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신의주특별행정구 구기.png]] [[파일:신의주특별행정구 구장.png]] 신의주특별행정구의 기. 가운데의 꽃은 북한의 국화 [[목란]]이다. {{{+3 Sinuiju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Sinuiju SAR}}} [목차] [clearfix] == 개요 == [[2002년]]에 [[북한]]이 [[신의주시]]에 설치하고자 한 특별행정구역. 50년간 [[홍콩]]이나 [[마카오]]처럼 독립된 기본법([[헌법]])을 지닌 지역으로 계획되었다. == 상세 == 한때는 행정장관에 '''[[중국인]]을 고려하기도 하였고'''[[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27925.html|#]][* 다만 이 기사엔 신의주 특구가 무산되었다는 어조로 이해되고 있다. 이 행정구역에는 [[평안북도]] [[의주군]], [[염주군]], [[철산군]]이 포함된다.] 실제로 [[화교]] 사업가 양빈(楊斌)을 행정장관으로 하여 임명장까지 줬지만, 공교롭게도 양빈이 10월 4일 중국 당국에 탈세혐의로 체포되는 바람에 일이 꼬였다.[* 양빈은 이듬해인 2003년 18년형을 선고받았으나, 2004년 가석방되어 가택연금되었다고 한다.] [[http://www.dailynk.com/신기루처럼-사라진-北-신의주특별행/|비하인드 스토리]] 그리고 16년만에 양빈의 모습이 드러내는데 그는 현재 투자 받기 위해 대만, 중국 일대를 돌아다니고 있다.[[https://news.joins.com/article/23020960|#]]신의주특별행정구 기본법은 통일부 홈페이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https://ko.wikisource.org/wiki/신의주특별행정구_기본법|위키문헌]] === 범위 === * [[신의주시]] 전역 * [[의주군]] 일부 * [[염주군]] 일부 * [[철산군]] 일부 신의주 외의 지역도 특별행정구로 지정되었다. 특히, 철산군과 염주군의 해안가 지역도 신의주특별행정구로 지정되었다. 즉 [[월경지]]였다는 것. 바다와 바로 접하지 않은 신의주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 형해화 == 양빈이 중국 당국에 의해 체포되면서 사실상 신의주특별행정구는 이름만 있는 빈 껍데기가 되었고, 결국 [[2013년]] 경제개발구법이 제정되면서 신의주특별행정구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실제로 2018년 북한 외국문출판사가 발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요경제지대들>이라는 홍보 책자를 보면 신의주특별행정구는 신의주국제경제지대로 대체되어 수록되었다. 다만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고 40㎢로 그 영역이 축소되었다. 인근의 황금평과 위화도는 황금평, 위화도경제지대로 따로 분리되었다. == 김정은 시대 이후 == [[파일:신의주국제경제지대 지도.jpg]] 신의주국제경제지대 지도 2018년 11월, 북한은 자체적으로 신의주 특구 개발을 진행할 것임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신압록강대교 인근 수출입 가공단지가 건설 중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856848?sid=10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신의주시, version=254)] [[분류:북한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2002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2013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신의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