 유인도로는 [[모황도]]가 있다. == 지명 == 원래 섬의 이름은 지도(智島)였지만 [[신안군]]에 위치한 지도[* 현재의 [[지도읍]]]와 지명이 같아서 구분하기 위해 섬에 나무감이 많은 것을 착안해 장작나무 신(薪)자를 붙여 신지도(薪智島)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다른 지명 유래로는 [[청산도]]의 만호진이 옮겨 오면서 새로운 군 주둔지가 되었다고 하여 신둔지(新屯地)로 불리게 되었던게 '''"신지"'''로 변했다는 설도 있다. == [[명사십리(완도)|완도 명사십리해수욕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사십리(완도))] [[파일:명사십리.jpg]] 신지도 남쪽에 있고, 남해안의 유명 해수욕장으로 이름이 높다. 모래 우는 소리가 10리 밖까지 들린다는 뜻으로 고운 모래가 4km에 걸쳐 있다. 2005년말 신지대교가 건설되어 접근성이 개선 되면서 남해안의 대표 피서지로 각광 받게 되었다. 명사십리에 비해 유명세는 덜하지만 섬 동쪽에 위치한 동고리 해변도 볼 만하다. == 교통 == 2005년 12월에 개통된 [[신지대교]]를 통해 완도읍에 위치한 본섬과 연결이 되어 육지인 [[해남군]] 북평면과 [[완도군]] 군외면 사이에 위치한 [[완도대교]]로 통해서 타지역으로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같은 [[완도군]]에 속해있는 북쪽에 위치한 [[고금도]]와 바다 사이에 있어 고금도 상정선착장과 신지도 송곡항에서 차도선이 운영하였고 군내버스도 차도선으로 실은채로 왕복 운행하였으며, 배를 탄다고 해서 요금을 더 받지 않았다. 2017년 11월에 개통된 [[장보고대교]]를 통해서 고금도와 연결이 되어 육지인 [[강진군]] 마량면과 [[완도군]] 고금면 사이에 위치한 고금대교를 통해서 타지역으로 나가는 방법이 2개가 생겼으며, 약산대교로 통해 조약도를 갈 수 있게 되었고, 군내버스 또한 장보고대교를 통해서 완도읍, 신지, 고금, 약산으로 운행이 되고있어 교통편으로도 나쁘지는 않다. == 교육 == 인구가 3,600명이나 되기 때문에 학령 인구가 제법 있지만 이 곳 역시 다른 도서 지역과 마찬 가지로 인구가 꾸준히 줄어 많은 학교들이 폐교를 맞았다. 고등학교는 없고 2개교의 초등학교와 1개교의 중학교가 있다. 취소선은 폐교된 학교다. 초등학교 : 신지초등학교, 신지동초등학교, --송곡초등학교--, --송곡초등학교 강독분교-- 중학교 : 완도신지중학교, --신지동중학교-- == 유배지 == 조선 시대 때 유배지로 활용되었는데 [[정약전]]이 유배된 곳이었다. 정약전의 유배지로는 [[흑산도]]가 먼저 떠오르겠지만 원래 유배지[* [[신유박해]]로 인해 이배되었다.]는 신지도였다. 하지만 [[황사영 백서 사건]]으로 인해 한층 더 벽지인 흑산도로 유배되게 되었다. == 출신 유명인 == * [[이희재]] : 만화가. 고향 신지도를 배경으로 자신의 어린 시절과 만화와의 첫 만남을 짤막하게 만화로 그리기도 했다. * 장석천 : 독립운동가, [[신간회]] 회원으로 [[광주학생항일운동]]에 앞장섰다. [[분류:다도해의 섬]][[분류:전라남도의 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