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5년 기업]][[분류:대한민국의 철도운영사]][[분류:두산]] [include(틀:두산)] [include(틀:대한민국의 철도 운영기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신분당선'''}}}[br]新盆唐線 | Shinbundang Railroad}}} || ||<-2> [[파일:Shinbundang Railroad_CI_Horizontal.png|width=260]] || || '''설립일''' ||[[2005년]] [[5월 30일]]|| || '''대표자''' ||김호열|| || '''주요 주주''' ||'''[[두산건설]]: 29.03%'''[br]한국인프로2호투융자회사: 17.50%[br][[한국산업은행]]: 10.98%[br][[DL이앤씨]]: 9.71%[br][[대우건설]]: 9.71%[br][[동부건설]]: 4.85%[br][[코오롱글로벌]]: 4.85%[br][[태영건설]]: 4.85%[br][[포스코건설]]: 4.85%[br][[농협은행]]: 3.67%|| || '''기업 분류''' ||[[대기업]]|| ||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직원 수''' ||10명^^(2020년 12월 기준)^^|| || '''자본금''' ||2,123억 0,000만 0,000원^^(2020년 기준)^^|| || '''매출액''' ||764억 2,680만 779원^^(2020년 기준)^^|| || '''영업이익''' ||-134억 8,915만 3,777원^^(2020년 기준)^^|| || '''순이익''' ||-503억 2,907만 1,960원^^(2020년 기준)^^|| || '''자산총액''' ||6,791억 7,648만 2,502원^^(2020년 기준)^^|| || '''부채총액''' ||9,999억 8,693만 89원^^(2020년 기준)^^|| || '''운영 구간'''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5]] [[신분당선|신분당선]][*관할구간 [[강남역]] ↔ [[정자역]] 구간][*수행업무 사업 시행 업무]|| || '''영업 거리''' ||18.47km|| || '''소재지''' ||'''본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06번길 33 ([[삼평동]])|| ||<-2> '''관련 웹사이트''' || ||<-2> [[http://www.shinbundang.co.kr| '''{{{#044b91 신분당선(주) 공식 홈페이지}}}''']] || ||<-2> '''관련 전화번호''' || ||<-2> 고객센터: {{{#044b91 '''031-8018-7777'''}}}[br]신분당선 [[양재역]] 유실물센터: {{{#044b91 '''031-8018-777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분당선_HQ.png|width=100%]]}}} || ||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신분당선 본사'''[* [[네오트랜스주식회사]]와 같은 건물을 쓴다. [[판교역(성남)|판교역]] 근처에 있다.] || >최첨단 신기술의 국내유일 무인운전 지하철 >'''{{{+1 신분당선 DX LINE}}}''' >최첨단 기술력을 가진 신분당선 DX LINE은 >언제나 정확하게 고객 여러분을 FIRST CLASS로 모십니다. >---- >신분당선(주) 홈페이지 인사말 >'''꿈을 싣고 세계로! 고객과 함께 미래로!''' >---- >신분당선(주)의 [[캐치프레이즈]]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attachment/신분당선주식회사/logo2.jpg]] || [[신분당선]] 1차 구간([[강남역]] ~ [[정자역]])을 건설한 업체. 경영권을 가진 최대주주는 [[두산건설]]. 신분당선 1차구간은 광역철도 사업으로 지정되어 개업과 동시에 [[대한민국 정부]]에 소유권을 이전하였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서울시메트로9호선]]처럼 신분당선의 시설에 대한 건설, 관리, 유지보수 및 운영을 맡고 있다. 이는 신분당선 1단계 구간이 국가에 완전히 귀속되는 30년 후인 [[2041년]]까지 계속된다. 열차 12개 편성은 이쪽에서 구매하였으며, 운임수취도 이 쪽이 한다. 신분당선은 [[광역철도]] 사업이기 때문에 손실보장을 [[국토교통부]]가 한다. 다만 [[신분당선]] 수요가 예측수요 대비 50 ~ 80%인 구간에서 손실보장을 집행한다. 신분당선은 예측 수요 대비 40%대를 보이고 있으며, 차후 추가로 연장구간이 개통되면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기대했었지만 적자 폭은 줄지 않았다. [[서울 경전철 서부선]]의 민자사업자인 서부경전철주식회사가 방계회사이다. 이는 서부경전철주식회사도 [[두산건설]]이 최대주주이기 때문이다. [[2022년]] 하반기 현재 [[티머니]]와 [[한페이]]의 상호 호환을 방해하고 있는 기업이다. [[센스패스]]를 제외한 지역 기반 [[교통카드]] 업체들이 전국 호환형 카드를 내놓을 때에 맞춰 이미 원카드 올패스 인증을 [[2011년]] 4월에 출시할 때부터 받았던 [[한페이]]도 전국 호환이 개시될 예정이었으나, 이미 합의를 다 해 놓은 [[한국철도공사]],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인천교통공사]]와 달리 신분당선주식회사가 전산망 업그레이드 명목으로 [[한페이]]시스에 수 억 원을 요구하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신분당선뿐만 아니라 [[서울시메트로9호선]]같은 다른 민자 도시철도 사업자들도 마찬가지로 시스템 업그레이드 비용을 수 억원씩 요구하고 있다는 것. 그러나 [[한페이]]랑 같은 사양의 전국호환형 [[티머니]]와 전국호환형 [[캐시비]]는 신분당선에서 멀쩡하게 찍힌다는 것이다. 즉, [[한페이]] 호환을 위해 들어가는 하드웨어 교체 비용(SAM같은 칩)은 사실상 없으며, 호환을 위한 프로그래밍 작업에 억대의 돈이 들어간다는 말인데 물론 [[한페이]]시스는 이러한 신분당선의 요구를 거부했다. 똑같은 일이 [[원패스]]를 발행하는 [[유페이먼트]]에도 일어나고 있다.[* 대신 대구에서는 2014년 8월부터 전국호환 [[티머니]]와 [[캐시비]]가 다 먹히고 있다.] == 역대 대표이사 == * 초대 김태규 (2005~2008) * 2대 강명구 (2008) * 3대 김기문 (2008) * 4대 안종욱 (2008~2011) * 5대 정기환 (2011~2012) * 6대 민우영 (2012~2013) * 7대 김태규 (2013) * 8대 김완석 (2013~2014) * 9대 정재민 (2014~2015) * 10대 김진현 (2015~2016) * 11대 김재연 (2016~2018) * 12대 이성기 (2018~2019) * 13대 김토문 (2019~2020) * 14대 김호열 (2020~ ) == 운영 노선 ==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5]] [[신분당선|신분당선]] 1단계 구간[*수행업무]: [[강남역]] ↔ [[정자역]] == 소속 열차 ==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5]] [[신분당선|신분당선]] *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