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 신과함께-인과 연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김용화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include(틀:천만 관객 돌파 영화)] }}} || [include(틀:신과함께(영화))] ||<-2>
{{{+1 '''신과함께-인과 연 '''}}} (2018)[br]Along with the Gods: The Last 49 Day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과연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판타지(장르)|판타지]], [[드라마]], [[액션]], [[모험물|어드벤처]], [[느와르]], [[디스토피아]], [[사회고발물|사회고발]] || || '''감독''' ||<|2>[[김용화]] || || '''각본''' || || '''원작''' ||[[주호민]] || || '''제작''' ||최지선 || || '''촬영''' ||김병서 || || '''조명''' ||신경만 || || '''음악''' ||방준석 || || '''출연''' ||[[하정우]], [[주지훈]], [[김향기]], [[마동석]], [[김동욱(배우)|김동욱]] 외 || ||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리얼라이즈 픽쳐스, [[덱스터 스튜디오]]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롯데엔터테인먼트]][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Well Go USA|웰 고 유에스에이 엔터테인먼트]] || ||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Well Go USA|웰 고 유에스에이 엔터테인먼트]] || ||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50]]]] [[https://www.netflix.com/title/81017092|▶]]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50]]]]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14736|▶]] |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50]]]]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CI01_LE0000011223|▶]]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50]]]] [[https://watcha.com/watch/mOVvDjg|▶]] | [[쿠팡 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90]]]] [[https://www.coupangplay.com/titles/5c0643f1-fae3-4cf3-9dfd-46ba8c2bb51e|▶]] || || '''제작 기간''' ||[[2016년]] [[5월 26일]] ~ [[2017년]] [[3월 22일]] || || '''제작비''' ||순 제작비 350억 원(전편 합산)[br]총 제작비 400억 원(전편 합산)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18년]] [[8월 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21년]] [[1월 21일]][*재개봉] || || '''상영 시간''' ||141분 (2시간 21분 20초) || || '''화면비''' ||2:35:1 || || '''개봉 포맷'''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width=20]]]] ^^4K DCP^^ [br] [[4DX|[[파일:4DX 로고 (3).svg|height=15.5px]]]] [br] [[IMAX|[[파일:IMAX 로고.svg|height=15.5px]]]] [br] [[Dolby Atmos|[[파일:Dolby Atmos 로고.svg|height=19.5px]]]] || || '''월드 박스오피스''' ||'''$93,453,434''' ([[2018년]] [[8월 30일]] [[https://www.the-numbers.com/movie/Singwa-Hamgge-Ingwa-Yeon-(South-Korea)-(2018)#tab=summary|기준]]) || || '''북미 박스오피스''' ||'''$1,200,246''' ([[2018년]] [[8월 30일]] 기준) || || '''총 관객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12,275,843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상영 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e5e5e5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천 년의 비밀이 밝혀진다.''' [[주호민]] 작가의 [[웹툰]] [[신과함께]]를 영화화한 작품. 죄와 벌이 저승 편을 각색했다면 인과 연은 원작의 저승 편과 이승 편 그리고 신화 편이 모두 섞여있는 느낌이 강하다.[* 수홍의 재판은 원작의 저승편에 해당되고 성주신과의 대립은 원작의 이승편에 해당되고 삼차사의 과거를 다루는 부분은 원작의 신화편에 해당된다.] 주 내용은 수홍의 재판과 가택신과의 대립 그리고 삼차사의 과거를 다룬다. ==# 개봉 전 정보 #== 영화 전체의 개봉 전 정보는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 문서 참조. * 본편에서는 저승 삼차사의 과거, 저승에서 벌어지는 [[강림도령(신과함께)/영화|강림도령]]과 김수홍의 이야기[* 김수홍의 재판은 영화 오리지널로, 원작에서 유성연의 재판은 나오지 않았다.]와 이승에서 벌어지는 성주신과 [[해원맥(신과함께)/영화|해원맥]]&[[이덕춘(신과함께)/영화|덕춘]]의 이야기로 다룰 예정이다.[* 읽다보면 알겠지만 원작의 시즌들을 하나씩 묶어있다.] 또한 신파의 끝을 보여주었던 1편과는 다르게 드라마틱한 재미에 초점이 맞출 예정이다. 물론 신파 부분은 여전히 등장한다고 한다. [* 원작도 1부보다 2부에 신파 요소가 더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더구나 이승편은 전반적으로 저승 편보다 평이 좋지 않고, 극단적으로 신과함께의 전체적인 퀄리티를 까먹다는 평까지 존재한다.] * 전편에 출연한 배우들 대부분 본편 에서도 출연한다. 더불어 배우 [[성동일]], [[마동석]]의 등장이 확정되었다.[* 마동석은 굳이 주인공이 아니더라도 존재감 하나만은 엄청날 것으로 보인다. 원동연 대표의 말에 따르면, 신과 함께 2부에서 마동석이 큰 웃음 포인트라고 한다.] 대신 전작의 주인공 [[김자홍(신과함께)/영화|김자홍]]역을 맡았던 [[차태현]]은 미등장.[* 이미 환생 되었으니 당연한 결과다. 차태현도 1편만 출연한다고 언급되었고. 다만, 김자홍이 김수홍의 형인 만큼 작중에 언급되거나 환생된 아이가 등장할 가능성도 거론 되었었으나 결국 일절 등장하지 않았다.] * 가택신들은 성주신만 등장하며 지옥은 나태 지옥이 빠지면서 세 곳의 지옥[* 원작의 풍도지옥, 흑암지옥, 철상지옥]이 확장 개편되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나오지 않았다.(..)] 전편에 잠시 등장한 불의지옥도 비중있게 나올 예정이라고 한다.[* 전편에서 지옥은 7번의 재판을 거쳐야 한다고 했으므로 나태지옥 이 외의 두 개의 지옥도 추가로 빠질 것으로 보인다.] * 배우 [[오달수]]의 성추행 의혹 사건으로 인하여 개봉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물론 배우의 분량은 전편보단 적지만 하필 판관역을 맡은지라 김수홍의 재판에 대부분 출연하고 있다.^^[[http://magazine2.movie.daum.net/movie/48309|#1]]^^ 뒤 이어 배우 [[최일화]] 역시 조연으로 출연할 예정이었으나 결국 둘 다 영화에서 강판되었고 모든 분량이 통편집된 동시에 대체배우로 재촬영을 하기로 결정되었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1020929&cluid=c_201803011340_00000020|#2]][[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282028|#3]]^^ 비용은 10억 원 이상 추가 투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행이도 죄와 벌 편에서 이미 전편까지의 제작비를 모두 회수하고도 남는 흥행 성적을 거뒀기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http://star.mt.co.kr/stview.php?no=2018032813301852039|관련 기사]]^^ --이번에는 [[오달수|배우]] [[최일화|2명]]을 [[주호민#s-7.1|파괴했다]]-- * 2018년 [[6월 5일]],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일반 영화 화면 규격과 화질로 촬영했으나, [[IMAX]] 컨버팅을 거쳐 국내에서 IMAX로 상영될 예정이다. [[IMAX]]사 [[https://www.imax.com/ko/movies|홈페이지]]는 미국 위주로 내용이 돌아가서 아직 신과 함께에 대한 언급은 없다. [[4DX]]와 [[돌비 애트모스]]로도 상영된다.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으로는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이상 [[2018년]] [[8월 1일]]), [[논스톱: 다마스커스 타겟]], [[더 스퀘어]], [[할로우 차일드]], [[아큐페이션]], [[주피터스 문]], [[킥복서 더 레전드]], [[우드 쇼크]](이상 [[2018년]] [[8월 2일]])까지 9편이다. 직전 주에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인랑(영화)|인랑]], [[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 등 무려 16편이 개봉한 것에 비하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이 영화가 [[IMAX]]로 개봉함에 따라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의 IMAX판은 [[스크린 쿼터제]]를 명분으로 1주일만 상영될 예정이다. IMAX 직전작인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도 [[롯데엔터테인먼트]] 배급작이라 롯데 입장에서는 큰 차이는 없다. == 포스터 == ||
[[파일:신과함께-인과 연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파일:신과함께-인과 연 메인 포스터 2.jpg|width=100%]] || || {{{#ffffff '''▲ 티저 포스터'''}}} || {{{#ffffff '''▲ 2차 메인 포스터'''}}} || == 예고편 == ||
[youtube(53f99njhgB8)] || || {{{#ffffff '''▲ 티저 예고편'''}}} || ||
[youtube(fl5IJUnjicc)] || || {{{#ffffff '''▲ 캐릭터 영상'''}}} || ||
[youtube(amXcMw8cJZk)] || || {{{#ffffff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천 년 동안 48명의 망자를 환생시킨 저승 삼차사, 한 명만 더 환생시키면 그들도 새로운 삶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강림(하정우)은 원귀였던 수홍(김동욱)을 자신들의 마지막 귀인으로 정하는 이해할 수 없는 선택을 한다. 저승법상 원귀는 소멸되어야 마땅하나 염라대왕(이정재)은 저승 삼차사에게 새로운 조건을 내걸며 강림의 제안을 수락한다. 염라의 조건은 성주신(마동석)이 버티고 있어 저승 차사들이 가는 족족 실패하는 허춘삼 노인을 수홍의 재판이 끝나기 전까지 저승으로 데려오는 것. 허춘삼을 데리러 이승으로 내려간 해원맥(주지훈)과 덕춘(김향기), 하지만 성주신의 막강한 힘 앞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기만 하던 중 우연히 그가 천 년 전 과거에 해원맥과 덕춘을 저승으로 데려간 저승 차사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스스로도 기억 못 하는 과거에 대한 호기심으로 해원맥과 덕춘은 성주신과 거래를 시작하는데… '''이승과 저승, 현재와 과거를 오가는 천 년의 비밀이 밝혀진다!''' || ==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등장인물|등장인물]] == ||
[[파일:인과연강림.jpg|width=100%]] || [[파일:인과연해원맥.jpg|width=100%]] || [[파일:인과연이덕춘.jpg|width=100%]] || || {{{#ffffff '''[[강림도령(신과함께)/영화|{{{#ffffff [ruby(강림도령, ruby=降臨道令)]}}}]]''' ([[하정우|{{{#ffffff 하정우}}}]], 아역: [[정유안|{{{#ffffff 정유안}}}]])}}} || {{{#ffffff '''[[해원맥(신과함께)/영화|{{{#ffffff 해원맥}}}]]''' ([[주지훈|{{{#ffffff 주지훈}}}]])}}} || {{{#ffffff '''[[이덕춘(신과함께)/영화|{{{#ffffff 이덕춘}}}]]''' ([[김향기|{{{#ffffff 김향기}}}]])}}} || || [[파일:이재판의주인공은내가아니었구나.jpg|width=100%]] || [[파일:성주단지.jpg|width=100%]] || [[파일:인과연염라.jpg|width=100%]] || || {{{#ffffff '''[[김수홍|{{{#ffffff 김수홍}}}]]''' ([[김동욱(배우)|{{{#ffffff 김동욱}}}]] 분)}}} || {{{#ffffff '''[[성주신(신과함께)/영화|{{{#ffffff [ruby(성주신, ruby=城主神)]}}}]]''' ([[마동석|{{{#ffffff 마동석}}}]] 분)}}} || {{{#ffffff '''[[염라대왕(신과함께)/영화|{{{#ffffff [ruby(염라대왕, ruby=閻羅大王)]}}}]]''' ([[이정재|{{{#ffffff 이정재}}}]] 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과함께(영화)/등장인물)] == [[신과함께-인과 연/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과함께-인과 연/줄거리)] == [[/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과함께-인과 연/평가)] == 흥행 == 상기하듯이 1편과 2편이 동시에 제작되었고 1편+2편을 합산한 [[손익분기점]] 1300만을 넘겨야만 했다. 하지만 '''이미 1편에서 관객수가 1400만이 넘겨서 제작비를 회수하게 되었다.''' 사실상 2편의 [[손익분기점]]은 의미가 없어지므로 2편의 '''관객수가 곧 수익'''이 된다. 극단적으로 관객이 0명이 나오더라도 [[흑자]]로 취급한다. 영화 개봉 5일차까지 하루에 100만 명 이상의 관객들을 쓸어담았다. 상영 시작부터 이미 흑자 단계인 영화이기 때문에 더욱 임팩트가 크다. 돈을 걸지 않고 받기만 하는 도박을 하고 있는 셈. 영화의 평가와 별개로, 흥행 면에서는 이미 충분히 성공한 상태다. 개봉 7일 차에 7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신과함께-죄와 벌|1편]]에서 1, 2편의 총 제작비 400억을 모두 회수하고도 수익을 내는 중이라 큰 의미는 없지만, 만약 따로따로 계산한다고 가정하면 대략 한 편당 손익분기점이 650만~700만 사이일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1편의 흥행을 생각하지 않더라도''' 2편의 제작당시 손익분기점을 넘어선 셈이다. 특히 위에서 설명됐듯이 이미 1편에서 2편의 제작비까지 다 회수했기에 770만이라는 흥행이 모두 수익으로 직결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개봉한지 14일째 '''[[천만 관객 돌파 영화|기어이 천만을 넘게 되었다.]]''' 출연 배우들 중에 [[이정재]], [[마동석]]이 4편, [[하정우]], [[장광]], [[김명곤]], [[이경영(1960)|이경영]],[[임원희]],가 3편, [[주지훈]], [[김향기]], [[김동욱(배우)|김동욱]], 정지훈, [[디오(EXO)|도경수]], [[이준혁]], [[정해균]], [[김민종]]이 2편, 나머지 배우들이 신과 함께 2탄으로 천만배우의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그리고 시리즈 누적 관객 '''2500만'''명 이상이 되었다. 대만, 홍콩, 베트남 등지에서 한국 영화의 기록을 다시 쓰고 있다. '''역대 2020년 3월 2일 기준 한국 박스오피스 관객수 16위 ''' '''역대 2020년 3월 2일 기준 한국 박스오피스 매출액 10위 ''' === [[대한민국]] === ||<-5>
{{{#000000 '''[[천만 관객 돌파 영화|{{{#000000 역대 대한민국 1,000만 관객 영화}}}]]''' }}}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흥행#대한민국|어벤져스: 인피니티 워]][br](2018, 11,211,802명) || {{{+1 →}}} || {{{#ffffff 신과함께-인과 연}}}[br]{{{#ffffff (2018, 12,270,489명)}}} || {{{+1 →}}} || [[극한직업(영화)#대한민국|극한직업]][br](2019, 16,261,985명) || ---- ||<-5>
'''연도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 || [[2017년]][br][[신과함께-죄와 벌#대한민국]][br]14,410,721명 || → || [[2018년]][br]'''신과함께-인과 연'''[br]12,276,350명 || → || [[2019년]][br][[극한직업(영화)#대한민국|극한직업]][br]16,265,658명 || ----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8년 30주차 ||<|2> → || '''2018년 31주차''' ||<|2> → || 2018년 32주차 ||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 {{{#ffffff '''신과함께-인과 연'''}}} || 신과함께-인과 연 || || 2018년 31주차 ||<|2> → || '''2018년 32주차''' ||<|2> → || 2018년 33주차 || || 신과함께-인과 연 || {{{#ffffff '''신과함께-인과 연'''}}} || [[목격자(영화)|목격자]]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ly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21,749명 || 21,749명 || 미집계 || 189,378,100원 || 189,378,100원 || ||<|7> {{{#ffffff 1주차}}} ||2018-08-01. 1일차(수) || 1,246,641명 ||<|7> 7,317,880명 || '''1위''' || 9,685,038,000원 ||<|7> 60,718,762,637원 || ||2018-08-02. 2일차(목) || 1,078,012명 || '''1위''' || 8,458,795,450원 || ||2018-08-03. 3일차(금) || 1,078,480명 || '''1위''' || 9,384,747,499원 || ||2018-08-04. 4일차(토) || 1,466,239명 || '''1위''' || 12,779,959,288원 || ||2018-08-05. 5일차(일) || 1,302,689명 || '''1위''' || 11,361,999,500원 || ||2018-08-06. 6일차(월) || 629,793명 || '''1위''' || 4,990,976,600원 || ||2018-08-07. 7일차(화) || 515,945명 || '''1위''' || 4,056,513,200원 || ||<|7> {{{#ffffff 2주차}}} ||2018-08-08. 8일차(수) || 395,474명 ||<|7> 2,781,933명 || '''1위''' || 3,125,803,000원 ||<|7> 23,479,934,512원 || ||2018-08-09. 9일차(목) || 325,129명 || '''1위''' || 2,577,437,500원 || ||2018-08-10. 10일차(금) || 356,213명 || '''1위''' || 3,132,356,948원 || ||2018-08-11. 11일차(토) || 644,524명 || '''1위''' || 5,708,719,964원 || ||2018-08-12. 12일차(일) || 570,117명 || '''1위''' || 5,025,346,000원 || ||2018-08-13. 13일차(월) || 228,960명 || 2위 || 1,822,130,700원 || ||2018-08-14. 14일차(화) || 261,502명 || 2위 || 2,088,140,400원 || ||<|7> {{{#ffffff 3주차}}} ||2018-08-15. 15일차(수) || 416,747명 ||<|7> 1,357,364명 || 2위 || 3,635,729,500원 ||<|7> 11,687,777,360원 || ||2018-08-16. 16일차(목) || 140,210명 || 3위 || 1,111,612,000원 || ||2018-08-17. 17일차(금) || 141,629명 || 3위 || 1,250,655,564원 || ||2018-08-18. 18일차(토) || 268,054명 || 3위 || 2,379,345,096원 || ||2018-08-19. 19일차(일) || 230,280명 || 3위 || 2,039,140,600원 || ||2018-08-20. 20일차(월) || 82,706명 || 3위 || 662,716,400원 || ||2018-08-21. 21일차(화) || 77,719명 || 3위 || 608,578,200원 || ||<|7> {{{#ffffff 4주차}}} ||2018-08-22. 22일차(수) || 62,694명 ||<|7> 473,136명 || 4위 || 487,097,000원 ||<|7> 3,995,421,200원 || ||2018-08-23. 23일차(목) || 48,097명 || 4위 || 377,851,100원 || ||2018-08-24. 24일차(금) || 64,119명 || 4위 || 569,846,300원 || ||2018-08-25. 25일차(토) || 118,808명 || 4위 || 1,050,622,200원 || ||2018-08-26. 26일차(일) || 107,124명 || 4위 || 946,679,800원 || ||2018-08-27. 27일차(월) || 37,465명 || 3위 || 293,460,000원 || ||2018-08-28. 28일차(화) || 34,834명 || 4위 || 269,828,800원 || ||<|7> {{{#ffffff 5주차}}} ||2018-08-29. 29일차(수) || 36,529명 ||<|7> 203,073명 || 5위 || 225,193,800원 ||<|7> 1,630,667,850원 || ||2018-08-30. 30일차(목) || 23,567명 || 5위 || 181,732,100원 || ||2018-08-31. 31일차(금) || 29,479명 || 4위 || 253,155,000원 || ||2018-09-01. 32일차(토) || 41,238명 || 4위 || 361,765,550원 || ||2018-09-02. 33일차(일) || 43,722명 || 4위 || 385,574,400원 || ||2018-09-03. 34일차(월) || 15,028명 || 4위 || 117,859,200원 || ||2018-09-04. 35일차(화) || 13,510명 || 4위 || 105,387,800원 || ||<|7> {{{#ffffff 6주차}}} ||2018-09-05. 36일차(수) || 12,175명 ||<|7> 87,459명 || 4위 || 94,913,350원 ||<|7> 원 || ||2018-09-06. 37일차(목) || 8,754명 || 5위 || 68,356,950원 || ||2018-09-07. 38일차(금) || 10,657명 || 5위 || 93,380,550원 || ||2018-09-08. 39일차(토) || 19,701명 || 5위 || 176,726,500원 || ||2018-09-09. 40일차(일) || 22,919명 || 5위 || 169,302,000원 || ||2018-09-10. 41일차(월) || 6,709명 || 5위 || 51,306,250원 || ||2018-09-11. 42일차(화) || 6,574명 || 5위 || 49,416,250원 || ||<|7> {{{#ffffff 7주차}}} ||2018-09-12. 43일차(수) || 2,827 명 ||<|7> -명 || 9위 || 21,017,750원 ||<|7> -원 || ||2018-09-13. 44일차(목) || 2723명 || 12위 || 20,439,350원 || ||2018-09-14. 45일차(금) || 3272명 || 9위 || 27,303,700원 || ||2018-09-15. 46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09-16. 47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09-17. 48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09-18. 49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12,242,453명, 누적매출액 102,404,077,109 원'''[* ~ 2018/09/14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으로는 신과함께-인과 연,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이상 [[2018년]] [[8월 1일]]), [[논스톱: 다마스커스 타겟]], [[더 스퀘어]], [[할로우 차일드]], [[아큐페이션]], [[주피터스 문]], [[킥복서 더 레전드]], [[우드 쇼크]](이상 [[2018년]] [[8월 2일]])까지 9편이다. 직전 주에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인랑(영화)|인랑]], [[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 등 무려 16편이 개봉한 것에 비하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 흥행 기록 ==== * 2018년 8월 1일 오전 6시 기준 '''사전 예매 관객수 70만명을 넘겼다.''' 한국 영화 역대 최고 기록. [[파일:wef1213rdfds2.png]] * 개봉 첫 날 좌석판매율([[2018년]] [[3월 31일]]까지 좌석점유율로 불림)이 '''71.1%'''를 기록하였는데, 일간 좌판율 2위인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의 그것(70.5%)마저 뛰어넘어 '''역대 한국 영화 시장 개봉작 중 1위이다.''' 좌석판매율이 70%를 넘는다는 뜻은 조조나 심야 회차를 제외한 낮이나 저녁 시간대 상영회차는 '''매진 또는 매진에 가까운 표판매'''가 발생했다는 뜻이다. [[파일:e2fqf1wfaf.png]] * [[2018년]] [[8월 1일]] 기존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이 가지고 있던 [[한국 영화]] 시장 오프닝 신기록인 1,183,519명을 갈아치우고 '''1,237,648명의 오프닝 신기록을 세웠다.'''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의 경우 개봉일이 공휴일이었지만, [[신과함께-인과 연]]의 경우 개봉일이 공휴일도 아닌데 이러한 기록을 세워 당시 '''역대 최고 평일 관객수''' 기록까지 세웠다. 하지만 이 기록은 약 9개월 후에 개봉한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개봉 첫 날 133만명이 관람하여 기록이 갱신되었다. * [[여름방학]]기간, [[휴가]]철, [[2018년 폭염/대한민국|2018년 한국 폭염]]으로 인한 [[영화관]] 관람수요[* [[영화관]]은 대표적인 '''[[에어컨]]''' 이용지이다. 그래서 폭염기간에 영화관 관람객이 증가한다.] 증가와 전작인 [[신과함께-죄와 벌]] 등의 입소문, 그리고 많은 [[스크린]] 확보(1,968개 스크린 9,815회 상영. 상영점유율 '''53.4%'''[* 한국 영화 시장 전체 상영 회차의 53.4%가 신과함께를 틀었다는 뜻이다.]) 등이 복합적으로 겹쳐져서 신과함께가 기존 오프닝 기록을 새로 경신하였다. * [[2018년]] [[8월 1일]] 개봉 첫 날 100만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한국 영화]] 시장 최단기간 100만 돌파는 아니다. 최단기간 100만 돌파는 [[부산행]]. 참고로 [[부산행]]의 경우 개봉 1일 차에 87만 명을 동원했지만, [[변칙 개봉]]을 하여 정식 개봉 전에 약 5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최단기간 100만 돌파 기록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이런 꼼수에도 불구하고 200만부터 보란듯이 신과함께가 역대 한국 영화 시장의 기록을 다 갈아치우고 있다. * 개봉 2일차에 107만 관객을 동원하며 2일만에 200만 관객을 돌파했다. 한국 박스오피스 사상 '''최단기간 200만 관객 돌파''' 기록을 세웠다. * 개봉 3일차에도 10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여 한국 박스오피스 사상 '''최단기간 300만 관객 돌파''' 기록을 세웠다. * 개봉 4일차인 8월 4일 토요일에는 하루에만 무려 146만 6860명의 관객수를 동원하여 이전에 역대 최고 일일 관객수를 기록했던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의 133만 관객수 기록을 꺾고 '''한국 박스오피스 역대 일일 최다 관객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 기록 또한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의해 깨졌다. 한국 박스오피스 사상 '''최단기간 400만 관객 돌파''' 기록은 덤이다. * 개봉 5일차인 8월 5일 약 129만명이 관람하여 '''하루 동안 500만, 600만 관객을 돌파했다.''' 한국 박스오피스 사상 '''최단기간 500만, 600만 관객 돌파''' 기록. * 개봉 1일차부터 개봉 5일차까지 '''5일 연속 100만 명 이상이 관람했다.''' 한국 박스오피스 사상 최초의 기록. * 개봉 7일 차인 8월 7일, 700만 관객을 돌파했다. 한국 박스오피스 사상 '''최단기간 700만 관객 돌파''' 기록 * 개봉 9일 차인 8월 9일, 800만 관객을 돌파했다. * 개봉 11일 차인 8월 11일 900만 관객 돌파했다. 명량과 같은 11일 차에 900만 관객을 돌파.[* 엄밀히 말하면 명량의 경우 11일차 오전에 900만을 돌파해 900만 관객 최단 돌파 기록은 여전히 [[명량]]이 가지고 있었으나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의해 기록이 깨졌다.] * 개봉 12일 차인 8월12일 960만관객정도를모으며 명량의 페이스에 뒤쳐지게 되었다. 동시기 명량은 개봉 12일 차에 천만관객을 돌파하였다. * 개봉 13일차, 공작의 흥행으로 사실상 신과함께의 1400만 기록은 돌파하지 못하게 되었다. * 개봉 14일 차인 8월 14일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 '''대한민국 영화 최초로 시리즈물이 연속으로 천 만 관객을 돌파했다.''' 참고로 한국 박스오피스 최초의 시리즈물 천만 돌파 기록은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과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가 가지고 있다. 어벤져스 시리즈 2편과 3편이 연속으로 천 만 관객을 돌파한 것. * 개봉 19일차인 8월 19일 113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를 제치고 현 시점 '''2018년 대한민국 최고 흥행작'''으로 등극했다. * 개봉 30일차인 8월 30일 12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명량]], 전작인 [[신과함께-죄와 벌]]에 이어 3번째로 빠른속도로 1200만을 돌파하였다. 신기한 것은 2017년과 2018년 모두 신과함께 시리즈가 흥행 순위 1위를 차지했다는 것이다. 역대 최초 기록. === [[북미]] === 전작인 [[신과함께-죄와 벌]]이 [[Well Go USA]]가 배급권을 사가서 개봉한 만큼, [[제한적 상영]]으로 [[2018년]] [[8월 1일]]부터 [[CGV]] 미국지사(2개관) 및 일부 극소수 [[영화관]]에서 개봉했다.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첫주 48개관에서 스크린 당 평균 $6,495의 수익을 올려 $422,671달러의 수익을 내면서 21위에 자리잡았다. 전작 죄와 벌에 비하면 스크린 당 평균 금액이 4000달러 넘게 뒤쳐지고, 높은 수익이라고 보기에는 힘든 수치이다. === [[중국]] === [[신과함께-죄와 벌]]이 [[중국/문화 검열|검열 문제]] 때문에 중국 개봉을 못하고 있다. 죄와 벌이 상영되어야 인과 연도 나올 듯. 게다가 인과연에서는 중국소수민족인 거란족과 여진족에 대해 다루는데다가 중국 당국에 배급사인 [[롯데엔터테인먼트|롯데]]가 [[한한령|단단히 찍힌 만큼]] 개봉은 요원해 보인다. [[2018년]] [[8월 6일]] [[완다시네마]]에서 운영하는 영화 평점 사이트인 [[엠타임]]에 신과함께-인과 연 관련하여 [[http://news.mtime.com/2018/08/05/1583015.html|기사]]가 나긴 했다. 중국 정부에서 개봉을 금지하는 상황에서 이런 기사가 나온 것은 긍정적. === [[대만]] === ||<-5>
{{{#ffffff '''중화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8년 31주차 ||<|2> → || '''2018년 32주차''' ||<|2> → || 2018년 33주차 ||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 {{{#ffffff '''신과함께-인과 연'''}}} || 신과함께-인과 연 || || 2018년 32주차 ||<|2> → || '''2018년 33주차''' ||<|2> → || 2018년 34주차 || || 신과함께-인과 연 || {{{#ffffff '''신과함께-인과 연'''}}} || 신과함께-인과 연 || || 2018년 33주차 ||<|2> → || '''2018년 34주차''' ||<|2> → || 2018년 35주차 || || 신과함께-인과 연 || {{{#ffffff '''신과함께-인과 연'''}}} || [[더 이퀄라이저 2]] || ||<-5> [[http://tw.dorama.info/drama/d_box_idx.php|대만 박스오피스]] || 8월 8일에 개봉한다. 전작 [[신과함께-죄와 벌]]의 '''해외 흥행 1위'''로 올해 개봉할 인과 연에 대한 기대가 크다. 역대급 오프닝 기록을 세웠다. 수도인 [[타이베이]] 기준으로는 [[http://extmovie.maxmovie.com/xe/movietalk/37081852|1194.5만 대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당일날 1위를 찍은 것은 물론이고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보다 높은 오프닝 기록을 세웠다. 참고로 쥬라기 월드는 대만 흥행 순위 9위를 기록한 작품이다. 전국 기준으로는 [[https://tw.news.yahoo.com/%E8%88%87%E7%A5%9E%E5%90%8C%E8%A1%8C-%E6%9C%80%E7%B5%82%E5%AF%A9%E5%88%A4-%E8%87%BA%E7%81%A3%E4%B8%8A%E6%98%A0%E9%A6%96%E6%97%A5%E7%A5%A8%E6%88%BF3700%E8%90%AC-160000770.html|3700만 대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개봉 첫 주차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http://tw.dorama.info/drama/d_box_office.php?wid=2190&ud=0|링크]] [[타이베이]]시 기준 [[미국 달러]]화로 191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상영 5일만에 [[http://extmovie.maxmovie.com/xe/index.php?_filter=search&mid=movietalk&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C%8B%A0%EA%B3%BC&document_srl=37201632|1.9억 대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대만에서 개봉했던 한국 영화 중 누적 수입 1위였던 [[신과함께-죄와 벌]]이 2억 달러 돌파에 16일이 걸렸던걸 생각해보면 엄청난 흥행 속도다. [[2018년]] 8월 10일부터 [[8월 12일]]까지 벌어들인 대만 전국의 박스오피스는 [[http://tw.dorama.info/drama/d_box_office.php?date=2018-08-12&ud=1|618만 미국 달러]]로 집계되었다. 아쉬운 점은 대만 박스오피스 순위가 기본적으로 [[타이베이]] 순위라, 이 성적이 [[박스오피스 모조]]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 8월 18일에는 이미 3억 대만 달러를 넘어서 거의 1000만 달러에 가까운 흥행을 거뒀다.] 8월 26일 기준으로 424,367,571 대만달러를 벌었다. 전편의 성적인 513,584,962 대만달러에 근접해진 상황. '''8월 26일 성적만으로도 대만 역대 박스오피스 25위의 수준이며 아직 상승중이다.''' 장기 흥행시 15위권, 나아가서 10위권의 가능성도 추측할 수 있다. 9월 2일 기준으로 456,245,299 대만달러를 벌었다. 이는 한국 환율로 166억원을 조금 넘으며, 미국 환율로 1500만 달러에 조금 못 미친다. === [[홍콩]] === [[2018년]] [[8월 9일]]에 개봉한다. 8월 2일부터 정식 개봉이 아닌 유료 시사회를 통해 개봉했음에도 불구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다음인 [[박스오피스]] 2위에 올랐다. [[https://www.boxofficemojo.com/intl/hongkong/?yr=2018&wk=31&p=new|링크]] 상영 5일차인 8월 13일에 누적 수입 [[https://hk.entertainment.appledaily.com/enews/realtime/article/20180813/58558415|2500만 홍콩 달러를 돌파했다.]] 홍콩에서 개봉한 한국 영화 누적 수입 1위였던 부산행이 2500만 홍콩 달러 돌파에 7일이 걸렸고 [[신과함께-죄와 벌]]은 10일이 걸렸다. [[2018년]] 32주차 홍콩 박스오피스에서 [[https://www.boxofficemojo.com/intl/hongkong/?yr=2018&wk=32&p=.htm|1위]]에 올랐다. === [[베트남]] === 2018년 8월 10일에 개봉하였다. 3일차에 15만명이 관람했다. 베트남에서 개봉한 한국 영화 누적 관객수 1위였던 [[부산행]]은 3일차에 12만명이 봤다. 이곳에 [[https://blog.naver.com/baekjelove1/221339644330|베트남에서 관람한 후기]]를 볼수 있다. === [[일본]] === 죄와 벌이 2019년 5월 24일 개봉한 데 이어 6월 28일 개봉했다. [[신문기자]]와 개봉일이 겹친다. === [[싱가포르]] === [[2018년]] [[8월 22일]] 개봉. == 원작과의 차이점 == 등장인물과 지옥의 원작과의 차이점은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등장인물]]과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저승]] 문서 참조. * 원작과 달리 성주신만 등장하고 나머지 가택신들은 러닝타임 문제로 미출연한다. 사실 2편이 원작의 이승편에 해당되지만 이승편만 다룬 것은 아니라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예고에서 성주신이 말하는 해원맥과 덕춘의 과거를 보면 신화편의 차사편도 포함되어 있다. 당연한 얘기지만 성주신 외의 가택신의 존재가 사라졌기 때문에 원작에선 문왕신인 김동현 포지션에 있는 허현동 역시 평범한 인간으로 등장한다 * 신화편에 해당하는 삼차사의 스토리에 영화가 집중되면서, 사실상 이승편의 스토리는 크게 약화되었다. 1편 쿠키영상에 등장하며 큰 기대를 모았던 성주신 역시 사실상 삼차사의 과거를 전달해주는 역할 이외에는 이렇다할 분량을 받지 못 했다.[* 원작에서는 집에 사는 할아버지와 손주, 그리고 삼차사가 서로 의지하며 유사가족 관계가 되며, 이들이 저승차사에 맞서서 싸우다가 정이 드는 식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여기선 삼차사가 사실상의 주인공들인데, 오히려 비중만 보면 신화편에 이승편의 이야기가 버무러진 수준. 게다가 3편이 나오면 원동연의 재판 얘기가 주 스토리가 될 것이 뻔한데다 강림과 성주의 과거가 원작과 전혀 달라졌기 때문에 신화편 요소들은 거의 다 쓴 셈이다. 3편이 나오더라도 거의 오리지널 스토리에 신화편의 일부요소 (대별왕/소별왕 스토리, 할락궁이 등)가 양념으로 등장하는 수준일 듯.] * 김맹호의 존재가 사라졌다. 김맹호는 원작에서 해원맥의 상관이자, 적이며, 해원맥과 덕춘을 죽인 인물이자 덕춘의 손에 죽은 인물이다. 영화에서는 강림이 김맹호의 역할을 하고 있다. == 전작과 다른점 == * 전작에서는 강림이 이승으로 가고[* 단, 해원맥은 말미에 이승에 왔다.] 해원맥과 이덕춘이 저승에서 재판을 맡지만 이번 작에서는 반대로 강림이 저승, 해원맥과 덕춘이 이승에 있는다. * 전작은 일반 규격으로 제작됐지만, 이번 후편은 편집 과정에서 [[IMAX]] 규격으로 컨버팅했다. == 기타 == * 뉴스 같은 매체에서는 정식명칭 대신 신과함께 2 라고 자주 불린다. * 1편에서 2편의 떡밥을 암시한 장면이 몇몇 있는데 대표적으로 강림이 추격전을 벌일 때 마을이 철거 반대 문구로 가득찬 걸 볼수 있었다. * 부산에서 촬영을 했다고 한다. 전 편에서 [[청사포]]등 부산이 나온적이 있다. 겨울 숲 촬영은 노르웨이와 체코에서 진행되었다고 한다.[* 영화 자막에 노르웨이, 체코 유니트이라고 나올 것이다.][*스포일러 현동이가 작중 최후반부에 다니게 되는 초등학교는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하는 비전초등학교이다.] * 배우 [[오달수]]의 성추행 의혹으로 인해 극중 [[오달수]]의 배역은 [[조한철]]이 다시 재촬영해서 해결했다. * 원작자인 [[주호민]]이 [[침착맨]]방송에 출연해 [[그그실|2편이 1060만 관객만 넘겨서 2500만 관객을 달성하면 좋겠다고 피력하였다.]][[https://youtu.be/ciErqq-D5mw?t=5m22s|영상링크]] * 2편이 개봉하기 전부터 제작자와 감독은 3, 4편 제작에 긍정적으로 답했었다. 그리고 실제로 쿠키 영상에 3편의 떡밥의 넣은 것을 보아 3-4편의 제작가능성을 열어놓은 듯 하다.[*스포일러3 쿠키영상에서 염라대왕이 김수홍에게 저승에서 일자리를 권유하는 것을 보면 "[[진기한(신과함께)|진기한]] 이력이구나. 함께 일해보지 않겠나"]자세한 내용은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해당 내용]] 참조. * 저승에서 공룡이 출연한다. 그것도 [[쥬라기 월드]]의 벨로시랩터, 티렉스에다 모사사우루스까지 등판한다. [[모사사우루스]]는 크기가 40m는 넘어 보인다. 쥬라기 월드에서 과장되어 나온 모사사우루스의 영향이 큰 듯하며 그보다도 더 크다.[* 이는 애초에 쥬라기 월드를 봤던 김수홍의 상상으로 인해 만들어진 괴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티라노사우루스와 모사사우루스는 그나마 외형이 조금 다르지만 랩터는 색깔이 다른 것외엔 판박이 수준. 등장하는 장면의 연출도 쥬라기 월드와 대단히 흡사하다. 덤으로 모사사우루스는 [[왕복선|셔틀]] --[[땅굴벌레]]-- 노릇을 한다. * 감독이 '쥬라기공원'을 본 적이 있다고만 이야기했다고 하는데, '쥬라기월드'를 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 건 못봤다'라고 했는데.. 쥬라기 공원의 경우 전작이 존재하지 않은다. 작중에 등장하는 모사사우루스는 월드부터 나왔다.[[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1100&g_serial=1111735|#]]] 사실 감독이 쥬라기월드를 감상유무가 중요한게 아니라, 영화 설정상 지옥에서 김수홍이 가장 무서워하는 존재가 현실화 되는 상황에 대한 설정이기 때문에, '''김수홍이 쥬라기월드 영화를 봤고 거기에 나오는 공룡을 무서워했다. 자기가 가장 무서워하는것이 현실로 구현되는 상황에서 쥬라기월드 출연 공룡이 현실화된것이다.'''라는 설정인 셈이다. 당연히 신과함께2에 출연하는 공룡은 쥬라기월드에 출연한 공룡의 설정을 그대로 갖고 올 수 밖에 없다. 즉, 실존하는 공룡을 새롭게 그린게 아니라 쥬라기 월드 속 공룡 캐릭터를 사실상 캐릭터는 돈 안주고 이용한 것인 셈인데[* 김용화 감독 본인은 이렇게 언급했다. "공룡에도 저작권이 있나요?"~~물론.~~], 실존했던 공룡을 가져온것이니 캐릭터 사용료내는것도 애매하다.[* 여담으로 신과함께-인과연도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과 같이 2018년에 개봉했다.]--[[인도미누스 렉스]]를 썼다면 또 모를까--[* 랩터와 같은 일부 공룡들은 스필버그가 일부러 독자적인 저작권을 확보하고자 현실의 재현보다 창작을 우선시하기도 한 만큼 유니버설측에서 말없이 그냥 넘어간걸 다행으로 알아야 한다. 혹은 아직 이런 영화가 있는줄 모르거나 말이다.] * 고려군이 패배한 전투는 공험진이라는 지명, 여진족이라는 상대, 총사령관이 사망할 정도의 대패라는 걸 보면 한국사 역사상 최악의 패전 중 하나인 [[갈라수 전투]]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실제 역사에서 총사령관은 [[오연총]]이었고, 사망하진 않았으니 실제 역사하고는 좀 차이가 있다. 또한 영화에서는 이번 전투에서 승리하면 여진족과의 전쟁이 끝날거라고 묘사되는 것과는 달리, 실제로는 계속해서 동북 9성이 위기에 빠지고 길주성이 포위되어 구원군을 보낸 상황이었다. * 원작자 주호민은 1편보다 이 2편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이게 이렇게 연결되네 하며 감탄했다고 한다. * 이 영화부터 롯데엔터테인먼트 로고 인트로가 바뀌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시그니처 아트카드)]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18년)] [include(틀:김용화 감독 장편 연출 작품)] [include(틀:천만 관객 돌파 영화)] ||<-5> '''대한민국 [[천만 관객 돌파 영화|{{{#white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 {{{-1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br](2018)}}} || ^^→^^ || {{{-1 [[신과함께-인과 연]]}}}[br](2018) || ^^→^^ || {{{-2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br](2019) || [[분류: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분류:2018년 영화]][[분류:천만 관객 돌파 영화]][[분류:IMAX로 상영한 한국영화]][[분류:가치봄]][[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글로벌 흥행 1억 달러 이상 한국 영화]][[분류:4DX로 상영한 한국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