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신관(동음이의어))] [목차] == 개요 == '''신관'''('''[[神]][[官]]''')은 [[신]]을 모시거나 [[신탁]]을 사람들한테 알리는 직업을 말한다. 우리말로는 [[차차웅]]이라고 한다. 신라의 그 차차웅이 맞다. 비슷한 직업으로 [[성직자]]가 있지만 신관은 정의상 성직자와 다른 개념이다. 벼슬 官자가 나타내듯이 신관은 관직, 혹은 공적인 직업으로서의 입장이 강조되는 것이고, 성직자는 특정 교단에서 자격을 받은 종교인이다. 쉽게 말하자면 신관은 종교 분야에 종사하는 국가공무원, 성직자는 사설 단체의 자격증 소지자라고 할 수 있다. 영어 'pontiff'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고대 [[로마 제국]]의 국가 사제를 의미하던 'pontifex'. 신관과 성직자(사제)는 둘 다 종교와 관련된 직업이기에 여러모로 비슷한 느낌이 나는지라, 서브컬쳐에선 신관과 사제의 용어를 혼동해서 사용하는 [[설정충돌]]이 매우 잦은 편이다. 하지만 '''신관과 성직자(사제)는 둘 다 엄연히 별개의 직업이다.''' 실제로 이 개념이 처음 생긴 로마에서도 [[플라멘]](사제)은 성직자 개념으로 보아 살상이 수반되는 군복무, 군복무에 수반되는 승마가 금지되어 있어 군 경력이 필수적인 '명예로운 경력'에 나가는 것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있었고, 폰티펙스(신관)은 관직 개념으로 보아 민회에서 투표로 선출되었으며, 군복무, 승마, '명예로운 경력' 진출에 아무 제한이 없었다. 신관이라는 직업이 있으려면 [[국교]]가 존재하거나, 혹은 그에 준하는 중앙권력기구의 공인이 있어야 한다. 반대로 조직화된 교단이 없는 [[무당]]과 같은 경우도 국가의 인정이 있다면 신관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삼한에 존재했던 소도(蘇途)를 떠올려보면 된다. 물론 이 두 가지는 병존 가능한 개념으로, 현대에도 존재하는 쉬운 예를 들자면 [[로마 교황]]은 [[가톨릭]]이라는 종교의 최고 성직자이며 동시에 [[바티칸]]이라는 실체화된 국가의 최고 신관([[폰티펙스 막시무스]])이다. 반면, 제정분리 원칙이 자리잡은 현대 세속국가의 성직자는 종교 집회를 주관하는 전문가이기는 하지만, 보통은 국가가 그 성직자에게 종교 의례를 주관하는 관직을 주지 않기 때문에 신관이라 부를 수는 없다. [[로마 교황]]을 제외하고 현대에 존재하는 신관에는 [[상좌부 불교]]의 [[승왕]]이나 [[일본]]의 [[천황]] 등이 있다. 본 문서에는 서양 개념 '폰티펙스'(Pontifex)의 번역어로서의 신관과 일반 한자(漢字) 조어로서의 신관, 일본 [[신토]]에서의 신관이 섞여있으므로 유의 바람. 밀접한 공통점이 있지만 엠페러(Emperor)와 황제(皇帝)가 다르듯 상세한 범 문화적 이해를 요구하는 까다로운 단어다. == 역사 == 종교가 발생한 고대 시대에서부터 존재하였으며 신의 권위를 빌어 예언을 알리는 등의 역할을 했다. 신의 은총을 향한 민중으로부터의 경외감은, 곧 종교가 왕에 필적할 만큼의 세속화된 권력을 누리게 되는 근원이 된다. 이러한 종교권력은 종종 [[제정일치]]화되는데, [[유대 왕국]]이나 [[부여]]의 왕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총 책임자였고, [[로마 공화국]] 당시 별도의 직책이던 [[폰티펙스 막시무스]]는 [[로마 제국]] 성립 이후 [[로마 황제]] 칭호 중의 하나로 흡수된 것이 그 예. [[서로마 제국]]의 후신을 칭한 [[신성 로마 제국]]에서 역대 황제들이 [[가톨릭]]의 수호자 칭호를 쓴 것 또한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게 아니면 세속권력과 끊임없는 타협과 투쟁을 낳게 되는데, 한 예로 중세 [[유럽]]을 스펙타클하게 만드는 일련의 사건들이 바로 이 왕권과 신권의 대립이다. 세계사 시간을 흥미롭게 만드는 [[신성 로마 제국]], [[십자군 원정]], [[카노사의 굴욕]], [[아비뇽 유수]]가 대표적. == 신관을 지낸 인물 == * [[구로다 사야코]] - [[나루히토]] 덴노의 여동생. [[이세 신궁]]의 신관. 2012년부터 보조신관으로서 넷째 고모 [[이케다 아츠코]]를 도왔고, 2017년 6월부터 고모의 뒤를 이어 신관이 되었다. * 기타시라카와 후사코(北白川房子) - [[메이지 덴노]]와 측실 [[소노 사치코]]의 7녀. [[이세 신궁]] 신관. 패전 후 [[신적강하]][* 1947년부터 [[다이쇼 덴노]]의 직계 자손들을 제외한 모든 방계 황족들과 [[화족]]들이 평민으로 전락함.]로 황족의 지위를 잃었다. 게다가 후사코의 손녀 [[기타시라카와 하츠코]]는 평민 [[미치코 상황후|쇼다 미치코]]에게 밀려 [[황태자비]]에서 탈락했다. 그래서 1959년 [[아키히토]] 황태자와 미치코가 결혼식 전 [[이세 신궁]]에 참배하러 왔을 때, 후사코는 미치코를 홀대했다고 한다. * [[다카쓰카사 가즈코]] - [[쇼와 덴노]]와 [[고준 황후]]의 3녀.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다 사별한 후 친정으로 돌아와 살며 [[이세 신궁]] 신관을 지냈고, 건강 악화로 1988년 퇴임한 후 이듬해 죽었다. * 센게 구니마로(千家國麿) - [[나루히토]] 덴노의 6촌 여동생인 [[센게 노리코]]의 남편. [[고쿠가쿠인대학]] 신도학과를 졸업하고 [[이즈모타이샤]] 신사의 신관이 되었다. 1973년생으로, 1988년생인 노리코보다 15살 연상이다. * [[이케다 아츠코]] - [[쇼와 덴노]]와 [[고준 황후]]의 4녀. 언니 [[다카쓰카사 가즈코]]의 뒤를 이어 1988년부터 2017년까지 [[이세 신궁]] 신관을 지냈다. 고령으로 쇠약해져, 보조신관으로 일하던 조카 [[구로다 사야코]]에게 2017년 6월 신관직을 이임하고 은퇴했다. == 창작물 == 왠지 모르게 무능하거나 [[흑막]]인 경우가 많아 안 좋은 대접을 받고 있다. [[300(영화)|300]]이라든가... 성기사를 대신하는 단어로 신관전사라는 말을 쓰기도 하는데, 위의 설명처럼 의미가 딱 일치하지는 않는다. [[군종장교]]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 신관이 직업인 캐릭터 ===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BLACK]] - [[고르곰 삼신관]] * [[강철전기 C21]]과 [[코즈믹 브레이크]] - [[3신관]], [[블링크(사이버스텝)|블링크]] * [[고블린 슬레이어]] - [[여신관]], [[검의 처녀]] * [[권왕전생]] - [[마켈린 포트 해머라인]], [[엘린(권왕전생)|엘린]], [[실란 필 마르시스]] * [[나 혼자 소드 마스터]] - [[셰라(나 혼자 소드 마스터)|셰라]] ,[[라시드 앗 딘 시난(나 혼자 소드 마스터)|검은]] * [[누구나 할 수 있는 몰래 돕는 마왕토벌]] - [[아레스 크라운]], [[아멜리아 노먼]], [[그레고리오 레긴즈]] * [[루나 이터널 블루]] - 론파, 마우리 * [[다크 소울 3]] - [[법왕 설리번]] * [[더 크리처]] - [[나이젤 렉슬러]] * [[디지몬 시리즈]] - [[홀리엔젤몬]], [[마왕몬]][* 신관 모드가 있다.] * [[드래곤 퀘스트2]] - [[하곤]] * [[드래곤 퀘스트4]] - [[크리프트]] * [[드래곤 퀘스트7]] - [[포즈]] * [[드루아가의 탑 The Animation]] - 카야 * [[로도스도 전기]] - [[에토(로도스도 전기)|에토]], [[레일리아]] * [[마기(만화)|마기]] - [[쥬다르]], [[세헤라자드]], [[티토스 알렉키우스]]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 [[후쿠자와 미키]]의 조상. 미키의 결혼 전 성씨는 호리베(祝部)였는데, 조상이 신관이었기에 붙여진 성씨이다. 이름 '미키(みき)'는 [[히라가나]]로 쓰지만, '오미키(お神酒)'에서 유래했다.[* [[오가사와라 사야코]]가 [[릴리안 여학원]] 고등부 3학년 때, [[호리베 미키]]라는 발음만 듣고서 추론해낸 것들.] * [[마법진 구루구루]] - 쥬지 *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 - 영원히 타오르는 불사조의 탑 * [[마비노기 영웅전]] - 신관 레이지[* ...좀 그렇지만 신관은 신관이다. ~~엘쿨루스라도 섬기나 보지~~] * [[망겜의 힐러]] - 서윤등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 [[히노 신관]] * [[메이플스토리]] - [[아카이럼]] * [[밤마다 남편이 바뀐다]] - [[밤마다 남편이 바뀐다/등장인물#s-3.1|엘리후]] * [[별을 품은 소드마스터]] - 안드레아 * [[부패의 사제]] - [[마르낙]], [[프리디야]] * [[새벽의 연화]] - 익수, [[제노(새벽의 연화)]][* 다만 제노는 오래전에 신관직을 그만 두었다.] * [[성검전설3]] - 샤를로트, 히스(타락한 성자), 빛의 사제, 가면의 도사(어둠의 사제 벨가) * [[슈퍼전대 시리즈]]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 [[마도신관 메미]]=【전】('천공성자 라이젤') * [[굉굉전대 보우켄저]] - [[대신관 가쟈]] * [[수전전대 쿄류저]] - [[백면신관 카오스]] * [[스타크래프트 2]] - '''[[아르타니스]]'''[* 신관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 댈람의 최고회의격인 신관회의 최고위자를 뜻하는 명칭이다. 원문도 Hierarch. 프로토스 자체가 젤나가를 신 취급하며 모시긴 한다만 이쪽은 신을 모시는 지위라기보단 총사령관이나 통수권자의 느낌이 강하다. 현대로 치면 연방 대통령이나 다름 없는 직위 실제로 hierarch라는 단어에는 '고관', '유력자'라는 뜻도 있으며, '신관회' 로 번역되는 hierarchy에도 ‘(큰 조직의)지배층(고위층)’이라는 뜻이 있고 예전 왕국이나 제국의 관료제를 가리킬 때 많이 쓰인다. 즉 결과적으로 볼 때 논란성이 짙은 의역이다. 그래도 프로토스 자체가 사회 전반적으로 종교적인 색채가 굉장이 짙은 종족인 탓에 어떻게 오역임에도 아예 납득이 가지 않는 번역은 또 아니다. 참고로 중국어는 종교적 색채가 더 심해서 [[대주교|大主敎]]로 번역해 놓았다(...)] * [[슬레이어즈]] - [[제로스]], [[랄타크]], [[바르가브]][* TRY 애니 한정] * [[세븐나이츠]] - [[플라튼]] * [[신과함께 돌아온 기사왕님]] - 레온 드라고니아 라이온하트 등 신관 캐릭터. * [[신드로이아 연대기]] - [[로안#박건작가%20세계관의%20등장인물]], [[밀레이온]], [[아돌(D.I.O)|아돌]], 화이트등 * [[아침을 지나 밤으로]] - [[로기]], [[솔라]] * [[아카데미에서 살아남기]] - [[클라리스(아카데미에서 살아남기)]] * [[아카데미 플레이어를 죽였다]] - 에스텔 하닷사 엘 라스, 화란 * [[아크 더 래드 시리즈]] - 크크루 릴 와이트, 피니아 알 와이트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인덱스 라이브로룸 프로히비토룸|인덱스]]를 비롯한 [[네세사리우스]], [[로마 정교]], [[크란스 R. 차르스키]]를 비롯한 러시아 성교도등 * [[원피스(만화)|원피스]] - [[사토리]], [[슈라]], [[게다츠]], [[오움]] * [[용사파티 버림받은 사제]] - [[카일(용사파티 버림받은 사제)|카일]]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라오와 여섯 신관|여섯 신관]] * [[이계 검왕 생존기]] - [[레온하트 카텔 프렐시스]] * [[이계진입 리로디드]] - [[카렌 이나시우스]]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 [[세실리(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세실리]]등 [[아쿠시즈교]], 에리스교도 *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 - [[루마키나 우에스에리아]] * [[이터널 판타지]] - 에우렛타 * [[엘소드]] - [[아인체이스 이스마엘 |아인]] * [[영원한 7일의 도시]] - [[세츠(영원한 7일의 도시)|세츠]], [[그레이무]], [[이스카리오]] * [[은여우(만화)|은여우]] - [[사에키 타츠오]], --[[타카미 요시토모]]--[* 작중 시점에서는 신관을 그만 뒀다.], [[쿠류 테루마사]], [[사에키 타케미츠]] * [[장송의 프리렌]] - [[하이터]], [[자인(장송의 프리렌)|자인]] * [[재와 환상의 그림갈]] - [[마나토]], [[메리(재와 환상의 그림갈)|메리]] * [[제로의 사역마]] - [[쥴리오 체자레]] * [[중세 판타지 속 망나니 경비조장]] - 브라이튼, 조안나 * [[카르세아린]] - 피트 밀로드, [[베라 카스나인]] * [[쿠베라]] - [[브릴리스 루인]], [[테오 라칸]], [[시에라 시에스]], [[클로드 유이]], [[라일라 헤마와티]], 후안 사이로페, [[사하 온]], [[루츠 사이로페]], [[미르하 시몬]], 우르하 시몬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모카가오리맛 쿠키]] * [[테일즈 오브 데스티니2]] - [[엘레인]], [[단탈리온]] * [[택틱스 오우거]] - 몰바 포리나(대신관 몰바) * [[퇴마록]] - [[박윤규]] * [[파이널 판타지 6]] - 바난 * [[파이어 엠블렘 성마의 광석]] - 몰다 * [[파이어 엠블렘 Echoes 또 하나의 영웅왕]] - 세리카 * [[판타지 수학대전]] - [[리샤(판타지 수학대전)|크리시아]], [[카림 알후프]] * [[페어리 테일(만화)|페어리 테일]] - 알록 * [[하렘의 남자들]] - 자이신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신관 * [[하이스쿨 D×D]] - [[아시아 아르젠토(하이스쿨 D×D)|아시아]], [[시도 이리나]], [[제노비아(하이스쿨 D×D)|제노비아]], [[듈리오 제수알도]], [[바스코 스트라다]], [[그리젤다 쿠아르타]], [[미리나 샤타로바]], [[시도 토우지]], [[테오드로 레그렌치]] * [[환상수호전 티어크라이스]] - 잉드릭, 지빗카, 남나 * [[회귀자와 맹인 성녀]] - [[르네(회귀자와 맹인 성녀)|르네]] * [[Sdorica]] - [[디비어스 루이스 마르코]][* 정확히는 대신관이라고 칭한다.] * [[TYPE-MOON/세계관]] - [[성당교회(TYPE-MOON/세계관)|성당교회]], [[잔 다르크(Fate 시리즈)|잔 다르크]], [[아마쿠사 시로(Fate 시리즈)|아마쿠사 시로]], [[마르타(Fate 시리즈)|마르타]] * [[零 ~제로~]] - [[히무로 가의 신관]] [[분류:종교인]][[분류: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