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카운터 함정 카드. [Include(틀:금지된 성배의 관련 카드)] [include(틀:신의 심판)]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63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신의 통고, 일어판명칭=(かみ)通告(つうこく), 영어판명칭=Solemn Strike, 효과1=①: 1500 LP를 지불하고 이하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2=●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효과3=●자신 또는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시기에 발동할 수 있다. 그것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에서 출시된 카드. 1500 LP를 지불해 몬스터 효과 발동이나 특수 소환을 무효로 하고 파괴하는 카운터 함정이다. 여타 신의 심판 시리즈 카드들보다 막는 범위가 비교적 좁다. 몬스터 효과는 막지 못하지만 마법 / 함정에 더해 일반 소환 / 반전 소환까지 막는 [[신의 심판]], 특수 소환 효과를 포함하는 모든 카드의 발동을 막는 [[신의 경고]], 발동 못 하는 상황이 별로 없는 [[신의 충고]]에 비하면, 이 카드의 발동 범위는 그리 넓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그 범위라는 게 '몬스터 효과'와 '특수 소환'이라는 유희왕 OCG의 중심을 이루는 요소들이며, 그것들을 1500 LP라는 비교적 저렴한 코스트로 막는다는 것이 신의 통고의 차별점이다. 하지만 함정 카드 특유의 느린 발동은 어쩔 수 없고, 애초에 11기 환경은 카운터 함정이 필수적이지 않다 보니 그렇게까지 자주 보이는 카드는 아니다. 물론 환경 문제 탓에 그런 것이지 절대적인 성능이 나쁜 건 아닌지라, 범용 카운터 함정이 필요하다면 [[신의 심판]]과 더불어 우선적으로 선택지에 오르는 카드이기도 하다. 발매 당시에는 그 강력함을 인정받아 모든 덱에 3장씩 박아넣는 필카로 떠오르며 [[천벌(유희왕)|천벌]]을 비롯한 수많은 구세대 카운터 함정들의 자리를 대체했다. 2016년 4월 금제 이후 여러 펜듈럼을 섞어서 만든 펜듈럼 잡덱과 새로 나온 강력한 펜듈럼 카드군인 [[메탈포제]]의 펜듈럼 소환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카드로 떠올랐다. 특히 [[마제스펙터]] 카드군의 카드 중 하나이자 강력한 펜듈럼 몬스터인 마제스펙터 유니콘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고, 초고속 대량 엑시즈 전개라는 전무후무한 전개력을 자랑하는 [[십이수(유희왕)|십이수]]까지 등장하면서 활용도는 더더욱 올랐다. 하지만 그럼에도 함정 카드의 고질적인 단점인 느린 발동 때문인지 제재를 심하게 받은 적은 없다. 2017년 7월에 준제한이 됐다가, 2019년 10월에 무제한으로 풀린 게 끝이다. 효과 자체가 강력했던데다가 [[슈퍼 레어]]라 단품 매매가가 매우 비쌌다.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출시 당시부터 항상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카드였기에 그 당시 기준 인터넷 샵가 기준 슈퍼 레어는 14000원 이상에 거래되며 시크릿은 무려 36000원이었다. 유저들 사이 거래가는 슈퍼 레어 8000~13000원, 시크릿 레어 15000원 정도 했다. 이 때문에 브오섀 통뜯은 통고가 나오냐 안 나오냐로 성공 실패 여부를 판독하기도 했을 정도였으나, 하지만 이후 스트럭처 덱 [[사이버스 링크]]에서 노멀로 재록되면서 값이 매우 떨어졌다. 사실 신의 심판, 신의 경고도 꽤 재록이 자주 됐고 신의 충고도 재록됐으니 이 카드의 재록도 예정되어 있긴 했다. 일러스트는 [[신의 충고]] 다음에 평소 금지된 보구를 사용했던 것에 대한 처벌로 신이 타락 전의 [[실락의 성녀]]에게 번개로 심판을 내리는 모습. 저 번개는 [[심판의 천평칭]]에서 나온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 BOSH-KR079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사이버스 링크]]- || SD32-KR040 || [[노멀]] || 한국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레어리티 컬렉션]] || RC02-KR050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링크 브레인즈 팩]] 2 || LVP2-KR020 || [[레어]] || 한국 || ||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REAKERS OF SHADOW]] || BOSH-JP079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스 링크|サイバース・リンク]]- || SD32-JP040 || [[노멀]] || 일본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RARITY COLLECTION]] -20th ANNIVERSARY EDITION- || RC02-JP050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2 || LVP2-JP020 || [[레어]] || 일본 || ||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reakers of Shadow]] || BOSH-EN079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6 Mega-Tin Mega Pack || MP16-EN231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OTS Tournament Pack 4 || OP04-EN003 || [[얼티밋 레어]] || 미국 ||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Special Edition || COTD-ENSE2 || [[슈퍼 레어]] || 미국 || || || Battles of Legend: Relentless Revenge || BLRR-EN102 || [[울트라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카운터 함정]] == [[마녀의 일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