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 [[유희왕/OCG]]의 링크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엔디미온(유희왕), top2=마력 카운터)] [목차] == 설명 == || [[파일:card100291230_1.jpg|width=100%]] || [[파일:SeleneQueenoftheMasterMagicians-DUOV-EN-UR-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신성마황후 셀레네, 일어판명칭=神聖魔皇后(しんせいまこうごう)セレーネ, 영어판명칭=Selene\, Queen of the Master Magicians, 속성=빛, 레벨=3, link1=, link2=, link3=, 공격력=1850, 종족=마법사족, 소재=마법사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서로의 필드 / 묘지의 마법 카드의 수만큼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놓는다., 효과2=②: 필드에 "엔디미온" 카드가 존재하는 한\, 상대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이 카드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의 본모습. 들고 있는 무기랑 공격력이 똑같고, 마스터즈 가이드 6에서 본인이라고 인증되었다.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여신 [[셀레네]]로, 미소년 엔디미온과의 사랑으로 유명하다. ①의 효과는 소환 시 서로의 필드 / 묘지의 마법 카드 수만큼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놓는 효과. 펜듈럼 존의 펜듈럼 카드도 마법 카드 취급이므로 최소 1~2개, 선턴 전개라도 3개 이상 쌓이는 건 쉽기 때문에 바로 ③의 효과를 쓸 수 있다. 듀얼 후반이 되면 한 번에 놓는 마력 카운터도 더더욱 많아지며, 그에 따라 ③의 효과뿐만 아니라 다른 마력 카운터를 필요로 하는 카드를 보조할 수 있게 된다. [[툰 목차]]를 사용하면 1장으로 마력 카운터 3개를 놓아 ③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펜듈럼 소환이 주력인 덱에서는 세팅된 펜듈럼 몬스터가 마법 취급을 받으므로 더욱 카운터를 쌓기 쉽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 엔디미온 카드가 존재할 경우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 효과. 파괴 내성을 지닌 [[마법도시 엔디미온]]이 있으면 필드에 유지하기가 더욱 수월해지고, 펜듈럼 존에 있는 엔디미온 펜듈럼 몬스터를 통해서도 보호받을 수 있다. 다만 효과에 의한 제거엔 무력하므로 [[마도서(유희왕)#토라의 마도서|토라의 마도서]] 등으로 지키는 게 좋다. 핵심은 ③의 효과. 필드의 마력 카운터 3개를 제거해 패 / 묘지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마커 앞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물론 수비 표시인 만큼 링크 몬스터는 소환할 수 없다. 얼핏 보면 [[엔디미온(유희왕)|엔디미온]] 덱은 펜듈럼 몬스터라 상성이 별로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오드아이즈#10.1.1|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 [[오드아이즈#7.1.1|오드아이즈 보텍스 드래곤]] 콤보를 위해 [[창성마도왕 엔디미온]]이 묘지로 떨어질 일이 많기에 쓸 수 있다. 게다가 아무 마법사족이나 소생시킬 수 있어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뽑고 [[이펙트 뵐러]]를 특수 소환, 두 몬스터를 소재로 이 카드를 뽑고 이펙트 뵐러로 [[링크리보]]를 뽑으면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링크 소환이 가능하며 링크리보를 거치지 않고 바로 [[액세스코드 토커]]를 쉽게 뽑을 수 있으며, [[SPYRAL]]이나 [[블랙 매지션]] 등 마법사족을 마련하기 쉬우면서도 묘지에 마법사족 몬스터가 잘 묻히는 덱에서도 충분히 쓸 수 있다. 실제로 [[섬도]] 덱이나 SPYRAL 덱에서도 용병으로 뛰고 있다. 다만 2022년 7월 하리파이버가 금지가 되면서 [[령사]] 링크 몬스터를 대신 쓰던가 해야 한다. 이후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디아벨스타]]가 용병으로 부각되면서 뵐러 이외에도 흑마녀를 써도 토커로 이을 수 있다. 펜듈럼 덱에서도 자주 채용되는데, 펜듈럼 덱의 주요 기믹인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과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연계 이후 손쉽게 이 카드를 소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링크 마커 방향도 하단 마커 3개로 펜듈럼 소환에 특화되어있기에 고점 전개를 보기 쉽다. 하지만 이쪽은 [[엑시드 더 펜듈럼]]이라는 대체재가 생겼다. 해외 수출용 일러스트에선 가슴골 쪽에 천이 덧대어졌다. 그나마 가슴골 외에는 수정되지 않아 겨드랑이 부분은 그대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링크 브레인즈 팩|링크 브레인즈 팩]] || LVP3-KR036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어리티 컬렉션]] -쿼터 센츄리 에디션- || RC04-KR048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br][[얼티밋 레어]][br][[엑스트라 시크릿 레어]][br][[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 한국 ||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3]] || LVP3-JP036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레어리티 컬렉션|RARITY COLLECTION]] -QUARTER CENTURY EDITION- || RC04-JP048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br][[얼티밋 레어]][br][[엑스트라 시크릿 레어]][br][[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 일본 || || || Duel Overload || DUOV-EN014 || 울트라 레어 || 미국 ||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 ===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 === [[엔디미온(유희왕)|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 === ===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