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SG 랜더스/간략(코칭스태프))] || '''{{{#fff 신동훈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60번}}}''' || || [[김지용(1988)|김지용]][br](2011) || {{{+1 →}}} || '''신동훈[br](2012~2014)''' || {{{+1 →}}} || 조학진[br](2015)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34번}}}''' || || [[이우찬|이영재]][br](2014) || {{{+1 →}}} || '''신동훈[br](2015~2015.7.23.)''' || {{{+1 →}}} || [[여건욱]][br](2015.7.24.~2015)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49번}}}''' || || [[여건욱]][br](2013~2015.7.23.) || {{{+1 →}}} || '''신동훈[br](2015.7.24.~2015)''' || {{{+1 →}}} || [[허웅(1996)|허웅]][br](2016~2017)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12번}}}''' || || [[임치영]][br](2016~2017) || {{{+1 →}}} || '''신동훈[br](2018)''' || {{{+1 →}}} || [[정재원(1984)|정재원]][br](2019)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66번}}}''' || || [[윤희상]][br](2010~2018) || {{{+1 →}}} || '''신동훈[br](2019)''' || {{{+1 →}}} || [[윤희상]][br](2020)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6번}}}''' || || [[김사훈]][br](2019) || {{{+1 →}}} || '''신동훈[br](2020)''' || {{{+1 →}}} || [[우강훈]][br](2021)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번}}}''' || || || {{{+1 →}}} || '''신동훈[br](2024~)'''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ksports.net/20150916144800_1.jpg|width=100%]]}}} || ||<-2> '''SSG 랜더스 No.''' || ||<-2> '''{{{+2 신동훈}}}[br]申東勳 | Shin Donghun''' || ||<|2> '''출생''' ||[[1994년]] [[1월 24일]] ([age(1994-01-24)]세)||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수유초등학교|수유초]](구리리틀) - [[신일중학교(서울)|신일중]]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 || '''신체''' ||181cm, 88kg||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s-3|2012년 6라운드]] (전체 57번, [[LG 트윈스|LG]])|| || '''소속팀''' ||[[LG 트윈스]] (2012~2015)[br][[SK 와이번스]] (2015~2019)[br][[롯데 자이언츠]] (2020)|| || '''지도자''' ||[[SSG 랜더스/2군|SSG 랜더스 2군]] 스트렝스 코치 (2024~) || || '''병역''' ||[[사회복무요원]] (2016~2017)||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롯데 자이언츠]]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 시절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였으며 시속 140km 이상대의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커브를 주무기로 삼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311&aid=0000059794|유망주로 꼽혔다.]] 그리고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2012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전체 57순위로 LG의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 [[LG 트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382/2012/09/20/49533758.7_59_20120920071703.jpg|width=100%]]}}} || ==== 2012 시즌 ==== 4월 13일 상무전에 1타자를 상대로 삼진을 잡아냈다. 하지만 그는 '''전혀 엉뚱한 이유'''로 유명해지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etoday.co.kr/20120913071546_223008_550_564.jpg|width=100%]]}}} || 9월 4일 데뷔 후 처음으로 1군 엔트리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311&aid=0000148333|올랐고]], 9월 12일 SK전에서 처음으로 1군 경기에 나섰다. '''그런데 투수가 아니라 타자로.''' 9회말 2아웃 상황에서 [[정우람]]을 상대로 타석에 들어섰으나, 루킹삼진을 당하며 경기는 스코어 3:0으로 허무하게 끝나고 말았다. 문제가 되는 건 신동훈의 본래 포지션은 '''투수'''라는 것. 일단 [[김기태(1969)|김기태]] 감독의 지시로 타석에 들어서긴 했으나, 당연히 타자로서의 준비를 전혀 하지 않았던, 그리고 할 이유도 없었던 신동훈은 그저 타석에서 멀뚱멀뚱 서 있을 수밖에 없었다.[* 사진을 자세히 보면 배팅장갑을 끼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거기다 설령 맨손으로 타격을 하는 선수가 많지는 않지만 존재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손목에 시계를 차고 타석에 들어섰다는 것은…. 결정타로 팔꿈치랑 발에 보호대도 안 차고 있다.][* 그리고 7년 뒤 김기태 감독이 KIA로 간 이후 또다시 이와 똑같은 일을 벌이게 된다. [[KIA 타이거즈/2019년/3~4월#s-3.1|이 문서]] 참조.] '''때문에 김기태 감독은 한 선수의 평생 기억에 남을 1군 데뷔전을 본인의 화풀이의 희생양으로 삼았다며 욕을 엄청나게 먹었다. 특히 [[914 대첩]]에서 데뷔전을 동점 홈런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황정립]]과 대비되면서 더 불쌍해졌다.''' 9월 19일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넥센전에서 스코어 2:7로 뒤지던 8회초 첫 '''등판'''을 했다. 그리고 2탈삼진을 잡으며 8회말을 꽁꽁 틀어막고 실질적인 진짜 데뷔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 2013 시즌 ==== 쭉 2군에만 머무르며 평균자책점 5.87 2승 3패 44피안타 21탈삼진 24볼넷 26실점 WHIP 1.64를 기록했다. ==== 2014 시즌 ==== 2군에서 좋은 성적을 보여 5월 3일 1군으로 콜업되었고, 바로 이날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의 3차전에서 팀이 스코어 6:1로 지고 있는 7회초 2사 3루에서 [[유원상]]에 이어 3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2⅓이닝 37투구수 2피안타 1몸에 맞는 볼 2실점 1자책점을 기록했고 팀은 스코어 8:3으로 졌다. 5월 6일에 [[이상열(야구)|이상열]]과 함께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가 7월 27일자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됐다. 7월 28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의 11차전에서 팀이 스코어 3:0으로 지던 7회초 2사 상황에서 [[선발 투수]]인 [[신정락]]에 이어 등판하여 시즌 3번째 경기를 치렀다. 이날 신동훈은 4타자를 상대하여 1⅓이닝 25투구수 무피안타 2볼넷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고, 팀이 7회말에 5점을 뽑아 스코어 3:5로 이겨서 데뷔 첫승을 기록했다. 경기가 끝난 후 인터뷰에서 "첫 승을 했지만 [[정의윤|의윤이 형]][* 스코어 3:2인 7회말 2사 1, 2루 상황에서 [[김성배]]를 상대로 결승 쓰리런 홈런을 쳤다.]이 연봉도 더 높으니까 맛있는 것은 형이 사줬으면 좋겠다."며 입담을 과시했다. 7월 30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와의 10차전에서 팀이 스코어 6:5로 앞선 2회말 무사 1루 상황에서 선발 투수인 [[류제국]]에 이어 등판하여 시즌 4번째 경기를 치렀다. 첫 타자이자 2번타자인 [[박해민]]을 우익수 플라이로 아웃시켰지만 1루주자 [[야마이코 나바로]]가 태그업하는 바람에 1사 2루가 되었고, 3번타자 [[채태인]]에게 1타점 적시타를 맞아 동점을 허용하고 말았다. 그래도 4번타자 [[박석민]]을 3구삼진, 5번타자 [[이승엽]]을 우익수 플라이로 아웃시키고 [[분식회계(야구)|분식회계]]에 성공했다. 비록 [[분식회계(야구)|분식회계]]를 했지만 신동훈은 이날 수비의 도움을 받으며 14타자를 상대하여 4이닝 65투구수 3피안타 1볼넷 1탈삼진 무실점으로 제 몫 이상의 투구를 했고, 스코어 6:6인 6회말에 [[유원상]]으로 교체됐다. 팀은 스코어 8:9로 재재역전패당했다. 7월 31일자로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가 8월 13일자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됐다. 그리고 8월 20일자로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가 9월 10일자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됐다. 그리고 9월 13일자로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시즌 최종 성적은 3경기 4⅓이닝 평균자책점 2.08 1승. ==== 2015 시즌 ==== 7월 하순까지 1군에는 오르지 못했고 [[퓨처스 리그]]에서는 9경기에 등판해 2패, [[평균자책점]] 10.71을 기록하였다. 이후 팔꿈치 부상으로 인해 7월 9일에 [[토미 존 수술]]을 받았고, 7월 13일에는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아 사실상 잔여 시즌 동안 재활군에 머무르게 되었다. === [[SK 와이번스]] === 7월 24일 3:3 [[트레이드]]로 [[신재웅]], [[정의윤]]과 함께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 이 때, 트레이드 사실을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59&aid=0000000111|친구를 통해 들었다고 한다.]] 친구를 통해 이적 소식을 들은 그는 [[SK 퓨처스파크|SK 2군 구장]]이 있는 강화도에 가면 실감날 거 같다고 말했다. 2015 시즌 후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했다. ==== 2018 시즌 ==== 시즌을 앞두고 소집해제하며 SK로 돌아왔다. 2018년 [[SK 와이번스 2군]]의 마무리 후보 [[http://www.osen.co.kr/article/G1110790687|3명 중 한 명이라고 한다.]][* 나머지 두 명은 [[박종욱]]과 [[김정우(야구선수)|김정우]].] 1군에 오르지는 못했으나 2군의 실질적인 마무리로 활약하며 27경기에서 25⅓이닝을 던지며 평균자책점 4.62 4세이브 1홀드 피안타율 0.263. 시즌 종료 후 가고시마 마무리캠프에 참가했다. ==== 2019 시즌 ====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1차 스프링캠프에 참가했으나 오키나와에서 열리는 2차 캠프 명단에서는 제외되었다. 4월 20일 이후 2군 등판이 없다가 8월 11일 [[LG 트윈스 2군]]전에 복귀해 홀드를 기록했다. 2군에서 총 6경기에 등판해 11⅓이닝을 소화하며 평균자책점 3.18 1패 2홀드 11피안타 7볼넷 7탈삼진 5실점을 기록했다. 시즌 후 방출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SK를 떠나게 되었다. === [[롯데 자이언츠]] === [[파일:롯데 신동훈.png|width=400]] 방출 후인 11월 25일, [[롯데 자이언츠]]가 신동훈을 영입하면서 프로 생활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220183&redirect=true|기사]] 1군 등판 없이 10월 8일 [[웨이버 공시]]되었다. 연초에 부친상을 당한 뒤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어했고 이게 성적 부진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 지도자 경력 == 이후 소식이 없다가 2024년 [[SSG 랜더스]]의 2군 스트렝스 코치로 영입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투수)}}}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12 ||<|3> [[LG 트윈스|LG]] || 3 || 4 || 0 || 0 || 0 || 0 || 2.25 || 169.8 || 2.35 || 1 || 0 || 3 || 6 || 0.75 || 0.13 || || 2013 ||<-15> 1군 기록 없음 || || 2014 || 5 || 10⅓ || 1 || 0 || 0 || 0 || 3.48 || 142.1 || 5.40 || 10 || 0 || 8 || 4 || 1.45 || 0.21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15 || [[LG 트윈스|LG]] / [[SK 와이번스|SK]] ||<-15> 1군 기록 없음 || || 2016 ||<|4> [[SK 와이번스|SK]] ||<-15><|2> 군 복무([[사회복무요원]]) || || 2017 || || 2018 ||<-15><|2> 1군 기록 없음 || || 2019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20 || [[롯데 자이언츠|롯데]]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2시즌) || 8 || 14⅓ || 1 || 0 || 0 || 0 || 3.14 || 139.1 || 4.55 || 11 || 0 || 11 || 10 || 1.26 || 0.33 || ||<-16> {{{#ffffff 역대 기록 (타자)}}}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삼진 || 사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2012 || [[LG 트윈스|LG]] || 1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00 || .000 || ||<-2> '''[[KBO 리그|KBO]] 통산'''(1시즌) || 1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00 || .000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코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2020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수유초등학교 출신]][[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