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후레쉬 프리큐어!)] ||<-3>
'''{{{+2 시폰}}}[br]シフォン|Chiffon'''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ge2.Chiffon.PNG.webp|width=50%]]}}}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설정화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PreCure_Chiffon.jpg|width=100%]]}}} || }}}}}}}}} || || '''현지화명'''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쉬퐁 || || '''성별''' ||<-2>[[여성]] || || '''출신''' ||<-2>[[스위츠 왕국]] || || '''주요 출연작''' ||<-2>[[후레쉬 프리큐어!]] (2009) || || '''인물 유형''' ||<-2>[[조연]], [[조력자]], [[마법소녀물/마스코트|마스코트]] || || '''첫등장''' ||<-2>[[후레쉬 프리큐어!]] 1화 || ||<|2> '''성우'''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코오로기 사토미]]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이재현(성우)|이재현]][* 전작에서 [[마스코 미카|신문지]]를 맡았으며 2년 후에 [[스위트 프리큐어♪]]에서 [[시라베 아코|최연소 프리큐어]]를 맡았고 5년 후에 [[마모(심쿵! 프리큐어)|지코츄 트리오]]를 맡는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후레쉬 프리큐어!]]에 등장하는 [[마법소녀물/마스코트|마스코트]]이자 이 작품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 심지어 [[프리큐어 올스타즈]]에서도 이러한 성향이 그대로 나왔다.] 이름의 유래는 [[시폰 케이크]]. == 작중 행적 == [[타르트(후레쉬 프리큐어!)|타르트]]와 같이 [[스위츠 왕국]]에서 온 [[인형]] 형태의 [[요정(프리큐어 시리즈)|요정]]으로, '''여자 아이'''(아기)이다.[* 다른 시리즈들의 요정들과 달리 성별에 대한 언급이나 외모로 강조가 잘 안 되다보니 일부 팬들은 남자 아이로 착각하기도 한다.] 아직 어려서 말은 못하며 처음에는 "프리"나 "큐어"라는 단어 이외에는 말하지 못했다. 시간이 지나서 [[히가시 세츠나]]가 프리큐어로 합류하고 네 명의 프리큐어 이름을 말한다. 한국판 더빙에서는 "채린"이라고 말하면서 안긴다. 평소에는 [[모모조노 러브]]의 방에서 인형으로 지내고 있으며, 자신이나 다른 사물들을 공중에 뜨게 하는 등 [[폴터가이스트]] 비슷한 능력을 보여주거나 다른 장소로 [[순간이동]]하기도 하는 등 여러가지 초능력을 지니고 있다.[* 초중반부에서는 초능력을 이용해 공중에 떠다녔으며, 후반부에서 스스로 걸을 수 있게 되었다.] 초능력을 쓸 때에는 [[이마]]에 있는 [[클로버]] [[무늬]]가 특정한 빛으로 빛나며, 귀를 조금 움직인다. 초능력을 이용해 장난을 치면서 프리큐어들을 고생시키기도 했으며,[* 타르트의 말에 의하면 모두의 미소를 좋아해서 모두를 웃게 만들고자 그런다고 한다.] 반대로 초능력을 사용해 전투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그리고 "[[피크룬]]"을 감지하거나 소환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프리큐어들에게 새로운 힘을 주기도 했다. 이외에도 악당 간부가 등장했을 때 감지하는 능력도 있는 듯. 그 외 피크룬은 초반부에는 시폰의 성장을 표현하는 장치이기도 했다. 8화에서 피룬이 나왔을 때는 이유식을 먹기 시작했고 13화에서 키룬이 나왔을 때는 말을 하기 시작했으며 블룬이 나온 직후에는 별 징후가 없어보였지만 바로 다음화에서 사람들 앞에선 인형인 척[* 치카라는 아이가 18화에서 중요 조연으로 나왔는데 이 아이가 잡고있을때 인형인 척 했다. 이후에 친하지고는 관뒀지만. 그 전엔 주로 카오루 등 움직여도 되는 상대 주변에만 있었고 4화에선 여기저기 쏘다니며 거하게 사고도 한번 쳤었다.] 할 수 있게 되었다. 아카룬 등장 이후부터는 피크룬과 별개로 시폰은 성장이 표현되게 된다. 상냥한 성격을 가졌으며, 병원에 입원해서 수술을 받는 것을 무서워했던 치카에게 용기를 북돋아주거나 러브가 여러 가지 힘든 일을 겪었을 때 이를 위로해주기도 했다. 하지만 가끔 타르트의 가벼운 행동에 일침을 가하거나 하는 등 나름 어른스러운 성격도 갖고 있다.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프리큐어들이 파워업함에 따라 시폰 본인도 성장하게 되었는데, 일례로 원래는 아기라서 [[우유]] 비슷한 "큐어 비탄"을 마셨지만 8화에서 성장하면서 이유식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형태는 [[햄버거]], 조각 [[케이크]] 등 다양히다.] 이때 타르트는 "이제 큐어비탄(우유)[* 근데 정작 제작 재료에 우유가 들어가지는 않는다(...)]은 필요 없어"라고 했지만, 여전히 큐어 비탄도 마신다(…) 이후 13화부터는 드디어 말을 할 수 있게 되면서 귀여움이 급증했으며, 18화부터 "피크룬"을 사용해 자신의 복장도 바꿀 수 있게 되면서 귀여움이 계속 증가중이다. 하지만 정작 시폰의 복장을 바꾸는 능력을 사용한 것은 그 에피소드가 거의 유일하다(...) 중반부까지는 그저 타르트와 함께 [[마법소녀물/마스코트|마스코트]]의 하나로 인식되었으나, 22화에서 초능력을 사용해 [[나키사케베]]의 [[카드]]의 기능을 정지시켜 카드의 사용으로 인해 고통스러워하던 [[이스(후레쉬 프리큐어!)|이스]]를 고통에서 해방시키거나 23화에서 이스가 사망하자 "아카룬"을 이스가 있는 곳으로 인도하면서 이스가 프리큐어로 각성하게 됨과 동시에 [[히가시 세츠나]]로서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하는 등 종종 무언가 엄청난 능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후반부에 들어서 [[라비린스(후레쉬 프리큐어!)|라비린스]]의 간부들이 "FUKO 게이지"를 모두 모으면서 인피니티가 모습을 드러냄과 동시에 시폰에게 이변이 생기기 시작한다. == 정체 == [include(틀:스포일러)] >'''"나의 이름은 인피니티. 무한의 메모리이니라."''' * 한국어 더빙판 >'''"내 이름은 인피니티. 무한한 메모리일지니."''' [[라비린스(후레쉬 프리큐어!)|라비린스]]의 간부들이 "FUKO 게이지"를 모두 모은 뒤 놀랍게도 [[라비린스(후레쉬 프리큐어!)|라비린스]]의 [[총통]] [[뫼비우스(후레쉬 프리큐어!)|뫼비우스]]가 그토록 찾고 있던 "무한 [[메모리]]"인 '''[[인피니티]]'''가 바로 시폰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단 인피니티로 각성하게 되면 [[죽은 눈|눈의 초점이 없어지고]], 온몸이 하얗게 빛남과 동시에 반대로 [[이마]]의 [[클로버]] [[무늬]]가 뿌옇게 흐려진다. 그리고 시폰 본인의 의식은 사라지게 되고, "나의 이름은 인피니티. 무한의 메모리이니라."라는 말을 반복하게 된다. [[:파일:프레시 동심파괴.png|링크]] [[뫼비우스(후레쉬 프리큐어!)|뫼비우스]]는 시폰이 인피니티라는 사실을 도중부터 눈치를 채고 있던 것으로 보이는데, 22화에서 시폰이 [[나키사케베]] 카드를 정지시킨 순간에 "카드의 기능이 멈췄다. '''이 힘은...'''"이라고 한 것으로 봐서 이 때 알아차린 것으로 보인다. 시폰이 인피니티로 각성한 이후 [[티라미수(후레쉬 프리큐어!)|티라미수]] [[장로]]에 의해 시폰에 대한 진실이 밝혀졌는데, 원래 시폰은 "스위츠 왕국" 출신이 아니고 어느 날 밤 "스위츠 왕국"으로 떨어진 [[유성]]에 "클로버 박스"와 함께 실려 있었다. 이후 티라미수와 [[와플(후레쉬 프리큐어!)|와플]]이 왕국에 전해저 내려오는 [[예언]]서를 보고는 머지않아 시폰을 빼앗기 위해 [[악의 조직]]([[라비린스(후레쉬 프리큐어!)|라비린스]])이 움직이게 될 것을 미리 예측하게 되었으며, 이를 막기 위해 티라미수가 시폰의 정체를 숨기고 은밀히 키우게 되었다. 인피니티로 각성한 이후 어디론가 사라졌으며, 다른 세계[* 그 때 나온 배경이 해당 작품의 극장판의 주 배경이었던 장난감 나라였다.]를 떠돌다가 "클로버 박스"의 힘으로 프리큐어들의 품에 돌아왔다. 하지만 아직 인피니티로 각성한 상태 그대로였는데, "클로버 박스"에서 나오는 음악이 [[자장가]]로 바뀐 뒤 그 자장가를 듣고는 원래대로 되돌아올 수 있었다. 이후 시폰이 인피니티로 각성하면 라비린스의 간부들이 시폰을 빼앗기 위해 움직이고, 반대로 프리큐어들은 시폰을 지키기 위해 전투를 벌인 뒤 "클로버 박스"를 사용해서 시폰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양상으로 스토리가 진행었으며, 43화에서 시폰이 인피니티로 각성하게 된 원인인 "FUKO 게이지"를 파괴하는 데 성공하며 인피니티로의 각성이 멈춰진 듯 했다. 하지만 44화에서 [[노저(후레쉬 프리큐어!)|노저]]가 만든 [[풀피리]]로 인해 다시 '''강제적으로''' 인피니티로 각성했으며, 결국 라비린스의 손에 넘어가고 말았다. 이후 뫼비우스가 인피니티로 각성한 시폰을 이용해 모든 [[패러렐 월드]]를 관리하기에 이르렀으나, 결국 시폰을 구하기 위해 라비린스로 간 프리큐어들과 [[타르트(후레쉬 프리큐어!)|타르트]], [[아즈키나]], 그리고 라비린스 사람들의 마음이 모여 "러빙 트루 하트"가 발동되어 원래대로 되돌아올 수 있었다. 이후 [[최후의 발악|마지막 순간]]에 뫼비우스가 [[자폭]]을 시도했으나 초능력을 사용하여 일행 모두를 안전하게 지켜주었다. --결국 뫼비우스의 자폭은 희대의 [[자멸|뻘짓]]으로 끝났다.-- 최종 전투가 끝난 이후에는 모모조노 일가와 함께 찍은 [[사진]]을 간직하고 [[타르트(후레쉬 프리큐어!)|타르트]]와 함께 "스위츠 왕국"으로 돌아갔다. 최종결전으로부터 1년 후의 이야기를 다루는 소설판에서는 왕국으로 돌아간 이후에도 타르트와 함께 클로버 타운 스트리트와 스위츠 왕국, 라비린스를 왔다갔다 하고 있다. == [[프리큐어 올스타즈]]에서 == DX3에서 같은 팀인 [[타르트(후레쉬 프리큐어!)|타르트]]와 나머지 선배 요정들과 후배 요정인 [[시프레]], [[코프레]], [[포프리]], [[하미(스위트 프리큐어♪)|하미]]와 함께 프리큐어들과 따로 떨어져서 [[섀도우(Yes! 프리큐어 5)|섀도우]]와 맞서게 되었다. New Stage 1에서는 요정들의 파티 현장에 나타난 [[퓨전(프리큐어 올스타즈)|퓨전]]의 조각을 초능력으로 병 안으로 순간이동 시켜 가두어 난장판이 된 파티 현장을 정리하였다. == 틀 둘러보기 == [include(틀:프리큐어 시리즈 주역 요정)] [[분류:후레쉬 프리큐어!/등장인물]][[분류:프리큐어 시리즈/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