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투니버스의 성우)] ||<-2> {{{#ffffff [[CJ ENM 성우극회|{{{#fff CJ ENM}}}]] 5기 성우[br]'''{{{+1 신용우}}}[br]愼鏞友 | Shin Yong-woo'''}}}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신용우.png|width=100%]]}}} || ||<|2> '''출생''' ||[[1976년]] [[3월 19일]] ([age(1976-03-19)]세) || ||[[서울특별시]][* 본적은 [[대구광역시]]. 부모님이 대구 출신이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거창 신씨]][* 통례공파 32세 용(鏞)○ 항렬. 축구선수 [[신한결(축구선수)|신한결]]과 같은 항렬이다.] || || '''신체''' ||167cm, 56kg|[[A형]] || || '''가족''' ||부모님[br]형 신용원, 신용일[* 의외로 집안 내력이 상당한데 가족들이 하나같이 엄친아급의 스펙을 가진 엘리트들이다. 일단 아버지와 어머니 두 사람 모두 [[서울대학교]] 출신이고, 큰형 신용원은 [[고려대학교]] 출신, 작은형 신용일은 [[연세대학교]] 출신이다. 특히 작은형 신용일은 올리브쇼에서도 출연한 바 있는 셰프로 뒤에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도 출연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radio_actor&no=234780&page=1&exception_mode=recommend|#]] [[https://www.joongang.co.kr/article/11183947|원문 기사]]][br]아내[* 자신이 결혼한 시기와 윗기수 선배 성우 [[여민정]]이 결혼한 시기가 같아 여민정과 결혼했다는 착각도 있었다. 참고로 여민정의 남편은 배우 [[하도권]].], 슬하 2녀 || || '''학력''' ||[[경원대학교]] {{{-2 (국어국문학 / 학사)}}} || || '''종교''' ||[[가톨릭|천주교]] (세례명: [[요셉]]) || || '''소속''' ||[[CJ ENM 성우극회]] 5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2003년]] 3월 ~ [[2006년]] 3월[br]프리랜서: [[2006년]] ~ 현재 || || '''별명''' ||용우신, 갓용우, 신무튼[* 평소에 '아무튼'을 많이 써서 붙었다. '아무튼'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 듯한데, 본인도 굉장히 좋아하는 듯하다. 유튜브에 '신용우 아무튼'이라고 검색하면 신용우 성우가 얼마나 아무튼을 자주 말하는지 [[https://youtu.be/srEc1OW7dEY|카운팅한 영상]]까지도 존재한다.][br][[괴도 키드|괴도]]용우[* [[괴도]] 캐릭터를 많이 맡아서 별명이 괴도용우이다. 대표적으로 2004년 전속시절, [[명탐정 코난]]의 [[괴도 키드]]를 맡았다. 이후 2011년, [[메이플스토리]]의 괴도 [[팬텀(메이플스토리)|팬텀]]도 맡았다. 2015년, 아예 괴도들이 주인공인 만화 [[괴도 조커]]에서는 주인공의 라이벌인 [[스페이드(괴도 조커)|스페이드]]를 맡기도 했다. 2020년, 단역이지만 이상한 과자가게 전천당 [[이상한 과자가게 전천당/등장인물/에피소드별#괴도 롤빵|괴도 롤빵]]을 맡기도 하였으며 그 외에도 2022년, 괴도라고 불리지는 않지만 도둑인 [[배드 가이즈]]의 주인공 미스터 울프 역을 맡았다.], 용우[[아바투르|투르]][* [[스타크래프트 2]]에서 담당했던 [[아바투르]]와 [[데하카]]가 특이한 말투로 인기몰이를 한 덕분에 얻은 별명. 아바투르는 [[음슴체]]와 특유의 개그성 대사 덕에 [[군단의 심장]] 개그 캐릭터 1순위가 되었고, 데하카도 거기 못지않게 "닭!"이라는 특유의 키워드로 인기가 폭풍상승했다.], 복면용우[* [[https://youtu.be/7KvQ9mCjtTg|참고]].] || || '''팬네임''' ||모비[* 신용우 성우의 팬카페 이름 The MOVY와 동일하다. 이름의 유래는 'The '''M'''agician '''O'''f '''V'''oice '''Y'''ong-Woo Shin'. 신용우 성우가 연기한 캐릭터 중 하나인 어떤 [[괴도 키드|마술사 캐릭터]]에서 유래되었다.] || || '''MBTI''' ||[[ENTP]][* [[https://youtu.be/pG9dAyrlayo-Bs&t=107s|해당 영상]] 참고.] || || '''링크''' ||[[http://www.toonivoice.com/sub/sub02_view.php?user_id=josefshin&sw=user_type&sk=5&offs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극회 프로필]][br][[http://cafe.naver.com/themovy|[[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The MOVY]][br][[https://youtube.com/channel/UCyIdSLmT40Ime7tFXqD1R9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유튜브]][* 2021년 5월 14일 기준으로 영상이 하나도 올라오지 않았음에도 구독자 수가 9000명을 넘는다. 딱히 개인 유튜브를 시작할 생각은 없는 것 같지만 해당 계정으로 현재 [[홍범기]] 성우와 함께 진행하는 [[Over The Radio]] 본방송 때 유튜브 채팅창에 가끔 홍범기 성우와 함께 출몰(?)하며, 동기인 홍범기 성우가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채널 [[https://youtube.com/c/%ED%99%8D%EB%B2%94%EA%B8%B0%EC%84%B1%EC%9A%B0%EB%84%A4|홍범기 성우네?]]의 --약올리는-- [[https://youtu.be/2kHWRf43jCU|댓글]]에도 [[https://youtu.be/9BPPGMTdYWI|가끔]] [[https://youtu.be/zdakiingoUg|출몰한다.]] 최근에 [[유구장창]] [[https://youtu.be/DjUwohZS1Ho|먹방 라이브 방송]]에도 댓글로 출연하기도 했다.]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신용우 성우 서명.svg|width=13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우]]. 2003년 [[CJ ENM 성우극회]] 5기로 입사하였으며 현재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김기흥]], [[현경수]], [[홍범기]], [[이용신]], [[정유미(성우)|정유미]], [[정혜옥]], [[주자영]]과 동기이며, 5기 남성들 중 최연소다. == 연기 == 목소리가 부드러우면서도 시니컬함이 존재한다는 평이 있다. 쿨한 성격의 캐릭터는 이런 느낌을 바탕으로 툭툭 내뱉는 시니컬한 연기가 한층 더 돋보인다는 의견도 있으나 감정표현에 있어 너무 밋밋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그래도 완전히 어린 톤도 아니고, 그렇다고 완전히 굵직한 톤도 아니라서 변성을 이용해 다양한 속성의 캐릭터를 연기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목소리를 배우의 얼굴로 비유해서 표현하자면 크게 개성이 튀지는 않지만 어느 역에나 무난하게 묻어난다는 [[박해일]]의 얼굴에 비유할 수 있을 듯하다.] 연기 스펙트럼이 남성 성우들 중에서도 굉장히 넓은 편이다. 하위 문단을 보면 크게 분류한 목소리의 계열이 10개로, 투니버스 5기 출신 남성 성우답게 다른 남성 동기인 [[김기흥]], [[현경수]], [[홍범기]]를 능가햐는 광역계라는 의견도 있다. 광역계의 예시 중 하나로 같은 시기에 방영했던 [[아따맘마]]의 [[김한돌|한돌이]]와 [[나루토]]의 [[휴우가 네지]]가 같은 성우라는 사실은 당시 투니버스의 주 시청자였던 저연령층들에게 놀라움을 선사했다. 예를 들자면 째진 목소리를 신용우의 스타일이라고 여겨왔던 성우팬들에게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호조 무츠미|사빈]]과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의 [[요한 리베르토|요한]], [[블리치]]의 [[쿠로사키 이치고]]의 목소리는 반전이라는 견해가 있다. 친정인 투니버스의 주력인 애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나레이션, 외화[* 사실 외화 같은 경우, 성우 캐스팅의 빡세게 하기로 유명한 디즈니 계열 작품에 여러 번 출연한 것으로 이미 증명되긴 했다.], 라디오드라마 또한 준수한 실력을 보여주는 편. 간혹 [[https://m.dcinside.com/board/radiodrama/10771|해당 글의 댓글]]처럼 애니메이션 연기보다 외화, 라드가 더 좋다는 의견도 보인다. 중년, 노년 캐릭터의 경우 개그, 천진난만한 캐릭터에는 평가가 좋은 편이나 성우 특유의 가벼운 음색덕분에 중후하고 진지한 연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편.[* 대표적으로 오박사와 아카이럼.] ===# 목소리 종류별 배역 #=== 신용우 성우의 천의 목소리 종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는데, 그야말로 [[광역계]] 만능 성우라고 할 수 있다. ## ## 맡은 캐릭터가 많아서 하위 문단으로 따로 정리했습니다. ## (작품 이름 가나다순 정렬) ---- * {{{+1 '''미남ㆍ쿨남계'''}}} * [[MAGIC KAITO]]와 [[명탐정 코난]]의 [[쿠로바 카이토|고희도]]([[괴도 키드]])[* 괴도 키드는 미남 계열이지만 고희도 같은 경우 목소리는 미남 계열인데 성격 탓에 스타일은 까불이계이다.]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실사영화 시리즈|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시리즈]]의 [[스타로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타로드]][* 이쪽도 까불대는 쪽에 가깝지만 담당 배우가 미남인데다 진지할 때는 상당히 멋있다.] * [[가면라이더 지오]]의 [[묘코인 게이츠]] *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호조 무츠미|사빈]] * [[괴도 조커]]의 [[스페이드(괴도 조커)|스페이드]] * [[꿈빛파티시엘]]의 [[원가온]] * [[나루토]]의 [[휴우가 네지]]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토도로키 쇼토]] * [[노블레스(웹툰)|노블레스]]의 [[카디스 에트라마 디 라이제르]] * [[다시 그리는 시간]]의 로샤 * [[달빛천사]]의 [[사쿠라이 에이치]] * [[대니 팬텀]]의 [[대니 팬텀]] 및 [[대니 팬튼]] * [[더 보이스(Day7)|더 보이스]]의 최석영 *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서태웅]] * [[던전 앤 파이터]]의 [[마창사]] * [[라인프렌즈]]의 [[제임스(라인프렌즈)|제임스]] * [[마기(만화)|마기]]의 [[연백룡]] * [[메이플스토리]]의 [[팬텀(메이플스토리)|팬텀]] * [[명일방주]]의 [[인포서(명일방주)|인포서]] * [[배드 가이즈]]의 미스터 울프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쿠레나이 슈]] * [[빙과(애니메이션)|빙과]]의 [[오레키 호타로]] * [[샤이닝스타(애니메이션)|샤이닝스타]]의 [[현우(샤이닝 스타)|현우]] * [[수상한 메신저]]의 [[한주민]] * [[슈가슈가룬/애니메이션|슈가슈가룬]]의 그라시에 대위 * [[스타프로젝트]]의 [[이안 스카일러|이안]] * [[스켓]]의 [[후지사키 유스케]] *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최강림]] *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의 [[브라이트(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브라이트]] * [[아스타를 향해 차구차구]]의 [[메이르]] * [[아이엠스타]]의 [[스즈카와 나오토]] * [[애프터라이프]]의 [[유세프(애프터라이프)|유세프]] * [[엑소스 히어로즈]]의 바라카 * [[염신전대 고온저|파워레인저 엔진포스]]의 [[스토 히로토|히로]] * [[오란고교 사교클럽]]의 [[오오토리 쿄우야]] * [[유희왕 5D's]]의 [[후도 유세이]] * [[인소의 법칙]]의 [[유천영]] * [[이번 생도 잘 부탁해]]의 [[문서하]] * [[이미테이션(웹툰)]]의 [[권력(이미테이션)]] * [[카 3: 새로운 도전]]의 [[잭슨 스톰]] * [[쿠키런: 킹덤]]의 [[우유맛 쿠키]] * [[테일즈런너]]의 [[카이(테일즈런너)|카이]] * [[틴 타이탄 GO!]]의 [[딕 그레이슨]][* 이쪽은 까불이계에 가깝지만 원작 애니의 리부트에서는 미남이고 진지할 땐 쿨하다.][* 신용우 성우의 온갖 연기를 한 번에 들을 수 있는 캐릭터이기도 한데, 작중의 로빈은 열혈을 보이기도, 쿨한 척 하기도 하지만, 극악의 말썽꾸러기이기도 하고, 광인마냥 미쳐 날뛰기도 하고, 한도 없이 찌질거리기도 하고, 괴물이 되기도 하고, 캐릭터가 어려지거나 아예 나이를 먹어 노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성우의 연기도 로빈의 행보에 맞추어 다양하게 바뀌는데, 전혀 어색함이 없다. 일례로 로빈이 아보가도라는 아보카도의 거대 괴물로 변했을 때는 완전히 괴물 목소리로 연기 패턴이 바뀌는데, 로빈하고 동일한 목소리라는 걸 알기 힘든 수준이다.] * [[포켓몬스터 DP]]의 [[진철]] *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의 [[N(포켓몬스터)|N]] * [[플라워링 하트]]의 [[트럼프(플라워링 하트)|트럼프]] * [[하이큐!!]]의 [[츠키시마 케이]] * [[학원 앨리스/애니메이션|학원 앨리스]]의 레오 * [[아르케랜드]]의 주인공 * {{{+1 '''열혈계'''}}} * [[Fate/Grand Order]]의 [[사카타 킨토키(Fate 시리즈)|사카타 킨토키]] * [[GTO]]의 [[무라이 쿠니오]] *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의 [[사카이 미나토]] * [[레고 닌자고]]의 [[카이(닌자고)|카이]] * [[반만 남은 세계]]의 [[영우]] * [[뿌까|짜장소녀 뿌까]]의 가루 * [[블리치]]의 [[쿠로사키 이치고]] * [[앵그리버드 더 무비]]의 레드 * [[최강전사 미니특공대]]의 [[맥스(최강전사 미니특공대)|맥스]] * [[터닝메카드]]의 [[에반(터닝메카드)|에반]][* 이를 재탕했으며, 동일한 캐릭터인 [[헬로 카봇]]의 에반 프라임 포함.] * [[포켓몬스터 DP]]의 [[맥실러]] * {{{+1 '''[[쇼타]]계'''}}} * [[기동전사 건담 AGE]]의 [[플리트 아스노]] * [[오소마츠 상]]의 [[마츠노 오소마츠]][* 기본적으로 쇼타 계열의 배역이지만 [[https://youtu.be/izf3SeoeQTs|다른 계열의 연기]]도 보여줬다.] * [[쥬로링 동물탐정]]의 미라쿤 * [[크게 휘두르며]]의 [[미하시 렌]] * {{{+1 '''까불이계'''}}} (째진 목소리)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실사영화 시리즈|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시리즈]]의 [[스타로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타로드]][* 스타일은 까불이계지만 목소리는 쿨남 계열에 가깝다.] * [[가면라이더 덴오]]의 [[류타로스]] *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케이드-6]] * [[리틀펫샵]]의 러셀 * [[사랑은 콩다콩]]의 김동찬 * [[상상 속 친구들의 모험]]의 블루 * [[아따맘마]]의 [[김한돌|한돌이]] * [[엑소스 히어로즈]]의 게일 * [[완다가 간다]]의 [[완다(완다가 간다)|완다]] * [[피터 래빗(영화)|피터 래빗]]의 [[피터 래빗]] * {{{+1 '''비만계'''}}} (막힌 목소리) * [[왔다! 뚱냥이]]의 뚱냥이 * [[회색도시2]]의 [[이경환(회색도시)|이경환]] * {{{+1 '''거구계'''}}} (낮은 목소리) * [[요괴워치]]의 [[차기웅]] * [[하야테처럼!(애니메이션 1기)|하야테처럼!]], [[하야테처럼!!]]의 [[타마(하야테처럼!)|타마]] * {{{+1 '''중년계ㆍ노년계'''}}}[* 특히 중장년층의 노역이나 할아버지는 골수팬들조차 못 알아듣다가 엔딩 크레딧을 보고 뒤늦게 깨닫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서남 방언]]을 쓰는 중장년, 노년 캐릭터를 많이 맡는다.] * [[메이플스토리]]의 [[아카이럼]] *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의 [[마스터 푸]] * [[와라! 편의점]]의 [[박점장]] * [[엔칸토: 마법의 세계]]의 브루노 마드리갈 * [[짱구는 못말려]]의 [[봉선달]] * [[코코(애니메이션)|코코]]의 [[에르네스토 델라크루즈]]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의 [[오박사(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오박사]], [[비주기(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비주기]] * [[포켓몬스터 DP]]의 [[동관(포켓몬스터)|동관]], [[핸섬(포켓몬스터)|핸섬]] *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썬&문]]의 [[송호 오(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송호 오 박사]] * {{{+1 '''사악계'''}}} (쉰 목소리) * [[던전 앤 파이터]]의 [[다크 랜서]] * [[오버워치]]의 [[리퍼(오버워치)|리퍼]][* 단 원모습인 레예스는 중년계] * [[파이널 판타지 14]]의 [[아씨엔 에메트셀크]][* 평상시에는 케이드의 연기톤에 가까운 까불이계에 가깝지만, 진지해 질때는 리퍼의 목소리와 비슷해진다, [[하데스(파이널 판타지 시리즈)|본 모습]]으로 돌아가면 괴생명체 계열 목소리로 바뀐다.] * {{{+1 '''괴생명체ㆍ괴물'''}}} * [[드래곤볼 Z]]의 [[마인 부우]][* 괴랄하게 웃는 목소리도 그렇지만 원기옥에 갈려나갈 때의 목소리가 전형적인 괴물의 패배를 연상케 한다. 그만큼 괴물 역도 잘 어울린다는 소리] * [[레드슈즈]]의 [[멀린(레드슈즈)|멀린]][* 원모습은 미남ㆍ쿨남계] * [[마다가스카의 펭귄]]의 [[리코(마다가스카의 펭귄)|리코]][* 생긴 건 멀쩡한 펭귄이라 동물계로 분류해야겠지만 목소리 톤은 완전한 괴물톤이다.] * [[스타크래프트]]의 [[감염된 테란(유닛)|감염된 테란]],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용기병]] * [[스타크래프트 2]]의 [[데하카]]와 [[아바투르]][* 데하카의 목이 갈리고 침범벅으로 걸쭉해진 목소리나 아바투르의 땅 뚫고 들어가는 초저음에 기계적인 목소리는 절대 쿨남계의 [[괴도 키드]]를 연기한 성우임을 연상케 하지 않는다. 그만큼 괴물역의 싱크로율을 잘 뽑아낸다.] * {{{+1 '''동물계'''}}} * [[레인보우 루비]]의 썬더벨 * [[슈퍼 시크릿]]의 [[남견우]][* 인간의 모습으로 변한 상황은 미남계.] * [[주토피아]]의 [[미스터 빅(주토피아)|미스터 빅]][* 쉰 연기톤과 째진 연기톤을 반반 섞은 톤으로 연기하였는데, 매우 잘 어울린다.] * {{{+1 '''여성계'''}}} * [[Over The Radio]]의 [[Over The Radio/코너#s-2.6|마당신]][* 중년 여성의 목소리]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의 [[https://youtu.be/zJphqTpLOfs|이잠]][* 여장 남자의 목소리] * [[오소마츠 상]]의 [[https://youtu.be/HNBad8nomB8|[[마츠노 오소마츠|오소코]]]] * [[짱구는 못말려]] 5기 '짱아를 따라가요'의 [[https://youtu.be/e6OOT6q1CzE|여성]] == 성우 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용우/성우 활동)] 투니버스 1~4기와 5~6기 사이의 세대교체 시기에서 영향을 크게 받은 남성 성우다. 데뷔 초기에는 활발하다 못해 시끄러운 남자 아이를 종종 연기해서 초기의 이미지는 대체적으로 평범하여 동기들에게 묻히는 편이었으나, 정반대의 음색으로 연기하기 시작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넓은 연기폭 덕분에 다작품 성우로 발전하여 성우계의 다크호스라고 불렸으며, 현재까지도 여러 장르의 작품에서 출연해서 주조연을 비롯한 다양한 캐릭터들을 많이 맡고 있어 여러 애니메이션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대체적으로 밀어주는 분위기나 맡게 되는 배역의 비중이 과거 [[김장(성우)|김장]]과 비슷해 여러모로 포스트 김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르다면 거의 모든 타입의 소년 주인공 역을 커버했던 김장이 이후에 조금 더 힘있고 연령대가 있는 캐릭터를 맡게 되었고, 신용우의 경우는 더 가볍고 샤프하며 김장보다는 연령대가 낮은 캐릭터들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청소년이나 청년대 캐릭터 뿐만 아니라 장년이나 노년기 캐릭터까지 연기하는 등 연기폭도 신용우가 김장보다 넓은 편이다. 급성장한 탓에 동기인 [[이용신]]과 마찬가지로 반감을 가진 안티들이 속출했으나, 투니버스에서 예전같은 개념없는 푸시+성우 자신이 밑도 끝도 없이 어설프게 연기하는 일은 없었으므로 버로우되었다. 짧은 시기에 급푸시를 받았지만 푸시한 만큼의 노력으로 상대적으로 까이는 일이 적은 것을 감안하면 [[엄상현]]과 비슷하다. 특촬물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데, [[개그 캐릭터]]로 시작해 폼나는 캐릭터를 전담하게 된 드문 경우다. 또한, 초딩 캐릭터나 찌질이 캐릭터를 연기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가면라이더 555]]의 [[키타자키]], [[가면라이더 카부토]]의 [[카게야마 슌]], [[가면라이더 덴오]]의 [[류타로스]], [[가면라이더 위자드]]의 [[니토 코우스케]], [[가면라이더 지오]]의 [[묘코인 게이츠]]. 일본 집영사 소년 점프 작품이 원작인 애니 중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 [[아이실드 21/애니메이션|아이실드 21]], [[블리치(애니메이션)|블리치]], [[드래곤볼(애니메이션)|드래곤볼]], [[원피스(만화)|원피스]], [[스켓 댄스]], [[유유백서/애니메이션|유유백서]], [[토리코(TVA)|토리코]],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히카루의 바둑/애니메이션|고스트 바둑왕]](투니버스판),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하이큐!!]]까지 자그마치 열두 작품에 출연했다. 소년 점프 작품이 원작인 애니의 후속작까지 합치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유희왕 GX]], [[유희왕 5D's]]가 포함되어 열네 작품이고 국내쪽 점프를 합하면 [[MAGIC KAITO]], [[명탐정 코난]]까지 포함되어 열여섯 작품이나 된다.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의 스닙스, [[리틀 펫샵]]의 러셀, [[트랜스포머]] 시리즈인 [[트랜스포머 어드벤처]]의 [[범블비]] 역을 맡음으로써 [[해즈브로]]의 3개 작품에 모두 출연하였다. === 전속 시절 === 2003년, [[더 파이팅]]에서 개 역할인 누렁이 역을 맡았다. 이후 [[http://dbm386.egloos.com/m/415703|뉴타입]]에서 [[신동식]] PD가 술회하기를 당시 전속이어서 누렁이 역을 줬는데, "네가 개를 하고 있는 거 부모님이 아시냐?"라면서 선배들이 좀 짓궂게 놀렸는데 진솔한 개 짖는 소리를 내기 위해 목청을 가다듬고 연습하는 모습을 보고 짓궂게 놀리던 선배들이 놀림을 그만둔 일화도 있다고 한다. 또 같은 2003년, [[정글은 언제나 맑은 뒤 흐림]]에서 동기인 [[이용신]] 성우와 오프닝을 불렀다. 참고로 신용우 성우도 이용신 성우와 마찬가지로 성우 팬들 사이에서 가창력을 인정받는 성우 중 하나이다. 여기서 캐스팅을 담당한 [[신동식]] PD의 말로는 이용신의 수준에 맞추어 전문 가수를 캐스팅하려 했으나 노래방에서 수차례 확인한 신용우의 가창력이 상당하여 작전을 바꾸었다고. 또한 신용우 성우가 학창 시절 유명한 합창단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고 밝혔다. [[http://dbm386.egloos.com/m/415711|출처]] 1년 후인 2004년, [[명탐정 코난]] 2기부터 오인성 성우에 이어 [[괴도 키드]]의 2대 성우를 담당했으며 명탐정 코난이라는 작품의 대중성 때문인지 그가 담당 성우를 맡은 캐릭터 중 사람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캐릭터 중 하나이기도 하다. === 프리랜서 이후 === 2008년, [[크게 휘두르며]]에서 [[미하시 렌]]을 맡았다. 이때 첫 방영전의 광고에서 보인 톤이 완전 초하이톤이라 많은 시청자들이 경악했었는데 그 이유는 당시 [[블리치]], [[가면라이더 카부토]], [[나나(만화)|NANA]], [[파워퍼프걸Z]] 등 방송사를 따지지 않고 온갖 애니들을 종횡무진하며 출연을 하고 있었는데 그만큼 소리를 박박 지르며 목을 혹사하는 배역도 많아 시청자들이 '예고편의 초하이톤'으로 연기하다 성대결절이 오면 어떡하냐는 여론이 많았는데, 본편에서는 예고편만큼의 초하이톤으로 연기하지는 않았다. 2008년, SBS가 포켓몬의 방영권을 포기한 AG 후기부터 투입된 성우들이 BW 시점에서 대거 잘렸는데, 신용우는 이 중에서 유일하게 그대로 남아 W까지도 개근 중이며 조연 전문 성우 중에선 가장 오랜 기간출연 중이다.[* 담당한 포켓몬 중 [[초염몽(한지우)|지우의 불꽃숭이]]가 가장 기억에 남았는지, [[한지우]]를 담당한 [[이선호(성우)|이선호]]가 너로 정했다!라고 외치면 마치 본인도 에너지를 받는 것 같다고 언급한 바 있다.] [[Over The Radio|웹라디오]]에서도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름은 [[Over The Radio]]로 동기인 [[홍범기]]와 함께 [[2014년]]부터 [age(2014-09-01)]년째 진행하고 있다. 2016년 [[주토피아]]의 [[미스터 빅(주토피아)|미스터 빅]]을 연기했다는 사실이 팬들을 놀라게 했다. 미스터 빅의 목소리가 매우 높고 걸걸한 목소리였기 때문. -- [[라이브베러|이분]]도 연기를 하셨는데 그정도야...-- 목소리 피치를 많이 올렸겠거니 했는데, [[오더라]]에서 피치가 많이 올라간 것도 아니고 하나만 올린거라며 직접 연기해보였다. [[https://youtu.be/Ij1KcEOIOjA|유튜브 영상 1]] [[https://youtu.be/p3qYbiYDwt4?t=6m01s-Bs&t=360s|유튜브 영상 2]] 또 같은 2016년, 미스터 빅에 이어 [[오버워치]]에서 [[리퍼(오버워치)|리퍼]]를 담당했다. 리퍼의 보이스가 신용우 성우 본인의 목소리와는 전혀 달랐기에 변조한 음성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으나[* 다만 약간의 에코가 들어가긴 했다.] 리퍼의 음성을 생목소리로 완벽하게 소화해는 모습을 보이며 광역계 성우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https://youtube.com/shorts/BPF7tify6d8?feature=share|참고]] 2022년 [[디즈니+|디즈니 플러스]]판부터 [[조니 뎁]]의 목소리를 전담하게 되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매드 해터(디즈니 캐릭터)|모자 장수]],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의 [[잭 스패로우]] 등.] === 자주 엮이는 성우 === 동기인 [[홍범기]]와 같이 출연한 작품도 많고 친구 사이 부터 동료, 라이벌, 앙숙 관계 등 자주 엮인다. * 친구 사이로는 * [[아따맘마]]의 [[오동동(아따맘마)|동동이]](홍범기)와 [[김한돌|한돌이]](신용우) * [[나루토]]의 [[휴우가 네지|네지]](신용우)와 [[록 리|록 리]](홍범기) * [[데스티니 시리즈]]의 [[케이드-6]](신용우)와 [[방랑자(데스티니 시리즈)|방랑자]](홍범기)가 있다. * 라이벌/앙숙 관계로는 * [[스켓 댄스]]의 [[후지사키 유스케|현세원]](신용우)과 구세준(홍범기) * [[메이플스토리]]의 [[팬텀(메이플스토리)|팬텀]](신용우)과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루미너스]](홍범기)가 있다. EBS에서는 [[엄상현]] 또는 [[정재헌]]과 함께 자주 출연하며, 셋이서 같이 출현한 작품들의 빈도가 생각보다 굉장히 많다. 대표적으로 [[로보카 폴리]]와 [[레고 닌자고]] 같은 것들이 있다.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에서는 [[오인성]]과 많이 엮였는데, 오인성과 함께 작중에서 나오는 2인조란 2인조들은 대부분 맡았다.[* 또한 둘 다 [[관철]]과 포켓몬스터 DP의 등장인물인 [[시호(포켓몬스터)|시호]]도 맡았다. 우연찮게도 둘은 [[쿠로바 카이토]]([[괴도 키드]])를 맡은 바가 있다. KBS 방영분에서 오인성이 맡았고 이후 투니버스 방영분인 2기 부터 신용우가 이어받았다.] 게다가 둘이 [[망나뇽]] 커플을 맡기도 했는데, 신용우는 '''암컷''' 망나뇽(!)이다. XY 이후로는 중복이 줄어서 포켓몬이나 단역 정도를 제외하면 시리즈 고정으로는 [[오박사(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오박사]]/[[송호 오(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송호 오]] 및 [[비주기(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비주기]]만 담당하고 있다. 또 [[카 3: 새로운 도전]]에서는 오인성이 주인공, 신용우가 빌런을 맡기도 했다. 여담으로 오인성과 신용우는 모두 코난의 괴도 키드 1대, 2대 성우다. 대원 방송의 후배인 [[심규혁]]과는 네이버 웹툰의 드라마CD에서 작품의 주요 남캐 두명으로 자주 엮였다.(ex. [[집이 없어]], [[고래별]], [[하루만 네가 되고 싶어]]) === 자주 출연하는 방송사 === 출신 방송사인 투니버스를 포함한 다른 방송사들에는 매우 흔하디 흔하게 출연한다.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아동 애니 더빙 활동에서 주연 및 조연들을 맡으며 선전하고 있다. EBS를 틀어봤을 때 심심하면 나온다. 게다가 내레이션까지 섭렵했다. 다만 [[재능TV]]하고는 연이 별로 없는지 후로티 로봇 이후로 출연(기존 역 제외)이 일절 전무하다.[* 물론 이건 현재의 재능이 KBS, 대원과는 달리 투니버스 성우 부르는데 있어 몇(김새해, 홍범기, 양정화)을 제외하면 보통 1명 정도에서 멈출 정도로 꽤 소극적인 점도 있다. 그래도 신용우가 중견급 이상의 함부로 무시할 만한 성우가 아닌 점을 생각하면 의식을 별로 안 한 모양인 듯.] 그러다 [[고스트 게임: 디지몬]]에서 [[히가시미타라이 키요시로|이청솔]](히가시미타라이 키요시로) 역을 맡으면서 무려 '''9년'''만에 다시 출연한다.[* 참고로 그 외로는 7 ~ 8년 만에 출연하는 [[최낙윤]]과 [[이영란]], 6년 만에 출연하는 [[배진홍]]이 있다.]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신용우kbs무대.png|width=100%]]}}}|| 케이블 방송국 성우극회 성우로는 최초로 [[KBS 무대]]에 출연한 성우가 되었다.[[http://www.kbs.co.kr/radio/scr/stage/bbs/index.html?bbs_pr=/mode:2/seq:733506/goto_page:1|링크]] [[CJ ENM 성우극회|케이블 방송국]] [[대교방송 성우극회|성우극회]] 출신으로 KBS에 이적한 성우들도 있었지만[* ([[김지혜(성우)|김지혜]], [[이현주(성우)|이현주]], [[변현우(성우)|변현우]], [[전숙경]], [[유호한]], [[김태영(성우)|김태영]].)] 하지만 신용우처럼 여전히 [[CJ ENM 성우극회|케이블 극회]] 소속인 성우가 특별 출연 취급이기는 해도 거의 [[KBS 성우극회|자사 소속 성우들]]로만 출연하는 KBS 무대에 출연한것은 '''최초이자 굉장히 희귀한 케이스'''. 아마 [[김호상(라디오국 PD)|김호상PD(호피디)]]가 연출했던 [[오디오클립]] "마담 셜록" 출연이 계기가 된 것 같다. == [[신용우/출연작|출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용우/출연작)] == 여담 == * 투니버스 5기 남자 성우 중에서는 가장 다작을 하고있다.[* 여담이지만 투니버스 5기 동기이자 투니버스의 간판 성우 중 하나로 크게 활약하고 있는 [[홍범기]] 성우가 우락부락 판타지와 [[정재헌의 호락호락]]에서 자신의 라이벌은 신용우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 오디오 인터뷰 영상에서 자신의 '성격이 까칠하다'는 발언을 본인이 언급했다. 연기 지도면에서도 후배들에게 상당히 엄격한 선배라고 한다. * [[스타크래프트 2]] 인터뷰 영상에서 밝힌 바로는 웃긴 걸 좋아하고 남을 웃기는 것도 좋아한다고 한다. 후배들에게는 엄격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유머 감각도 많고 웃음도 많은 편인 듯하다. [[박성태]], [[최승훈(성우)|최승훈]], [[김현지(성우)|김현지]]와 함께 진행했던 이라쇼(이름없는 라디오쇼)에서도 후배들과 사이좋게 디스를 주고받으며 개그센스를 발휘하기도 했다. 중간에 정재헌이 맡은 캐릭터가 누구와 러브라인이 되었으면 좋겠냐는 질문에서 [[https://youtu.be/3Y9VHd9HL2Q?t=9m35s|'''오빩! 낡!!'''(9분 50초부터)]]라고 답해서 큰 웃음을 선사했다. 당연히(?) "[[임페리우스|신성모독이다!]]" 드립으로 거절한 것은 덤. * 선배 성우 [[강수진(KBS 성우)|강수진]]과 비슷하게 [[야마구치 캇페이]]와 겹치는 배역이 몇몇 있다. 그외에도 [[미도리카와 히카루]], [[사쿠라이 타카히로]], [[후루시마 키요타카]], [[이시다 아키라]], [[노지마 히로후미]], [[나카무라 유이치]], [[시마자키 노부나가]]와도 배역이 자주 겹친다. * 한때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타릭(리그 오브 레전드)|타릭]]을 담당한 성우로 알려졌었지만[* 리메이크 이전 타릭의 성우는 [[김국진(성우)|김국진]] 성우가 맡았고 리메이크 후에는 [[류승곤]] 성우가 맡았다.] [[리그 오브 레전드 인벤]]에서 주최한 [[서유리]]의 덧글 인터뷰에서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오히려 그는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담당한 캐릭터가 없다. * 본인 왈 게임덕이라고 한다. [[Over The Radio|오더라]] [[https://youtu.be/uZUlBRN4iY8|25회]]에서 [[디시인사이드]]와 [[루리웹]]을 언급하고는 '게임덕이라 루리웹을 알고 있다'고 하기도. 게임 더빙 인터뷰에서도 '게임을 좋아하는데 아이를 키우느라 게임할 시간이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 주로 맡는 캐릭터는 검은색과 관련된 캐릭터지만 의외로 빨간색이 트레이드 마크거나 관련된 색의 캐릭터들을 자주 맡은 적이 있다. 파란색 관련 캐릭터도 꽤 맡는 편. * 선배인 [[여민정]]과 같이 출연한 작품이 꽤 존재한다. * 붉은 색에 약간의 색약이 있어서 붉은 얼룩이 있는 셔츠를 흰 옷인줄 알고 입고 다녔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 그 동안의 작품 중 인상적인 배역으로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의 [[요한 리베르토]]을 꼽았다. 그리고 자신과 비슷한 부분이 많은 [[오레키 호타로]]에게 애착이 있다고. * 성우학원 '웰빙스피치' 출신. 특히 여기서 한국 성우계의 대모 중 한사람인 [[성선녀]]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http://www.wbspeech.co.kr/?mid=ddd5&document_srl=1463&l=de|관련 인터뷰]] * 1기수 후배인 [[김현심]] 성우의 증언에 따르면[* 2019년 12월에 대선배 성우 [[홍시호]]의 유튜브 방송인 [[홍시호의 홍SHOW|홍쇼]]에서 언급했다.] 자신과 같은 성우학원에서 배운 적이 있다고 한다. 당시 수강생이 21명이 있었는데, 유일한 남자 수강생 1명인 신용우가 20명의 여성 수강생과 함께 더빙연습을 하느라 힘들어서 2개월 만에 나갔다고 한다. * 목 관리를 위해 담배를 끊었으며, 술도 자제하는 편이라고 한다.[[https://www.maxmovie.com/news/74032?/#csidxdcc29983704f16fa21a222c718471e9|참고 인터뷰]] * [[Over The Radio]]에서 밝혀진 것들은 다음과 같다. * 국어국문학과 출신이라고 한다. 대학교는 프로필 표에도 나와있듯이 前 경원대학교, 現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다. * [[https://youtu.be/XNA2PY-a6a8|128회]]에 따르면, 생새우에 알러지가 있으며 절대 먹지 못하는 음식이 [[셀러리]], [[홍어]], [[고수(채소)|고수]]라고 한다. [[민트초코]]도 별로 안좋아한다고 한다. * [[홍범기]]의 말에 따르면 어지간하면 오디션에서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애니메이션 [[신의 탑(애니메이션 1기)|신의 탑]] 오디션에는 떨어졌다고 한다.[[https://youtu.be/n8X3TuRdTz4|#]] * [[밀키스]]를 좋아한다고 한다. * 카메라로 자신의 사진을 찍는 것을 좋아하진 않는 듯하다. 그 이유는 신용우 성우가 연기한 캐릭터들의 이미지가 신용우 성우 자신의 얼굴로 인해 망가지는 걸 원치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전속 시절 때 성우실에 있다가 몇 번 붙잡혀서 엑스트라를 했지만 TV출연은 좋아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홍범기]]가 TV출연에 도전할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없다'''고 단호하게 대답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zMwioNTz1PY|보러가기]] 물론 TV출연은 없지만 짧은 유튜브 영상이나 오프라인 이벤트는 곧잘 출연하는 편이다. * [[아이폰 6s]]를 최근까지 사용하다가 [[아이폰 12 미니]] 화이트로 기변했다. 이외에도 [[아이패드 프로 11인치 1세대]], 애플워치 등을 사용한다. * 괴도키드의 목소리가 신용우의 평소 목소리라고 한다. 오더라 등에서 신용우 성우가 웃는 소리를 들으면 괴도키드가 웃는 소리랑 똑같다는 반응이 대다수. * 운전면허 시험을 7번 정도 떨어지고 [[미국]]에 있었을 때 면허를 땄다고 한다. * 오디오웹툰 [[고래별]]에서 러시아어 "Если бы снегурочка существовала, она была бы обязательно похожа на тебя?"를 말했다.[* 해석하면 "스네그로치카가 있다면 꼭 너 같을까?"이다. [[https://youtu.be/41aiwGQAWKw|2분 20초]]] * KBS 예능 프로그램인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의 2019년 1월 22일 방영분에 [[괴도 키드]] 역으로 소개되었다. 지상파 출신이 아닌 케이블 출신 성우가 지상파 방송에서 이름이 언급된 흔치 않은 경우. 소개된 장면은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명탐정 코난 극장판]] 10기 [[탐정들의 진혼가]]에 나온 장면이다. [[https://youtu.be/fZ7TP7uz538|보러가기]] * 유튜브 영상이나 인터뷰 등에서 여러 번 "자신의 목소리가 평범한 편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평범한 목소리에서 비롯된 광역계의 영향인지 이 [[https://youtu.be/vYQXtFg6feI-Bs&t=757s|영상]]에 따르면 PD가 누구한테 주어야할지 몰라 마땅한 성우를 찾지 못한 캐릭터를 많이 담당한다고. * [[휴먼버그대학교]]의 주역인 [[사타케 히로후미]]의 담당 성우 목소리가 신용우와 꽤 흡사하다. 물론 한국판 기준으로 사타케의 목소리가 들쑥날쑥이긴 하다. 그래도 신용우가 사타케 역에 어울릴거 같다는 의견도 좀 있다.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 [[광역계]] [[분류:한국 남성 성우]][[분류:1976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거창 신씨]][[분류:경원대학교 출신]][[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Over The Radio/출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