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과 || [[내과]] || '''Renal Artery Stenosis''' [목차] == 개요 및 원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00px-Renin-angiotensin-aldosterone_system.png]] [[콩팥]]에 피를 공급하는 동맥에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협착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RAAS계가 활성화 되어 [[고혈압]]이 나타나게 되는 질환. 속발성 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협착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 협착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환자의 약 1/3이 양쪽 신장동맥의 협착이 보여지게 된다. [[흡연]] 및 [[고지혈증]](high cholesterol)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 섬유근성 형성장애(fibromuscular dysplasia) - 주로 젊은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질병. == 증상 및 진단 == 급작스럽게 고혈압이 발생하거나, 기본적인 고혈압이 급성으로 악화되기도 한다. 특히 혈압 강하약을 복용함에도 불구하고[* 주로 3가지 이상의 혈압약에도 반응이 없을 경우] 혈압을 조절하지 못할 경우 협착을 의심해 볼수 있다. 그 외 신장기능(renal function)의 저하가 보여지며, 특징적으로 복부에 심잡음(bruits)이 들리기도 한다. 협착이 의심될 경우 신장동맥의 초음파검사(Duplex-Doppler US) 및 [[CT]]를 통해 진단하기도 한다. 가장 정확한 검사는 신장 동맥조영상(renal arteriogram)이나 조영제로 인해 [[신부전]]이 악화될수 있기에 잘 이용되지 않는다. MRA를 이용해 진단하기도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조영제는 신장 손상을 일으키지 않기에 자주 사용된다고 한다. == 치료 == 보전적인 치료법은 ACE 억제제와 칼슘통로억제제(CCBs)를 통한 약물치료가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PRTA(percutaneous transluminal renal angioplasty)를 통한 핼관재개통을 시행하거나, 실패할 경우 외과적인 수술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분류:질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