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신계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ff7f00> [[대통합민주신당|[[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아이콘.svg|width=40]]]] [[대통합민주신당|[[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height=17]]]] {{{#fff,#fff '''사무총장'''}}} || || 초대[br][[정동채]] || → || '''제2대[br]신계륜''' || → || ''당명 변경''[br]{{{-2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으로 당명변경)}}} || ---- ||<-5> [[통합민주당(2008년)|[[파일:통합민주당(2008년) 로고.svg|width=70px]]]] {{{#419639,#70c668 '''사무총장'''}}} || || ''창당'' || → || '''초대[br]신계륜''' || → || 직무대행[br][[김영주(1955)|김영주]]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성북구 을|{{{#cfa547 성북구 을}}}]])'''}}} || || 제13대[br][[조윤형]] || → || '''제14대[br]신계륜''' || → || 제15대[br][[강성재(정치인)|강성재]] || || 제15대[br][[강성재(정치인)|강성재]] || → || '''제16-~~17~~대[br]~~신계륜~~'''[* 06.2.10. 불법정치자금 수수혐의로 인한 의원직 상실] || → || 제17대[br][[조순형]] || || 제18대[br][[김효재]] || → || '''제19대[br]신계륜''' || → || 제20-21대[br][[기동민]]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환경노동위원회|{{{#cfa547 환경노동위원장}}}]]'''}}} || || 제18대 후반기[br][[김성순]] || → || '''제19대 전반기[br]신계륜''' || → || 제19대 후반기[br][[김영주(1955)|김영주]] || ---- [include(틀:역대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 || ---- ||<-2> '''대한민국 제14·16·17·19대 국회의원[br]{{{+1 신계륜}}}[br] 申溪輪 | Shin Gye-ry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labortoday.co.kr/125466_55825_3735.jpg|width=100%]]}}} || ||<|2> '''출생''' ||[[1954년]] [[8월 13일]][* 고령 신씨 대동보에는 1952년 8월 12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age(1954-08-13)]세) ||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리[* [[https://www.sgr21.or.kr/home/bbs/intro_content.php?co_id=sgr_01|#]]] || || '''본관''' ||[[고령 신씨]][* 귀래정공파 26세 호(浩) 항렬. 족보명 신계호(申溪浩). 본명인 계륜(溪輪)에 대해서는 계한(溪翰)으로 오기되어(아마 글씨가 비슷해서 잘못 보고 기재한 듯하며, 작게 쓰면 륜(輪)인지 한(翰)인지 헷갈린다).) 고령 신씨 대동보에 [[초명]]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신계륜 족보 1.png]][[파일:신계륜 족보 2.png]]] || || '''거주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종암SK아파트 || ||<|2> '''재임기간''' ||제4대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2 ([[고건|고건 시정]])}}} || ||[[1998년]] [[7월 1일]] ~ [[1999년]] [[8월 11일]] || || '''학력''' ||광주계림국민학교 {{{-2 ([[졸업]])}}}[br]북성중학교 {{{-2 (졸업)}}}[br][[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 {{{-2 (졸업 / 22회)}}}[br][[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과대학]] {{{-2 ([[행정학과|행정학]] / [[학사]])}}} || || '''가족''' ||배우자 김유미[* 金由美. 1960년 4월 16일생. [[김해 김씨]] 김봉관(金鳳官)의 딸이다.][br]장남 신경수[* 申京秀. 1985년 10월 13일생.], 차남 신지수[* 申智秀. 1993년 9월 29일생.] || || '''종교''' ||[[개신교]] {{{-2 ([[장로회]])}}}[* 서울 성북구 소재 [[종암중앙교회]] 집사이다.]||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의원 선수''' ||'''4''' || || '''의원 대수''' ||'''[[제14대 국회의원|14]], [[제16대 국회의원|16]], [[제17대 국회의원|17]], [[제19대 국회의원|19]]''' || || '''약력'''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br]나남출판사 편집주간[br][[신민주연합당]] 창당발기인[br][[신민주연합당]] 당무위원[br][[민주당(1991년)|민주당]] 당무위원[br][[민주당(1991년)|민주당]] 범민주통합추진위원회 대변인[br][[제14대 국회의원]] {{{-2 ([[성북구 을|서울 성북구 을]] / [[민주당(1991년)|민주당]])}}}[br][[제14대 국회]] 후반기 [[환경노동위원회|노동환경위원회]] 간사[br][[새정치국민회의]] 청년특별위원회 부위원장 [br]제4대 [[서울특별시 부시장|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2 ([[고건|고건 시정]])}}}[br][[제16대 국회의원]] {{{-2 (서울 성북구 을 / [[새천년민주당]])}}}[br][[새천년민주당]] 서울시당 수석부위원장[br][[제17대 국회의원]] {{{-2 (서울 성북구 을 / [[열린우리당]])}}}[br][[대통합민주신당]] [[사무총장]][br][[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사무총장]][br][[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총선기획단장[br][[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총선선대본부장[br][[민주통합당]] [[한명숙]] 당대표 정무특보[br]사단법인 신정치문학원 이사장[br][[제19대 국회의원]] {{{-2 (서울 성북구 을 / [[민주통합당]])}}}[br]한국프로낚시연맹 총재[br]한국배드민턴협회 회장[br][[제19대 국회]] 전반기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br][[새정치민주연합]] 사회적경제정책협의회 위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 [[서울특별시 부시장|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과 [[성북구 을]]에서 4선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을 지냈다. == 학창시절과 노동자시절 == 1954년 8월 13일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리에서 초등학교 교사인 아버지 신원식(申元植, 1920. 12. 7 ~ 2000. 5. 28)과 어머니 [[장(성씨)|흥덕 장씨]](興德 張氏) 장정임(張貞任, 1926. 3. 28 ~ )[* 장흥석(張興石)의 딸이다.] 사이의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광주 계림초등학교와 북성중학교를 졸업한 후, 1973년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22회)를 졸업하고 법관이 되겠다는 꿈을 품고서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동기로는 [[설훈]], [[홍의락]]이 있으며 [[홍준표]]의 행정학과 직속후배였다.] [[행정학과]]에 입학하였으나, 당시 [[10월 유신|유신]] 상황에 눈을 뜨면서 민주화에 관심을 갖게 되어 [[학생운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제4공화국|유신정권]] 하에서 잦은 체포와 감시 속에 있다가 1976년 강제 징집되어 전방 부대에서 복무를 마치고 1979년에 제대했다. 같은 해 [[10.26 사건]]으로 만들어진 1980년 [[서울의 봄]]을 맞아 다시 학생운동에 전념하게 되었고, 그해 봄 학도호국단을 거부하는 운동 끝에 6년만에 부활한 자주적 [[총학생회]]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0년 5월 13일부터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으로서 고려대학교 학생들을 이끌고 [[계엄]]령 철폐시위에 나섰다. 학생들의 가두시위는 5월 15일 정점에 올라, [[서울역]]에는 무려 15만 명의 학생들과 시민이 운집했다. 이때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 [[심재철]]이 더이상 시위가 과열되면 군부에게 무력개입의 빌미를 준다고 주장하면서 전국 학생회장단을 설득하여 시위를 해산하고 학교로 돌아가자고 제안하였는데, 신계륜은 이에 반대하였지만,[* 이때 신계륜과 함께 회군에 반대한 사람이 바로 서울대학교 대의원회 의장 [[유시민]]과 복학생 운동권의 리더격이었던 [[이해찬]]이었다. 이들 세 명은 나중에 정계에서 재회하였다.] 결국 심재철의 주장대로 이른바 '[[서울의 봄#s-6|서울역 회군]]'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전두환]]은 고립된 [[5.18 민주화운동|광주를 군홧발로 짓밟고서]] [[대한민국 제5공화국|정권을 움켜쥐었으며]], 당시의 학생 운동권은 [[5.17 내란|전두환의 쿠데타]]를 막을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15만 명의 학생이 모였다는 것은 실로 대단한 일이다. 당시 군부는 학생들의 숫자에 질려서 저녁 8시까지 이들에게 아무런 제재도 가하지 못하고 있었다. 만약 군부가 이 수많은 학생들의 시위를 진압하려 했다면, 수도 한복판에서 [[킬링필드]]를 만들자는 것과 다름이 없었고, 이는 [[이승만]]이 하다가 쫒겨났던 일이었다. 그런데 심재철의 주장대로 서울역 회군이 이루어짐으로써 당시의 학생 운동권은 뿔뿔이 흩어졌고 군부에 의해 각개격파 당하고 말았다.] 서울역 철수 다음 날인 5월 16일에는, 여러 고대생들과 함께 5.16을 규탄하는 가두행진을 [[고려대학교|고려대]]에서 [[수유동|수유리]]까지 진행하여 철수에 대한 항의의 뜻을 알렸다. 그러나 5월 17일 시위를 중단한지 이틀만에 군부는 전국의 대학에 진주하여 점령하고 학원을 군의 병영으로 삼으며 전국적인 휴교령을 내렸다. 5월 18일 수배를 피해 [[광주광역시|광주]]로 내려갔다가 계엄군이 도청을 점령하는 5월 27일 새벽까지 [[전라남도]] [[광산군]] 송정리(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광산구)|송정동]])의 절친한 친구의 집에 머무르면서 광주에서의 학살을 목격하였다. 당시 그의 어머니는 차량이 끊긴 월야집에서 터벅터벅 걸어서 광주에 와 아들의 소재를 물으며 시위대 사이, 그리고 병원의 영안실들을 헤매고 다녔으나, 그는 어머니가 그토록 처연하게 아들을 찾아 헤매는 것을 알고도 어머니에게 살아있다는 말조차 전하지 못했다고 한다. 전남도청이 계엄군에 점령당하자, 다시 서울로 탈출했다. 그런데 “극한적 학원소요 사태와 광주 사태의 배후 조종자 및 주동 극렬 분자”로 지명수배된 가운데 무려 30일을 더 숨어 지내다가 결국 경찰에 체포되고 말았다. 지독한 고문을 받았음에도 끝내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김대중 내란음모 조작]]에 협조하지 않았으며, 군법회의에서 결국 1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 받았다. [[1983년]]에 출옥한 후 나남출판사에서 편집주간으로 일했다. 그 후 구로공단에서 노동자 생활을 하면서 여러 해 동안 노동 운동을 하였다. 그러다가 1990년 [[3당 합당]]을 보고 충격을 받아, 1991년에 [[이우정(1923)|이우정]], [[박우섭]] 등의 재야동지들과 함께 [[신민주연합당]]의 발기인으로 나서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 정치인으로서의 삶 == === 야당의 신진 정치인 시절 === 정계 입문 이후 [[김대중]]이 고향인 [[전라도|호남]]에서, 특히 [[함평군|함평]]에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권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절하고 [[서울특별시|서울]] [[성북구]]에서의 출마를 희망하였다. 그리고 1992년 1월 현직 국회의원인 [[조윤형]]을 제치고 [[민주당(1991년)|민주당]] 서울 [[성북구 을]] 지구당 개편대회에서 약 3,000여 명의 청년 및 당원들이 운집한 가운데 지역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그로부터 몇 달 뒤인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국회의원(37세)으로 당선되었다. 득표율은 41.7%였다. 그 후 신계륜은 민주당 [[김대중]] 대선 후보의 노동담당 특별보좌역을 역임했으나, 김대중은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패하였고 정계를 은퇴하고 말았다. 1993년엔 대한민국 정치사상 처음으로 후원회(후원회장 [[장하성]] 고려대 교수)를 결성하였다. 공개모금행사를 실시하고 정치자금을 모두 공개하여 화제를 모았다. 또한 민주당내 ‘깨끗한 정치 실현을 위한 모임’, ‘민주개혁정치모임’ 등에 참여하며 개혁 그룹을 이끌었으며, 2000년에는 [[송영길]], [[이인영]], [[임종석]], [[우상호]] 의원등이 함께하는 ‘대안과 실천’이라는 개혁 모임을 창립하고 이를 이끌기도 했다. 한편 [[제14대 국회]]에서 그는 젊은 국회의원답게 의정활동을 매우 성실히 하여 주목을 받았다. 1995년 [[중앙일보]] 국회의원 평가에서, 상임위에서의 발언 1위, 문제제기 1위, 대안제시 1위, 공무원 평가 1위, 종합평가 1위를 차지해 전체 국회의원 중에서 유일한 5관왕을 차지하였다. 1995년 [[김대중]]이 정계에 복귀하고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자, 신계륜은 [[민주당(1991년)|민주당]]을 탈당하고 김대중이 새로 만든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서울 [[성북구 을]]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출마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39.2%의 득표율로 낙선했다. 당선자는 [[신한국당]]의 [[강성재(정치인)|강성재]]였고, 표 차이는 3천여 표밖에 나지 않았다. 당시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황호산]] 후보가 출마하여 민주진영의 표가 갈린 것이 패인으로 지적되었다. 그리고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청년위원장으로 활약하며 김대중의 당선에 기여하였다. === 여당 정치인 시절 ===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선거에서 [[고건]]을 도와 선거운동을 하였고, 고건의 당선에 기여하였다. 그 후 고건 시장 밑에서 [[서울특별시 부시장|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으로 일하면서 행정경험을 쌓았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서울 [[성북구 을]]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한나라당]]의 [[강성재(정치인)|강성재]]를 꺾고 52.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제16대 국회]]에서도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일하며, 2001년 직장여성에 대한 출산 휴가의 확대, 영아를 둔 직장여성에서 육아 휴직 급여기간 확대를 포함한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남녀고용평등법]] 등의 개정을 이루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때는 [[노무현]] 대통령 후보 [[비서실장]]을 맡았다. 노무현 후보의 지지율이 계속 낮은 상태를 유지하자, 당시 지지율 1위이던 [[정몽준]] 후보와 단일화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결국 [[이해찬]]에 이어 신계륜이 정몽준 후보와의 후보 단일화 협상 단장을 맡게 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정몽준과의 후보 단일화에 성공하여 노무현의 당선에 기여한 1등 공신 중 하나가 되었다. 그 후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비서실장을 맡았지만, 노무현이 대통령직에 취임한 이후에는 청와대나 정부의 어떤 직책도 맡지 않았다. 그 대신에 환경노동위에서의 활동에 주력하여 2003년에는 근로기준법을 개정하고 주 5일, 주 40시간 근로라는 선진근로제도를 도입하는 데 기여를 하였다. 2003년 [[새천년민주당]] 분당 때는 [[열린우리당]]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 시절 대출업체 굿머니에서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인해 [[제17대 국회의원 선거|17대 총선]]을 코앞에 둔 2004년 3월 불구속 기소되었다. 의혹을 제기한 것은 [[새천년민주당]] 소속의 [[조재환(정치인)|조재환]] 의원이었고,[* 2003년 [[열린우리당]] 분당으로 인해 졸지에 야당 의원이 돼버린 [[새천년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열린우리당 창당을 강경하게 주장한 정치인들에 대해 앙심을 품고 벼르고 있었던 것.] 당시 대검 중수부장은 그 유명한 [[안대희]]였다. 물론 그러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의 최수영을 꺾고 51.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제16대와 제17대 연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면서 집권여당의 중진으로 발돋움하였지만, 2006년 2월 대법원에서 굿머니 불법정치자금 수수가 유죄로 판결되면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이후 치러진 [[2006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에서는 [[조순형]]이 당선되었다. === 다시 야당정치인으로서 === 2007년 [[정동영]]의 [[제17대 대통령 선거]] 참패 이후 야권 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자, 2008년 [[손학규]] 대표 밑에서 [[대통합민주신당]] 사무총장을 역임하였고, 구 민주당 인사들과의 통합을 추진하였다. 그 후 민주당과의 통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자,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합민주당 총선 기획단장, 제18대 총선 선거 대책 본부장을 역임했으나, 당시 통합민주당 공천심사 과정에서 당 공천심사위원회의 '금고형 이상 형 확정자 공천배제' 방침이 정해지면서 공천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시 당대표는 [[손학규]]였고, 공천심사위원장은 [[박재승]]이었는데, 진보진영의 원로인 [[백낙청]] 등의 추천을 받아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은 박재승은 시골의사 [[박경철]] 등과 함께 '금고형 이상 형 확정자 공천배제' 방침을 뚝심 있게 밀고 나가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측근인 [[박지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인 [[이상수]]와 [[안희정]], [[정동영]] 전 대통령 후보의 측근인 [[이용희(1931)|이용희]], 손학규 당대표의 측근인 신계륜 사무총장, [[설훈]] 전 의원까지 ‘예외 없이’ 탈락시켰다. 하지만 그중에 최고의 희생양은 역시 현직 사무총장인 신계륜이라고 할 수 있었다.] 결국 [[성북구 을]] 지역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의 비난을 받았다.[* 결과론이지만, 만약 그때 공천탈락에 승복하고 출마를 하지 않았다면, 더 큰 정치적 자산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란 말이 많았다. 만약 그때 탈당하지 않고 [[안희정]]처럼 당에 그냥 남아 있었으면, 지금쯤 당대표 후보로 거론되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선거 결과도 좋지 않아, 29.1%의 지지율로 낙선하였다. 당선자는 [[한나라당]]의 [[김효재]]였다.[* 당시 [[성북구 갑]]과 [[성북구 을]] 모두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하였다. 1963년 이후 민주진영에서 [[성북구]]에 당선자를 내지 못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2008년 5월 30일,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에 복당하였다. 비록 법원에서 유죄판결을 받았지만, "개인적 비리가 아니라 당을 위해 희생됐던 측면이 크다"는 이유에서였다.[* 당시 신계륜과 [[이상수]]의 복당에 대해 [[정세균]]은 반대하였지만, [[천정배]]와 [[설훈]]은 찬성하였다.] 그 후 잠시 야인으로 있다가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의 공천을 받아 서울 [[성북구 을]]의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득표율은 54%였다. 그러나 19대 총선에서 구 [[열린우리당]] 의원 출신들이 거의 1명의 예외 없이 모두 공천을 받아 무난하게 당선된 반면, [[전라도|호남]]의 [[비노]], [[비운동권]] 출신 의원들은 공천에서 대부분 탈락하여 이때부터 '[[친노]] [[운동권]] 기득권자' '당내 [[86세대]]들의 맏형'이라는 이유로 야권 내 비주류(비노) 인사들로부터 집중비난을 받게 되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후보가 패한 후, 12월 28일 [[원내대표]] 경선에 참여하였다. 그런데 당선이 유력하다는 전망과 달리 결선투표에서 [[박기춘]]에게 패하고 말았다. 그리고 그 패배의 원인은 친노진영의 지나친 패권욕에 있다는 말이 나왔다. 어쨌든 대선에서 패배했고, 그 패배의 책임을 친노진영이 져야 하는데, 책임을 지긴 커녕 친노진영이 신계륜을 앞세워 원내대표 자리를 차지하려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 뇌물 혐의 유죄 === 2015년 6월 8일 [[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SAC) 김민성(본명 김석규) 이사장으로부터 교명 변경 법안 처리 대가로 2013년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현금과 상품권 등 5천 500만 원을 받은 혐의([[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로 검찰에 기소됐다. 그리고 아들의 캐나다 유학비용이 어디서 나왔는지 역시 문제되었는데, 신계륜이 국회의원 세비, 후원회비, 상임위원장 직책비 통장 등에서 매달 출금한 금액이 생활비나 아들 유학비에 매달 지출된 돈보다 훨씬 많다는 기록을 제시하고 서울종합예술학교로부터 돈을 받을 이유가 없다고 말하자 검사는 상임위원장 직책비를 개인용도로 써도 되냐고 주장했다.[* 직책비 전용에 관해서는 당시 [[새누리당]]의 [[홍준표]] [[경상남도지사|경남도지사]]도 억울함을 호소하긴 했지만, 직책비를 개인적인 용도로 쓰는 게 당시 정치인들 사이에서 관행이긴 했던 것 같다.] 이에 대해 신계륜은 "내가 입법 로비로 기소된 것을 아직도 실감할 수가 없고 참담하다. 아들이 초등학교 때 신계륜 아들이란 이유로 선배들에게서 욕을 듣고 싸움이 벌어진 뒤 어렵게 유학을 보냈는데, 검사가 유학자금을 갖고 의심하니 내가 참 나쁜 아버지가 되는 것 같다. 억울함을 잘 살펴 옥석을 가려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그로 인해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공천에서 --[[문희상]]--[*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다시금 [[의정부시 갑|원래 지역구]]에 전략공천(...)되면서 살아났다.], [[유인태]], [[송호창]] 등과 함께 다시 컷오프를 당했으나, 8년 전과는 다르게 당을 위해 [[백의종군]]을 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2017년 7월 상술한 입법 로비에 대해 기소된 5천만 원 중 4천만 원은 무죄, 1천만 원과 상품권 5백만 원은 유죄로 인정하여 징역 1년의 실형 판결이 확정되었고[* 이 사건에 같이 휘말린 [[신학용]] 의원도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 판결이 확정되었다.], 출소 후 윤이상평화재단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2022년 윤석열 정부 특별사면]]으로 사면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26240?cds=news_edit|이명박·김기춘·원세훈·김경수 특별사면 대상…사면심사위 종료]] 2023년 4월 28일에 지난해 같이 사면복권된 [[전병헌]] 전 정무수석과 [[더불어민주당]] 복당이 완료되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6> 서울 [[성북구 을|성북 을]]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52,935 (41.67%)''' || '''당선 (1위)''' || '''초선'''[*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로 당적 변경]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41,487 (39.16%) || 낙선 (2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50,644 (52.21%)''' ||<|2> '''당선 (1위)''' || '''재선'''[* 2003년 열린우리당으로 당적 변경]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열린우리당)] || '''~~54,979 (50.99%)~~''' || ~~'''3선'''~~[* 06.2.10. 의원직 상실]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23,577 (29.07%) ||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통합당)] || '''56,177 (53.98%)''' || '''당선 (1위)''' || '''4선'''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계륜 14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계륜 15총.jpg|width=100%]]}}}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4대 총선}}}]] [[성북구 을|{{{#000000,#e5e5e5 (서울 성북구 을)}}}]]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5대 총선}}}]] [[성북구 을|{{{#000000,#e5e5e5 (서울 성북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계륜 16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계륜 17총.jpg|width=100%]]}}}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6대 총선}}}]] [[성북구 을|{{{#000000,#e5e5e5 (서울 성북구 을)}}}]]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7대 총선}}}]] [[성북구 을|{{{#000000,#e5e5e5 (서울 성북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계륜 18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계륜 19총.jpg|width=10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8대 총선}}}]] [[성북구 을|{{{#000000,#e5e5e5 (서울 성북구 을)}}}]]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9대 총선}}}]] [[성북구 을|{{{#000000,#e5e5e5 (서울 성북구 을)}}}]]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 1991 || 창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1 - 1995 || 합당[* [[민주당(1990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5 || 탈당[*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5 - 2000 || 창당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탈당[* 공천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복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2023 || 자동 당적 상실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3 - 현재 || 복당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54년 출생]][[분류:함평군 출신 인물]][[분류:고령 신씨]][[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광주고등학교(광주)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학생운동가]][[분류:민주운동가]][[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91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국민회의 국회의원]][[분류: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서울특별시 부시장]][[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