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정평군 출신 인물]][[분류:1919년 출생]][[분류:2002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파일:신대걸.jpg|width=300px]] || || 성명 ||신대걸(申大杰) || || 생몰 ||[[1919년]] [[1월 9일]] ~ [[2002년]] [[9월 5일]] || || [[출생지]] ||[[함경남도]] [[정평군]] 장원면 용흥리 || || 사망지 ||[[서울특별시]] [[보훈병원]] || || 매장지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신대걸은 1919년 1월 9일 함경남도 정평군 장원면 용흥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40년경에 일본 나라 정강중학교에 입학한 후 일본인 학생들에게 한국독립의 당위성과 한국독립운동에 성원해줄 것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학생 조직을 결성해 독립운동을 펼쳤으나 1943년 3월 졸업식 날 일제 경찰에게 체포된 뒤 1944년 8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나라소년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45년 [[8.15 광복]] 직후 출옥했다. 이후 귀국한 그는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5기로 졸업하고, [[6.25 전쟁]]에서 장교로 참전한 뒤 1959년 중령으로 예편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으로부터 부름을 받았지만 군인은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는 뜻을 고수하며 거부했다. 이후 서울에서 조용히 지내다 2002년 9월 5일에 서울 [[보훈병원]]에서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6년 신대걸에게 대통령표창을 수여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그리고 2002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