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주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역대 1차 지명선수)] ---- ||
'''신주영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2005 KBO 퓨처스 남부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39번}}}''' || || [[조엘 치멜리스|치멜리스]][br](1998) || {{{+1 →}}} || '''{{{#fff 신주영[br](2002~2003)}}}''' || {{{+1 →}}} || [[김동영(1985)|김동영]][br](2005)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4번}}}''' || || 김무성[br](2001~2003) || {{{+1 →}}} || '''{{{#fff 신주영[br](2004~2006)}}}''' || {{{+1 →}}} || 최연오[br](2007)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7번}}}''' || || [[차명주]][br](2004.6.6.~2006) || {{{+1 →}}} || '''{{{#fff 신주영[br](2008~2009)}}}''' || {{{+1 →}}} || [[박정진]][br](2010~2018)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6번}}}''' || || [[문동환]][br](2004~2009) || {{{+1 →}}} || '''{{{#fff 신주영[br](2010)}}}''' || {{{+1 →}}} || [[한상훈]][br](2011~2013)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00번}}}''' || || [[신민기(1980)|신민기]][br](2006~2008) || {{{+1 →}}} || '''{{{#fff 신주영[br](2011~2012)}}}''' || {{{+1 →}}} || 임경훈[br](2013) || }}}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076/2011/08/14/2011081401001210400103911.jpg|width=100%]]}}} || ||<-2> '''{{{+2 신주영}}}[br]辛周泳|Shin Joo-Young''' || ||<|2> '''출생''' ||[[1984년]] [[2월 15일]] ([age(1984-02-15)]세)|| ||[[충청북도]] [[청주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우암초 - [[청주중학교|청주중]] -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야구부|청주기공고]]||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언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s-2|2002년 1차 지명]] ([[한화 이글스|한화]])||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02~2012)|| || '''지도자''' ||[[청주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br]{{{-2 (2006년 11월 27일 ~ 2008년 11월 10일)}}}|| || '''본관''' ||[[영산 신씨]][* 덕재공파(德齋公派) 34세.]||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 관련 인물|야구 선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청주기계공고 시절 맹활약하면서 촉망받았던 선수였다. 물론 전국적인 레벨로는 [[김진우(1983)|김진우]]나 [[류제국]]에게 밀렸지만, 그래도 빈약한 충청도 팜에서는 그럭저럭 괜찮았던 선수. 2001년 고3 시절에 [[노병오]], [[박정규(야구선수)|박정규]], [[연경흠]]과 함께 청주기공의 사상 첫 우승이자 마지막 전국 대회 우승[* 청주기공 야구부는 2007년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로 이관되었다.]인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우승을 이끌면서 활약하기도. 이러한 모습으로 2002년 [[한화 이글스]]의 1차 지명을 받았다. === [[한화 이글스]] 시절 === ==== 2002~2010 시즌 ==== 그러나 프로 입대 이후에는 기대만큼 활약하지는 못했다. 분명 2군에서는 두 번이나 평균자책점 1위에 오를 정도로 정말 맹활약했는데, 1군에서 거의 기회를 받지 못했다. 입단 첫 해에는 1군에 올라오지 못했고, 2003년 2경기, 2004년 6경기가 전부였다. 그나마 활약한 것이 2005년으로 준수한 계투진으로 활약하면서 24경기에 등판하고, 2005년 준PO과 PO 엔트리에 들었지만, 승/패/세이브 없이 1홀드만 기록했다. 2006년에는 프로 첫 승을 거두긴 했으나 [[김인식|80개를 던지고 하루 쉬고 40개를 던진뒤 박살]]이 나며 1군 8경기밖에 등판하지 못했다. 2007년 상무에 입대하였지만 상무에서 수술을 받게 되고, 이 여파로 군 제대 후에도 오래동안 1군 무대에 오르지 못한다. 이 부상 때문에 은퇴까지 고려했으나 재활군에서 악착같이 재활하여 살아남을 수 있었다. 2010년까지 단 한번도 1군에서 등판한 경험이 없어 방출 대상으로 분류되었으나, '''팀이 워낙 막장이라''' 쓸 만한 선수가 거의 없는 막장상태가 된 한화의 팁 뎁스 덕분에 고민하던 [[한대화]] 감독이 투수코치들의 조언을 받고 '그래도 잠재성이 있으니 미뤄보고 키워보자'고 결정해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다른 팀이었다면 방출을 피하지 못했을 것이다. ==== 2011 시즌 ==== 시즌이 시작할 때만 해도 완전히 묻혀져 후배인 --[[최진호(1984)|최진호]]--[* 흑역사. 해당항목 참조.]나 [[정재원(1984)|정재원]]이 시범경기 때 부각되고 있던 반면에 완전히 이름이 언급되지 않고 2군에서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면서 이번에도 무명의 시즌을 보내는 듯했다. 그러나 누가 알았겠는가. 2선발로 시작한 [[훌리오 데폴라]]가 시즌 시작 한 달도 못 돼서 불펜으로 강등된 후 불펜에서도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 [[웨이버 공시]]되어 퇴출되고,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이 선발에서 불펜으로 다시 불펜에서 2군으로 밀려나 2명의 [[선발 투수]]가 로테이션에서 이탈할 줄은. 상황이 이렇게 급변하면서 가능성을 보이던 [[장민재|장민제]]가 선발진에 투입된다. 이후 1경기 2블론이라는 전설을 세운 [[오넬리 페레즈]], 제구력을 다시 잃으면서 2군으로 이탈한 [[정재원(1984)|정재원]], 여전히 안 좋은 모습을 보여 주면서 승부처에서 투입을 꺼리게 하는 [[유원상]] 등 필승조의 투수가 차례로 무너지면서 모든 상황을, 그것도 뒤늦게 터졌던 좌완 불펜 [[박정진]]이 혼자 막아야 되는 상황에 걸렸다. 결국 [[박정진]]이 체력소모로 얼마 막지 못하고 내려간 경기의 터프 세이브 상황에서 선발인 [[김혁민]]을 올려 세이브를 하게 할 정도 불펜 투수가 전멸 직전에 몰린 2011년 5월. 2군 투수코치 [[송진우(야구)|송진우]]의 강력한 추천으로 --[[최진호(1984)|최진호]]--와 함께 1군에 콜업된다. 무려 5년 만의 1군 복귀. 이때만 해도 아무도 기대를 안했는데, 2011년 6월 2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3:3 동점인 상황에서 등판했다. 이후 [[신경현]]이 적시 1타점으로 역전승하면서 승리투수를 거머쥐었으며, 이틀 뒤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는 9회 2점차에 등판해 경기를 마무리지어 세이브. 그리고 다음 날인 6월 5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8회 4:2 리드 상황에 등판해 1⅓이닝을 틀어막아 이틀 연속 세이브를 기록하면서 오넬리가 기록한 4세이브의 절반인 2세이브를 벌써 세우면서 한화의 새로운 계투로 떠올랐다. 일단 피칭 방식은 마치 'SK의 [[여왕벌]]' [[정대현(1978)|정대현]]을 떠올리게 하는 ~~떵을 잔뜩 묻힌듯한~~ 지저분한 볼을 주로 던지며, 적절하게 뒷문을 걸어 잠가 버리는 스타일로 보여지고 있다. 게다가 한화 마운드 계보에서 빠지지 않는 변화구인 서클 체인지업도 구사하는데, 아직 '''[[송진우(야구)|송회장]]'''님이나 [[류현진|류딸]]에 비한다면 손볼 곳이 많은편.[* 최근 안타를 맞는 타구들을 보면 서클 체인지업을 구사하다가 안타를 맞는 경우가 많다. 서클 체인지업 제구가 잘 안될때 공이 스트라이크존 가운데로 몰려오기에 타자들에게는 좋은 먹이감이 될 수밖에... 몇몇은 체인지업도 좋지만 역시 언더핸드의 주무기인 싱커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하는 편.] 공의 지저분함은 정대현의 지저분함을 많이 벤치마킹한것 같지만 역시 담력과 경험 등 여러가지가 더 많이 쌓여아 할듯 싶다. 아무튼 피칭을 보면 정대현을 보는것 같아서 팬들은 그에 맞춰서 '''칰각갑''', 여왕닭, 야왕벌 등의 별명을 붙여주며 그가 계속 건재하며 호투하길 기원하는 중이다. 7월에는 분석이 되어서 커트당하면서 볼질하고 난타당하는 등 상당히 부진했으나 8월 들어서 공의 무브먼트가 좋아지면서 호투를 하고 있다. 8월 24일엔 [[장민재|장민제]], [[윤근영]], [[박정진]]의 뒤를 이어 구원등판. 우타자 원포인트로 등판하여 1피안타를 맞긴 했지만 후속타자를 잘 처리함으로써 승리를 챙겼다. 시즌 4승째. 비록 평균자책이 6.43으로 높긴 했지만, 4승 2패 2세이브 1홀드를 거두며 부활을 알렸다. 그러나.... ==== 2012 시즌 ==== 2012년에는 주로 [[한국프로야구 퓨처스리그|퓨처스리그]]에 있었고, 1군에는 단 3경기만 등판해 승패 없이 평균자책 16.20의 초라한 성적을 남겼다. 특히 마지막 등판이었던 [[9월 2일]] [[KIA 타이거즈]]전에서는 ⅓이닝 동안 3피안타 1피홈런 2사사구 5실점을 기록하며 '''평균자책점 135.00'''을 달성, 결국 시즌 종료 후인 [[10월 19일]], 같은 팀 내야수 [[정원석(야구선수)|정원석]]과 함께 방출되었다. == 지도자 경력 == 2013년 10월에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kbotown&mbsIdx=1329609|모교인 청주고 투수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고 한다.[* 엄밀히 말해서 모교는 아니다. 청주기공 야구부가 청주고 야구부로 이관되기 전 청주기공고를 졸업했기 때문.]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2 ||<|11> [[한화 이글스|한화]] ||<-15> 1군 기록 없음 || || 2003 || 2 || 1 || 0 || 0 || 0 || 0 || 18.00 || 4 || 1 || 2 || 0 || 0 || 2 || 2 || 6.000 || || 2004 || 6 || 8⅔ || 0 || 0 || 0 || 1 || 5.19 || 7 || 4 || 2 || 3 || 3 || 5 || 5 || 1.038 || || 2005 || 24 || 34⅓ || 0 || 0 || 0 || 1 || 2.36 || 29 || 3 || 7 || 2 || 20 || 10 || 9 || 1.049 || || 2006 || 8 || 14⅓ || 1 || 1 || 0 || 0 || 4.40 || 17 || 1 || 8 || 1 || 6 || 8 || 7 || 1.744 || || 2007 ||<-15><|2>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08 || || 2009 ||<-15><|2> 1군 기록 없음 || || 2010 || || 2011 || 42 || 35 || 4 || 2 || 2 || 1 || 6.43 || 50 || 1 || 12 || 1 || 22 || 27 || 25 || 1.771 || || 2012 || 3 || 3⅓ || 0 || 0 || 0 || 0 || 16.20 || 5 || 2 || 1 || 1 || 2 || 7 || 6 || 1.800 || ||<-2> '''[[KBO 리그|KBO]] 통산''' [br] (9시즌) || 85 || 96⅔ || 5 || 3 || 2 || 3 || 5.03 || 112 || 12 || 32 || 8 || 53 || 59 || 54 || 1.490 || == 여담 == 투수조의 분위기 메이커. 만루 홈런을 쏘아올리고 덕아웃으로 돌아오는 주장 [[신경현]]에게 감히 아무도 손대지 못하는 가운데 혼자 홈런빵을 날린다거나, 끝내기 세레모니에 제일 먼저 튀어나가 동료를 격하게 축하해 주는 등, 한화팬들 사이에서는 투구 내용보다도 특유의 기행으로 유명세를 떨친 선수다. [[이양기]]의 끝내기빵 부상 사건 때에도 팬들은 가장 유력한 용의자 중 한 명으로 신주영을 지목하기도 했다. [[청주시]] 출신으로 대전 연고 팀에서 활동했는데, 동명이인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인 [[신주영(프로게이머)|신주영]]도 대전 출신이다. 또한 2023년에는 개명 전 이름이 신주영인 외야수 [[신우재]]가 신주영의 소속팀이었던 [[한화 이글스]]에 입단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4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2012년 은퇴]][[분류:영산 신씨]][[분류:청주시 출신 인물]][[분류:청주중학교 출신]][[분류:청주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언더핸드 투수]][[분류:우언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