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新羅三寶 }}} == 개요 == [[신라]] 왕실의 권위와 신성함을 상징하는 세 가지 보물을 가리킨다. [[삼국유사]]에 '한때 [[고구려]] 왕이 신라를 치려고 했지만 이 신라삼보가 있어 침범할 수 없음을 깨닫고 모략을 중지했다'고도 적혀 있다. [[중국]] [[주나라]]의 전설의 도구 [[구정]](九鼎)에 빗대기도 했다. 하늘에서 신라 왕실에 내려줬는지는 둘째치더라도, 실제로 당시에 신라삼보라 불리는 세 가지 물건이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오늘날까지 전해졌다면 당연히 국보급 문화재지만, 셋 모두 현존하지는 않는다. 신라삼보는 적어도 신라가 망하고 [[고려]]가 건국된 뒤에도 한동안은 존재했지만 [[여요전쟁]], [[여몽전쟁]] 등을 거치면서 오늘날까지 전해지지 못하고 소실됐다.셋 중 천사옥대는 왕건이 창고에 보관한 게 마지막 기록이고[* 다만 야사에 따르면 조선시대까지도 보관되었다고 한다.], 목탑은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소실됐고 장육존상은 [[동경잡기]]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시대인 [[17세기]]까지는 남아있었지만 이후에 사라졌다. 고대 국가의 신성한 세 가지 보물이라는 점에서 일본 [[천황]]가의 3대 보물인 [[미쿠사노카무다카라]]([[삼종신기]])와도 비슷한 맥락이 있다. [[삼기팔괴]](三奇八怪)라는 것도 있는데 이건 신라삼보보다는 훨씬 나중에 만들어진 것 같다.[* 요즘 지자체가 관광용으로 만들어내는 전국의 xx8경 같은 것보단 역사가 나름 깊다. [[일제강점기]] 신문기사에도 나온다.] [[경주시]]가 삼보삼기팔괴를 관광 마케팅에 쓰고 있다. --그런데 삼보와 삼기는 현존하지 않는다--[* [[분황사 모전석탑 출토 수정화주|삼기 중 화주는 현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 목록 == 신라시대의 전설의 도구로는 [[금척]]이나 [[만파식적]]도 있지만 삼보에는 포함되지 않는데 이 신라삼보는 [[삼국통일]] 직전 시대에 성립됐고 금척은 훨씬 이전 시대, 만파식적은 그 이후에 등장한 물건이기 때문인 듯. 만파식적 또한 삼보에 버금가는 보물 대우를 받았던 것은 맞다. === [[천사옥대]](天賜玉帶) === [[신라]] 상대 [[진평왕]]이 즉위년에 [[옥황상제]]가 내려보낸 [[선녀]]에게서 받은 신성한 옥대([[허리띠]])다. 자세한 것은 천사옥대 문서 참조. === [[황룡사 9층 목탑]](皇龍寺九層木塔) === 경주 [[황룡사]]에 있었던 높이 81m의 거대 [[목탑]]. 몇 번 훼손과 복원을 거치다가 [[여몽전쟁]] 때 불타 사라졌다. 자세한 것은 황룡사 문서 참조. === 황룡사 장륙삼존불상(皇龍寺丈六三尊佛像) === 경주 [[황룡사]]에 모셔지던 거대한 불상들이다. 삼존불상의 높이는 장륙삼존불상이란 이름대로 1장 6척, 약 4~5m로 추정된다. 장륙삼존불상은 진흥왕 때인 574년 만들어졌다. 기록에 따르면 [[인도]]의 [[아육왕]][* [[마우리아 왕조]]의 [[아소카]] 왕을 말한다.]이 철 5만 7천 근과 금 3만 분으로 [[석가]]의 삼존불상을 만들다가 실패하자 혼자 힘으로는 안 될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금과 철, 그리고 삼존불상의 모형을 배에 실어 보냈다. [[메리 셀러스트호 사건|이 배가 바다를 떠돌아 다니다가]] 신라 땅에 닿게 되었으며, 신라 사람들이 이걸 가지고 삼존불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 삼존불상 중 장육존상은 금 10,198분·철 35,007근이, 두 협시보살상은 철 12,000근·금 10,136분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꽤 세세한 기록이 있고 이후 기록에서도 큰 불상이 계속 등장하기 때문에 이 때 신라에서 저 정도 양의 금속으로 큰 불상들을 만든 것은 사실인 것 같지만, 그걸 [[인도]]에서 보내왔다는 것은 믿기 힘들다. 결정적으로 아소카왕은 기원전 시대의 인물로 두 사건의 시간차는 '''대충 잡아도 800년 이상'''(…). 아마도 [[불교]]적인 정통성을 위한 픽션이었을 것이다. 이 불상들은 황룡사가 없어진 조선시대까지 남았다고 하나 구한말엽에는 이미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1976년 [[황룡사]]지 발굴 때 장육존상 머리의 [[나발]]이 4개 달린 파편으로 보이는 것이 발견되었다. 나발은 쉽게 말해 불상의 [[머리카락]]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불상의 머리카락을 자세히 보면 한 가닥씩 묘사한 게 아니라 [[소라(동물)|소라]] 모양으로 꼬여있는 게 수백 개 달려있는 모양인데 그걸 나발이라고 한다.] 장육존상이 [[크고 아름다운]] 불상이었던만큼 나발도 비례해서 상당히 큰데, 이것이 진짜 장육존상의 나발이 맞다면 신라삼보 중 유일하게 일부분이라도 현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발 파편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황룡사역사문화관에 출토 나발로 추정복원한 장육존상의 머리가 전시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황룡사 장륙삼존불상 불두 파편]] 항목을 참조. == 기타 == [include(틀:스포일러)] 2008년 방영된 [[무한도전]] 경주 보물찾기 특집 2편 마지막 미션에서 신라삼보가 언급되었다. >'''2007년 다시 태어난 신라 삼보 중 하나로 한 변의 길이가 사방 22.2m, 높이가 183척, 상륜부가 42척 합해서 225척이다.[br][br]천년의 과거와 소통하는 창으로 경주를 내려 비추는 빛을 찾아오시오.''' 모든 팀이 처음에는 신라삼보를 불국사, 석굴암, 나머지 하나로 생각했다. 정형돈-노홍철 팀은 가는 길에 주유소에 들러 직원에게 물어봤는데 그 직원이 거의 정답을 말했다.[* 직원: 되게 기네. 황룡사 9층 석탑(?)이네요. 그거는 터만 있고 엑스포 그거 보고 카는가, 새로 만들어 놓은 거... [[보문단지]] 안에 있는 거] 하지만 삼보에 집중하여 그 부분을 흘려듣고 갔다. 결국 정형돈이 석굴암 좌불상에 박혀 있는 보석을 생각하여 석굴암 행. 더군다나 전화를 걸어 작년에 석굴암이 복원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확신. 정준하-똘이 팀은 먹을 것에 정신이 팔려 빵집에 방문했는데 그 직원도 석굴암일 확률이 높다고 얘기했다. 이후 그 직원이 쫓아와서 잘못 알려줬다고 얘기했다. 하지만 제일 늦게 차(그것도 트럭)를 찾은 유재석-박명수 팀의 박명수가 --화를 내며-- 개그맨 후배에게 전화를 걸어 신라삼보를 알아내는데, 황룡사 9층 목탑을 제외하면 모두 생소한 이름이었다. 관광 안내도 앞에서 고민하다 문자로 정확한 신라삼보를 알아낸 뒤 --박명수는 또 화를 내며 후배에게 물어보는 와중에-- 유재석이 신문에서 봤다며 [[경주타워|정답]]을 맞춘다.[* 참고로 정답은 1편 방송 초반에 숙소 앞에 있어서 조금씩 보였다.] 2021년 8월 14일 시행된 국회직 9급 한국사 문제에서 등장. 보기에서 나라의 세 보물 중 천사옥대와 금동장육존상을 언급했고 나머지 하나를 건립한 왕의 재위 기간에 일어난 사건을 물어봤다. == 같이보기 == * [[3대 요소]] * [[삼기팔괴]] * [[신라삼최]] [[분류:경주시]][[분류:신라의 문화]][[분류:신라의 공예]][[분류:전설의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