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www.sac.or.kr/mag_20071001_2990_.jpg]] || || '''이름''' ||신수정 (申秀貞)|| || '''본관''' ||[[고령 신씨]][* 영성군파 27세 수(秀) 항렬.] || ||<|2> '''출생''' ||[[1942년]] [[4월 29일]] ([age(1942-04-29)]세) || ||[[충청북도]] [[청주시|청주군]] (현 [[청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예술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 ([[기악과]][* 수석 입학, 전체 수석 졸업] / [[학사]])}}}[br][[존스 홉킨스 대학교|존스 홉킨스 대학교 피바디 음악대학 대학원]] {{{-2 ([[석사]])}}} || || '''종교''' ||[[가톨릭|천주교]] {{{-2 ([[세례명]]: [[카타리나]])}}}[* [[http://club.catholic.or.kr/peter/bbs/board/read.asp?maingroup=2&gubun=100&seq=106&table=gnboard&group_id=4&id=120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이자 1세대 클래식 음악인 중 한 명이다. 본관은 [[고령 신씨|고령]](高靈), 종교는 [[천주교]]{{{-2 ([[세례명]]: [[카타리나]])}}}[* [[http://club.catholic.or.kr/peter/bbs/board/read.asp?maingroup=2&gubun=100&seq=106&table=gnboard&group_id=4&id=1205|#]]] == 생애 == 1942년 4월 29일 [[충청북도]] [[청주시|청주군]](현 [[청주시]])에서 아버지 신집호(申集浩, 1915. 2. 15 ~ 1996. 11. 20)와 어머니 [[안동 김씨]] 김석태(金錫泰, 1921년 1월 28일생)[* 김정회(金廷會)의 딸이다.] 사이의 3남 2녀 중 장녀로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1996112100711|태어났다.]][* 어머니 안동 김씨 김석태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이며, 첫째 부인 안동 김씨 김봉응(金鳳應, ? ~ 1939. 11. 28)은 김상익(金相翼)의 딸로 슬하에 장남 신학수(申學秀, 1937년 10월 12일생)를 낳은 뒤 별세했다.] [[1950년대]]인 국민학교 6학년 때 한동일, 김덕주, 이경숙 등과 함께 이화 경향 콩쿠르에 입상했고, 1959년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3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했다. 제1회 동아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이후 국외의 다수 콩쿠르에서도 입상했다. 동세대인 [[정경화]], [[백건우]] 등에 비해 연주자로서의 명성보다는, 음악 교육자로서의 역할이 컸다. 1969년에 27세의 나이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의 최연소 교수가 되었고, 1990년대에 [[가천대학교/학부|경원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을 거쳐, 2000년에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최초의 여성 학장이 되어 7년 동안 재직했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지금도 후배 연주자들과 함께, 종종 연주 무대에 오르고 있다.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00625003326a000a010-001.jpg]] [[조성진(피아니스트)|조성진]]도 10대 초반에 신수정 교수를 사사한 바 있었다. 2015년 쇼팽 콩쿠르에서 조성진이 우승하자, 신수정도 '조성진의 스승'으로 함께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2018년부터는 [[현대자동차]]에서 [[정몽구]] 회장의 이름을 따서 설립된 재단의 이사장도 맡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분류:청주시 출신 인물]][[분류:1942년 출생]][[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고령 신씨]][[분류:서울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