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의 탑)] ||<-2>
{{{#ffffff,#dddddd '''{{{+1 신의 탑}}}''' (2020)[br]神之塔[br]-Tower of Go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0022601131_0.jpg|width=100%]]}}} || ||<-2>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판타지]], [[사이언스 픽션|SF]][* 공식 홈페이지 장르: ファンタジー・SF] || || '''원작''' ||[[SIU]] || || '''감독''' ||[[사노 타카시]] || || '''부감독''' ||[[하나이 히로카즈]] || || '''시리즈 구성''' ||요시다 에리카(吉田恵里香)[* 시리즈 구성 대표작: [[TRICKSTER -에도가와 란포 「소년 탐정단」에서-]], [[나무아미타불: 연대 UTENA]]] || || '''캐릭터 디자인''' ||[[쿠도 마사시]][br][[타니노 미호]] || || '''액션/이펙트 작화감독''' ||[[하시모토 타카시(애니메이터)|하시모토 타카시]] || || '''소품 디자인''' ||마스다 켄지(益田賢治) || || '''크리처 디자인''' ||스즈키 마사히코(鈴木政彦) || || '''미술 감독''' ||시미즈 케이이치로(清水啓一朗) || || '''색채 설계''' ||하시모토 사토시(橋本 賢) || || '''3D CG 디렉터''' ||타카노 료타(高野怜大) || || '''특수효과 감수''' ||타니구치 쿠미코(谷口久美子) || || '''촬영 감독''' ||노구치 타츠오(野口龍生) || || '''편집''' ||니이 카즈히로(新居和弘) || || '''음향 감독''' ||야마구치 타카유키(山口貴之) || || '''음향 효과''' ||콘노 야스유키(今野康之)[br]안도 유이(安藤由衣) || || '''음악''' ||케빈 펜킨(Kevin Penkin)[* [[방패 용사 성공담(애니메이션 1기)|방패 용사 성공담]]과 [[메이드 인 어비스(애니메이션 1기)|메이드 인 어비스]]의 음악을 맡았었다.] || || '''음악 제작''' ||IRMA LA DOUCE || || '''프로듀서''' ||Joseph Chou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토쿠나가 토모히로(徳永智広)[br]모로사와 마사오(諸澤昌男) || || '''애니메이션 제작'''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 || || '''제작''' ||신의 탑 애니메이션 파트너스[*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 [[크런치롤|Crunchyroll]], [[네이버 웹툰]] 등] || || '''방영 기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0년 4월|2020. 04. 01.]] ~ 2020. 06. 24.[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0년 4월|2020. 04. 01.]] ~ 2020. 06. 24.[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0년 4월|2020. 04. 02.]] ~ 2020. 06. 25. || ||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수) 23: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JEI 재능TV]] / (토) 22:00[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BS11]] 外 / (목) 00:30 || || '''스트리밍''' ||[[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broadcasting/detail.nhn?productNo=4977835&isWebtoonAgreePopUp=true|더빙▶]] [[https://serieson.naver.com/broadcasting/detail.nhn?productNo=5007140|자막▶]][br][[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287|더빙▶]][br][[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81553932|더빙▶]] || || '''편당 러닝타임''' ||24분 || || '''화수''' ||13화 || ||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https://tog-anime.com/1s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nime_ToG)]^^일본어^^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og_anime)]^^영어^^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이버 웹툰]]과 [[라인 웹툰]]에서 연재 중인 [[신의 탑]]의 '''한미일 [[합작]] [[TV 애니메이션]]'''[* 한국, 미국이 대부분의 자본을 지원하고 일본이 제작하는 형식이다.] 제1기.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이 제작하며 미국의 스트리밍 사업자 [[Crunchyroll]], 그리고 네이버 웹툰이 공동으로 투자한다.[* 본 애니메이션은 자본 출자를 한미일이 공동으로 맡고 제작은 일본 제작사가 담당하는 애니메이션이다. 즉, 본 애니메이션의 방영이나 수익 등의 권리는 투자 지분율에 따라 3국이 나눠 갖는다.] 감독은 [[사노 타카시]]. == 공개 정보 == * [[2020년]] [[2월 7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서 애니메이션 제작이 결정되었고 키 비주얼도 함께 공개되었다. [[한국]], [[미국]], [[일본]]에 동시방영할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네이버 시리즈on]], [[애니플러스]], [[JEI 재능TV]]에서 방영하며, 미국에서는 [[Crunchyroll]]이 독점 스트리밍할 예정이다.] 공개일자는 2020년 봄 중으로 예정이라고 한다. [[https://tog-anime.com/|링크]] * [[애니플렉스]]의 자회사 Rialto Entertainment 홈페이지에도 관련 글이 올라와서 제작사로 참여하는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실제 제작은 [[루팡 3세]], [[츠쿠모가미 빌려드립니다]], [[전국 바사라 Judge End]]등의 작품을 제작한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이 담당한다. [[https://rialto-e.co.jp/news/?id=53271|출처]] *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4월 1일 23:00부터 방영하며, 이후 매주 수요일 23:00마다 1화씩 방영된다. 재능TV에선 매주 토요일 22:00마다 방영된다. 두 방송국 모두 '''더빙판만 방송하며''' 자막판은 방송하지 않는다. 또한, 애니플러스에서는 다른 작품과는 다르게 홈페이지 내에서 VOD 다운로드 및 시청은 불가능했으나[* 애니플러스에서는 분명히 공지를 때렸으나, 공지를 보지 않은 사람들은 왜 올리지 않은 거냐고 화를 내며 별점 테러를 가하고 있다.], 2020년 7월 8일 오후 6시 부로 VOD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했다.[[http://www.aniplustv.com/#/customer/view.asp?gCode=CU&sCode=001&board_id=4&idx=58393&rePage=1|#]] 일본에서의 첫 방송은 [[애니메이션/2020년 4월|2020년 4월 2일]] 목요일 00:30이며,[* 키 비주얼과 공식 예고편에는 4월 1일 24:30으로 적혀져 있으나, 일본에서는 자정을 넘어가 일자가 바뀌는 방송도 그 전날 24:30, 25:00 등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이후 매주 목요일 00:30마다 1화씩 방영된다. * 2020년 2월 28일 금요일[*미국기준], [[시카고]]에서 열리는 C2E2 엑스포에서 1화를 선공개했다. [[https://www.crunchyroll.com/es/anime-news/2020/02/25/starting-off-the-year-with-premieres-crunchyroll-is-back-at-c2e2|링크]] * 네이버 시리즈 온에서 2020년 4월 1일 수요일 밤 8시에 1화를 최초 공개했다. 런칭기념으로 1, 2화를 무료로 공개한다고 하며 더빙판을 구매하면 자막판도 동봉한다고 한다.[* 자막판을 구매해도 더빙판을 준다.] * 2020년 7월 8일 부로 [[Laftel|라프텔]]에서도 VOD 서비스를 시작했다.[[https://laftel.net/item/39886/%EC%8B%A0%EC%9D%98-%ED%83%91|#]] 단 멤버십으로는 감상할 수 없으며 소장만 할 수 있다. 이후 판권이 만료되었다. * 한국에선 리드사운드 PD인 [[김정령]]이 연출을 맡았으며, 이후에 [[갓 오브 하이스쿨(TVA)|갓 오브 하이스쿨]], [[노블레스(TVA)|노블레스]]도 연출했다. === PV === [[한국]]에서는 [[네이버 웹툰]], [[미국]]에서는 [[Crunchyroll]], [[일본]]에서는 Rialto Entertainment의 공식 [[유튜브]] 채널로 영상이 올라왔다. ====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ZnMSaM5e2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rDMFyFA_uk)]}}} || || '''{{{#fff 1차 PV}}}''' || '''{{{#fff 최초 공개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waAVsNmtJ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a6Ku0_Lw0k)]}}} || ||<-2> '''{{{#fff JEI 재능TV PV}}}'''[* 재능TV 유튜브 채널에서는 놀랍게도 '''아동용 콘텐츠'''로 분류해 놓았다(...).] || 나레이션 성우는 [[양정화]], [[방성준]]. ==== 미국 ==== [[2020년]] [[2월 25일]] [[Crunchyroll]]의 공식 유튜브를 통해서 정식 PV가 공개됐다. 현재 [[크런치롤]] 공식 유튜브에 올라온 예고편들은 모두 '''국가제한 비공개''' 상태다. 또한 공식 유튜브 외에 국가제한을 피해서 올라온 예고편들은 실시간으로 저작권 위반으로 인해서 영상들이 내려가고 있으므로 굳이 예고편을 보고 싶다면 한국 채널에 올라온 예고편을 보는걸 권장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DBzWhfN3h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yMNfPj9Bqc)]}}} || || '''{{{#fff 1차 PV}}}''' || '''{{{#fff 2차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T1KT8skP5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vk-o7GnWtk)]}}} || || '''{{{#fff 3차 PV}}}''' || '''{{{#fff 4차 PV}}}''' || ==== 일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QhmqHxdgU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 || || '''{{{#fff 1차 PV}}}'''[*A 현재 [[https://www.youtube.com/watch?v=11I61kqc2tw&feature=emb_title|리알토 공식 유튜브]]에 올라온 예고편들은 국가제한 비공개 상태다.] || '''{{{#fff 2차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0eNSKQDOx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QhmqHxdgUM)]}}} || || '''{{{#fff 3차 PV}}}'''[*A 현재 [[https://www.youtube.com/watch?v=cGRUDTnc0ME&feature=youtu.be|리알토 공식 유튜브]]에 올라온 예고편들은 국가제한 비공개 상태다.] || '''{{{#fff 4차 PV}}}''' || 나레이션 성우는 [[하야미 사오리]], [[오오츠카 호츄]].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LJZOVENFIJMG4SFB25KDY2Y6I.jpg|width=100%]]}}} || || '''{{{#ffffff,#dddddd 티저 비주얼}}}''' || == 줄거리 == >탑에 오르면,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 >탑의 정상엔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있고, >이 세계를 손에 넣을 수 있다. >신이 될 수도 있다. > >이것은, 별을 보고 싶어서 탑을 오르는 소녀 ‘라헬’과 >라헬만 있으면 아무것도 필요 없는 소년 ‘밤’의 >끝과 시작의 이야기다. >---- >''― [[네이버 시리즈|네이버 시리즈 on]] 작품 소개'' == 특징 == 신의 탑 초창기의 화풍을 유사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인지 애니메이션 작화로는 드물게 '카게나시(影なし, 명암을 쓰지 않거나 최대한 절제하는 기법)'라는 기법을 사용했다.[* 그림의 정보량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조형의 가시성을 극대화하는 기법이다. 대신 음영이 적다 보니 입체감이 떨어져 보이기 쉽다. 대표적으로 시간을 달리는 소녀, 늑대 아이로 유명한 [[호소다 마모루]]가 이 기법을 사용한다.] 실제로 이 때문에 초창기 [[SIU]]의 화풍과 상당히 유사하지만 현재의 화풍과 차이가 있고[* 감독인 [[사노 타카시]]도 뉴타입 인터뷰에서 신의 탑의 초기 작풍을 구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카게나시와 거친 선을 선택했다고 밝혔지만 애초에 신의 탑 자체가 애니메이션 공개 기준 약 '''10년'''이나 전에 처음 나왔다 보니 시대적으로나 연륜적으로나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네이버 웹툰만이 아니라 그 당시 작품 대부분은 그림체가 투박하거나 단순한 경우가 많았고 그림체보다는 묘사나 스토리텔링에서 뛰어난 작품이 많았다. 시대가 바뀌다 보니 그림체도 달라지는 게 당연한 셈. 진짜 수십 년이나 해서 아예 굳어진 경우가 아닌 이상은 살짝이라도 바뀌는 게 그림체다.] 카게나시 자체가 음영을 배제했다 보니 PV공개 이후로 애니메이션으로 보기엔 좀 부자연스럽다는 평도 나왔다. == [[신의 탑/등장인물|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
'''[[신의 탑/등장인물|{{{#ffffff 등장인물}}}]]''' / '''성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스물다섯번째 밤|[[파일:밤 캐릭터 로고(신의 탑).jpg|width=108px]]]] [br] '''[[스물다섯번째 밤|밤]]'''[br]([ruby(夜, ruby=よる)])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명준(성우)|김명준]][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이치카와 타이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조니 용 보시]] || || [[라헬(신의 탑)|[[파일:라헬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라헬(신의 탑)|라헬]]'''[br](ラヘル)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양정화]][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하야미 사오리]][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발레리 로즈 로먼]] || || [[헤돈|[[파일:헤돈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헤돈]]'''[br](へドン)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방성준]][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오오츠카 호츄]][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크리스토퍼 스윈들]] || || [[쿤 아게로 아그니스|[[파일:쿤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쿤 아게로 아그니스]]'''[br](クン・アゲロ・アグネス)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심규혁]][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오카모토 노부히코]][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크리스 해크니]] || || [[라크 레크레이셔|[[파일:라크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라크 레크레이셔]]'''[br](ラーク・レクレイシャ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낙윤]][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야케 켄타]][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매튜 데이빗 러드]] || || [[아낙 자하드|[[파일:아낙.jpg|width=108px]]]] [br] '''[[아낙 자하드]]'''[br](アナク・ザハー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장미(성우)|장미]][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세키네 아키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셰러미 리]] || || [[엔도르시 자하드|[[파일:엔도르시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엔도르시 자하드]]'''[br](エンドロシ・ザハー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곽규미]][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스에가라 리에]][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지니 티라도]] || || [[하 유리 자하드|[[파일:하 유리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하 유리 자하드|유리 자하드]]'''[br](ユリ・ザハー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윤아영]][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혼다 마리코]][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키라 버클랜드]] || || [[에반 에드록|[[파일:에드록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에반 에드록]]'''[br](エヴァン・エドロック)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한]][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오키츠 카즈유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카일 맥칼리]] || || [[십이수(신의 탑)|[[파일:십 이수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십이수(신의 탑)|십이수]]'''[br](シビス)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한]][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에구치 타쿠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스콧 화이트]] || || [[하츠(신의 탑)|[[파일:하츠 캐릭터 로고.jpg|width=108px]]]] [br] '''[[하츠(신의 탑)|하츠]]'''[br](ハ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혜성(성우)|김혜성]][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카마치 토시나리]][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니콜라스 로예]] || || [[레로-로|[[파일:레로-로 캐릭터 로고.png|width=108px]]]] [br] '''[[레로-로]]'''[br](レロ・ロ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현(성우)|이현]][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츠다 켄지로]][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 || [[폰세칼 라우뢰|[[파일:폰세칼 라우뢰 캐릭터 로고.png|width=108px]]]] [br] '''[[폰세칼 라우뢰]]'''[br](ポンセカル・ラウ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요한(성우)|박요한]][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오노 다이스케]][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니콜라스 로예]] || || [[파일:검은삼월 캐릭터 로고.png|width=108px]] [br] '''[[검은 삼월]]'''[br](黒の三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양정화]][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이토 시즈카]][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로라 포스트]] ||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8px]] [br] '''[[세레나 린넨]]'''[br](セレナ・リネン)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강시현(성우)|강시현]][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바타메 히토미]][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 || || [[파일:퀸트 캐릭터 로고.png|width=108px]] [br] '''[[퀀트 블릿츠|퀀트]]'''[br](クォン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홍범기]][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요시노 히로유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8px]] [br] '''[[화련]]'''[br](カレン)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나율]][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히카사 요코]][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8px]] [br] '''[[유한성]]'''[br](ユハン)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정주원]][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키시오 다이스케]][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루시언 도지]] || }}} || == 음악 == === 주제가 === 2020년 2월 17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서 [[Stray Kids]]가 오프닝과 엔딩을 모두 담당한다는 소식이 발표됐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버전을 모두 다 담당한다. [[https://twitter.com/anime_ToG/status/1229602029032488963?s=19|링크]]. [[TOP(Stray Kids)|한국어 버전]]은 2020년 5월 13일, [[TOP -English Ver.-|영어 버전]]은 5월 20일에 온라인 발매 되었고, [[TOP -Japanese Ver.-|일본어 버전]]은 6월 3일 온라인 및 오프라인 발매 되었다. ==== [[TOP(Stray Kids)|OP]] ==== ||<-2>
'''{{{#ffffff,#ffffff OP[br][[TOP(Stray Kids)|{{{#ffffff,#ffffff TO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4WXfp_rPDU,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QsxnJjx9cE,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Stray Kids]] || || '''작사''' || 아르마딜로[br][[방찬|방찬^^3RACHA^^]][br][[창빈|창빈^^3RACHA^^]][br][[한(Stray Kids)|한^^3RACHA^^]] || || '''작곡''' || 아르마딜로[br][[방찬|방찬^^3RACHA^^]][br][[창빈|창빈^^3RACHA^^]][br][[한(Stray Kids)|한^^3RACHA^^]][br]RANGA[br]권영찬 || || '''편곡''' || 아르마딜로[br][[방찬|방찬^^3RACHA^^]][br]RANGA[br]권영찬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사노 타카시]] || || '''연출''' || || '''작화감독''' || [[타니노 미호]] || }}}}}}}}} || ==== ED ==== ||<-2>
'''{{{#ffffff,#ffffff ED[br][[TOP(Stray Kids)|{{{#ffffff,#ffffff SLUMP}}}]][* 라헬 단독 엔딩이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WNApmYmF8Q,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3-6y8G7uXY,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Stray Kids]] || || '''작사''' || [[한(Stray Kids)|한^^3RACHA^^]] || || '''작곡''' || [[한(Stray Kids)|한^^3RACHA^^]][br][[방찬|방찬^^3RACHA^^]] || || '''편곡''' || [[방찬|방찬^^3RACHA^^]]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사노 타카시]] || || '''연출''' || || '''작화감독''' ||<|2> [[타니노 미호]] || || '''원화''' || }}}}}}}}} || === OST === [[메이드 인 어비스 1기|메이드 인 어비스]]의 OST 작업을 했던 케빈 펜킨이 이번 작품에서도 전체적으로 배경음악 퀄리티를 훌륭하게 뽑아냈다.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OseTNHq-FlcxSnu3XNcOI8RMIbftd43Y|신의 탑 OST 모음]]'''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요시다 에리카(吉田恵里香)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BALL ||<-2> [[사노 타카시]] || [[타니노 미호]][br]하야시 토모코[br](林 智子) ||<|6> 타니노 미호 || 韓: 2020.04.01.[br]日: 2020.04.02. || || 제2화 || 400分の3[br]400분의 3 ||<-2> [[하나이 히로카즈]] || 스즈키 미사키[br](鈴木美咲)[br]타카스 미야코[br](高須美野子) || 韓: 2020.04.08.[br]日: 2020.04.09. || || 제3화 || 正解の扉[br]정답의 문 || 사노 타카시 || 오키미츠 로쿠스케[br](興満録助) || 하마나카 토모코[br](濱中朋子)[br]하야시 토모코[br][[이시카와 켄스케]] || 韓: 2020.04.15.[br]日: 2020.04.16. || || 제4화 || 縁の四月[br]초록 사월 ||<-3> [[무라타 마사히코]][br][*1인원화] || 韓: 2020.04.22.[br]日: 2020.04.23. || || 제5화 || 王冠の行方[br]왕관의 행방 || 하나이 히로카즈 || 츠치야 야스오[br](土屋康郎) || 스즈키 미사키[br]타카스 미야코 || 韓: 2020.04.29.[br]日: 2020.04.30. || || 제6화 || ポジション分け[br]포지션 나누기 ||<|2> 사노 타카시 || 쿠도 히로아키[br](工藤寛顕) || 타카하시 나오키[br](高橋直樹)[br]카와구치 히로아키[br](川口弘明)[br]호죠 마스미[br](北條真純) || 韓: 2020.05.06.[br]日: 2020.05.07. || || 제7화 || ご飯と鬼ごっこ[br]밥과 술래잡기 || 마츠무라 쥬리아[br](松村樹里亜) || 하마나카 토모코[br]하야시 토모코[br]이시카와 켄스케 || 이시카와 켄스케 || 韓: 2020.05.13.[br]日: 2020.05.14. || || 제8화 || クンの策略[br]쿤의 책략 || 하나이 히로카즈 || [[사토 히카루(애니메이션 감독)|사토 히카루]] || 키타하라 아키오[br](北原章雄)[br]사토 요시히사[br](佐藤義久) ||<|3> 타니노 미호 || 韓: 2020.05.20.[br]日: 2020.05.21. || || 제9화 || 片角の鬼[br]외뿔 달린 괴물 ||<|3> 사노 타카시 || [[야노 유이치로]] || 타카스 미야코[br]스즈키 미사키[br]타카타 요이치[br](高田洋一) || 韓: 2020.05.27.[br]日: 2020.05.28. || || 제10화 || 悲しみの先に[br]슬픔의 너머에는 || 츠치야 야스오 || 타카스 미야코[br]사코 다이스케[br](酒向大輔)[br]하마나카 토모코[br]하야시 토모코[br]이시이 유미코[br](石井ゆみこ)[br]오카자키 히로미[br](岡崎洋美) || 韓: 2020.06.03.[br]日: 2020.06.04. || || 제11화 || 潜魚狩り (前編)[br]잠어몰이 (전편) || 미야케 칸지[br](三宅寛治) || 슈토 타케오[br](首藤武夫)[br]사쿠라이 타쿠로[br](櫻井拓郎)[br]니시지마 케이스케[br](西島圭佑)[br]이시바시 유키에[br](石橋友紀恵)[br]타나카 유사쿠[br](田中裕作)[br]카츠키 쿠니오[br](香月邦夫) ||<|2> 타니노 미호[br]이시카와 켄스케 || 韓: 2020.06.10.[br]日: 2020.06.11. || || 제12화 || 潜魚狩り (後編)[br]잠어몰이 (후편) ||<-2> 하나이 히로카즈 || 타카타 요이치[br]스즈키 미사키[br]타니노 미호[br]하마나카 토모코[br]나카시마 리에[br](中島里恵)[br]카이즈카 사토시[br](海塚 敏)[br]이시이 유미코[br][[쿠도 마사시]][br]카노 아키라[br](加野 晃)[br]오카자키 히로미[br]하나이 히로카즈 || 韓: 2020.06.17.[br]日: 2020.06.18. || || 제13화 || 神之塔[br]신의 탑 || 사노 타카시[br][*1인원화] || 사노 타카시[br]무라타 마사히코 || 스즈키 미사키[br]하야시 토모코[br]히로나카 치에미[br](広中千恵美)[br]쿠도 유세이[br](工藤友靖)[br]쿠도 마사시 || 타니노 미호[br]타카스 미야코 || 韓: 2020.06.24.[br]日: 2020.06.25. || == [[신의 탑/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에피소드 가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의 탑/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 앵커=1기)] == [[신의 탑/애니메이션/엔드 카드#1기|엔드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의 탑/애니메이션/엔드 카드, 앵커=1기)] == 인기 == * [[MyAnimeList]] 현재 방영 중인 애니메이션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고 이후로 꾸준히 10위권 내에 랭크되어 있다. 6월 14일 기준으로는 8위다.[[https://myanimelist.net/topanime.php?type=airing|#]] 평점은 8.02점. 그 분기의 압도적인 작품이 아니면 순위변동이 심한 데다가 사이트를 이용하는 유저들조차도 평점을 믿지 말라고 할 정도니 별 의미는 없다. 유저 평점을 모은 만큼 인지도가 높거나 작화가 좋으면 세부 퀄리티랑 상관없이 평점이 높은 편이다. 어쨌든 신의 탑은 꾸준히 동분기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양덕들에게 화제성이 있었다.'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 레딧의 서브레딧 r/Anime에선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카구야 2기]]와 더불어 2020년 2분기 애니의 인기를 양분하고 있다. 매주 화차별로 시행하는 투표[* /r/anime Karma & Poll Ranking, Anime Trending]에서도 앞선 두 애니가 나머지 애니들보다 2배 이상의 표를 받을 정도. 다른 서브컬처 사이트인 MAL, Anime Trending, Anilist, Animeplanet에서도 시청자수-리뷰 참여수 등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여러 서양권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에서도 동분기 작품 중 조회수가 최상위권에 위치해있어 전반적으로 서양권에서는 기대 이상의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많다. 네이버웹툰 중에서 해외에서 나혼렙과 더불어 가장 인지도가 높았던게 신의 탑이고, 두 작품 모두 애니화를 원하는 서양권 팬덤은 이미 상당했다. 즉, 기반은 다져있던 셈이다. 다만 해외사이트의 순위가 높은 것은 후술했듯 인기작들, 특히 기존 인기작들의 2쿨에 해당하는 골수팬들이 많은 애니메이션들이 뒤로 빠진 덕이 크다. 2분기에서 경쟁상대라 할수 있었던 인기작들은 카구야 2기나 악역영애 정도. 물론 아예 재미나 관심이 없었다면 상위권에도 없었을것이란걸 고려하면 생각보다 호응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 다만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일본에서는 반응이 매우 얕은 편이다. 니코동 최고 순위는 7위 정도를 기록한데다가 1화 재생수는 7만 5천 회, 이후 회차들의 평균 재생수는 3만 5천 회 정도로 낮으며[* 웬만한 비인기 애니메이션들도 1화는 최소 10만 회를 넘는다는 걸 감안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공식 트위터 팔로워 증가 수도 중위권 수준이다. 5ch의 스레 댓글 수가 1000개를 넘기곤 있지만, 코로나의 영향으로 거대 인기작들이 뒤로 빠진 걸 고려하면 거의 망했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의 영향으로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War of Underworld]] 2쿨, [[역시 내 청춘의 러브 코미디는 잘못됐다. 완]],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애니메이션 2기)|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세컨드 시즌]]이 3분기로 연기되어 2분기 애니 주목도가 분산되어서 그나마 신의 탑의 화제성이 상대적으로 늘어난 편인데도 이 정도였다. 그래도 신의 탑 원작 자체가 일본 쪽 반응이 미적지근했던걸 감안하면, 나름 타이밍을 잘 잡아서 고정 시청층을 확보하는 것은 성공했다는 의견도 있다. * [[2020년]] [[11월 13일]]에 갑작스럽게 일본 [[넷플릭스]]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공개 3일만에 데일리 총합 랭킹 9위를 달성하는 등 예상 외의 흥행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넷플릭스로 유입된 몇몇 신규 시청자들은 신의 탑을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으로 착각하는 헤프닝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후에 [[2020년]] [[11월 19일]]에는 7위를 달성해 외국 원작 애니메이션 치고는 매우 선전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다만 넷플릭스 시청층이 일본의 서브컬쳐 소비층과는 조금 결이 다르다는 건 감안해야 한다. 니코동으로 대표하는 기존 애니 향유층들은 자국산 작품과 캐릭터 소비에 집중하고, 미국 정도를 제외한 해외 작품(특히 아시아)에 대해선 색안경을 끼다 못해 혐오하는 수준이지만, 일본 넷플릭스 유저들은 한국산 작품들이 무리없게 TOP10을 차지할 정도로 해외산 작품을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편이기 때문. 즉, 일본 내 오타쿠 계열 사이에서는 심심한 반응이긴 해도 서브컬쳐에 깊에 심취하지 않고 가볍게 애니메이션을 즐기는 정도의 사람들에겐 호평을 받고 있다. == [[신의 탑/애니메이션/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의 탑/애니메이션/평가, 앵커=1기)] == 기타 == * 크런치 롤에서 스트리밍하는 영어자막판의 경우, 등장인물의 이름을 [[라인 웹툰]]과 일치시켜서 그대로 Bam과 Rachel로 나타냈다. 이는 애니메이션 제작의 투자를 한 신의 탑 애니메이션 파트너즈에서 결정한 사항이다. [[https://www.crunchyroll.com/pt-br/anime-news/2020/04/01/why-does-crunchyroll-use-bam-in-the-tower-of-god-subtitles?utm_source=community_cr&utm_medium=twitter-showpage&utm_campaign=tog&referrer=community_cr_twitter-showpage_tog|#]] * 미국에서는 [[크런치롤]]에 의해 영어 더빙된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더빙하는 성우 위주로 캐스팅된 상태. [[https://www.crunchyroll.com/anime-news/2020/05/06/crunchyroll-announces-tower-of-god-dub-cast-may-13-premiere|#]] 더빙의 평가 역시 꽤 괜찮은 평이 많다. * 2020년 6월 8일부터 22일까지 글로벌 팬아트 공모전을 열었다. 1등은 원작자인 [[SIU]]가, 2등은 캐릭터 디자이너인 [[쿠도 마사시]]와 타니노 미호가 직접 수상자의 원하는 그림을 그려줬다. 그리고 그외에도 일본 한정으로 각 지역별로 2명씩 추가 수상자를 뽑았다. * 애니화 발표 이후로 캐릭터 디자이너인 [[타니노 미호]]가 꾸준히 일러스트를 그려 올려주었으며, 심지어 작품 종영 이후에도 종종 그림을 올리거나 신의 탑 관련 소식에 흥분하는 등, 단순히 맡은 일에 충실한 정도를 넘어 개인적인 애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우스갯소리로 '''이 애니의 최대 수확은 타니노 미호 그 자체'''라는 소리도 있을 정도. [[쿤 아게로 아그니스]]의 생일인 11월 29일에는 한글로 된 해시태그와 함께 축전 일러스트를 올리기도 했다. [[https://twitter.com/tanino_miho/status/1332876199756849153?s=19|#]][[https://twitter.com/tanino_miho/status/1332894941383540736?s=19|#]] 사실 원작 그림체가 빈말로도 좋은 소리를 못 듣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팬들에게 이 정도 [[존잘]] 그림을 그려주는 사람이 거의 공식에 준하는 선에 있다는 것 자체가 축복이다(...). * 인기에 힘입어 크런치 오리지널 시리즈 중에서 [[허구추리(애니메이션 1기)|허구추리]], [[갓 오브 하이스쿨(TVA)|갓 오브 하이스쿨]]과 함께 블루레이 제작이 확정되었다.[[https://www.crunchyroll.com/anime-news/2021/03/30/crunchyroll-and-viz-media-to-bring-burn-the-witch-tower-of-god-jujutsu-kaisen-and-more-to-home-video?utm_source=community_cr&utm_medium=twitter&utm_campaign=news_en&referrer=community_cr_twitter_news|링크]] * 애니 유튜버인 Nux Taku가 리뷰 했다.[[https://m.youtube.com/watch?v=Dbf1M05tdTE|리뷰 보기]] == [[신의 탑(애니메이션 2기)|2기 제작]] == * 2021년 11월 14일, 애니메이터 [[타케다 요시히로]]가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은 괴롭히지 말아요 나카토로양 2기를 제작하지 않고, 신의 탑 속편을 제작하고 있다는 언질을 풀었다.[[https://twitter.com/animetatakeda/status/1459622145584033792?t=U04I_HT0DbdPJPIqq5iQhQ&s=19|#]] 다만 정식 발표가 난 것도 아니고 타케다는 텔레콤 소속 직원이 아닌 [[프리랜서]]인지라 진위 여부는 불명이다. 결국 문제가 되었는지 트윗을 삭제했다. 이후 시즌 2 제작 소식을 알리는 기사도 나오긴 했으나[[https://animegalaxyofficial.com/tower-of-god-season-2-anime-in-production-confirmed-by-a-key-animation-director/|#]] 이 사이트는 [[크런치롤]]이 공식적으로 운영하는 사이트가 아니고 또한 상술한 트위터를 보고 추측하는 영역에 그치는 지라 확실하진 않다.[* 근데 [[괴롭히지 말아요, 나가토로 양 2nd Attack|괴롭히지 말아요 나카토로양 2기]] 가 [[OLM|타 제작사]] 에서 제작한다는 말은 사실이 되었다.] 그리고 '''진짜로 [[신의 탑(애니메이션 2기)|2기]]가 확정되었다'''. [[분류:신의 탑/애니메이션]][[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0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