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강남시티투어.jpg|width=100%]] ||<:> [[파일:MAN_Lion's_Double-decker(BUTI).jpg|width=100%]] || ||<:> '''[[강남구|강남]]시티투어버스'''[* 정식 명칭은 [[http://www.seoulcitybus.com/sub.php?PN=course_around&mainNum=2&subNum=14|어라운드 강남시티투어버스]]이다.] ||<:> '''[[부산광역시]] 시티투어버스''' || [목차] == 개요 == {{{+1 Tour bus service}}} [[관광]]을 목적으로 정해진 구간을 돌면서 관광객들에게 [[랜드마크|명소]] 소개 등을 하는 노선[[버스]]이자 [[전세버스]].[* 대체적으로 관광버스 업체에서 운행한다.] 한국에서 시티투어버스를 운영하려면 시내순환관광업 사업자 지정과 [[한정면허 버스|한정면허]]를 받아야 한다. 보통은 구경을 더 편하게 하라고 [[2층버스]]를 쓰는 경우가 많다. 아니면 이왕 비싼 돈 주고 타는거 편하게 다니라고 준고속형 이상의 고급 차량을 넣어준다.[* 다만 2000년 10월에 첫 등장한 서울 시티투어버스는 [[현대 에어로시티]] 전중문 좌석형 차량을 썼다. 이 당시 서울시는 [[천연가스버스]]의 지속적인 도입을 추진했으며, 서울 시티투어버스가 처음 생긴 2000년에는 아직 관광버스용 고급차량에는 천연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이 존재하지 않았다.(천연가스 옵션의 고급버스는 2003년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해당 차량은 2009년 [[현대 유니버스]] 전중문 좌석형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아예 [[콘셉트]]를 정해서 따로 주문제작을 한 [[노면전차|트롤리]]처럼 생긴 차량들도 종종 보인다. 2층버스의 경우 상단은 개방형인 경우가 흔하며, 외국인 관광객을 배려하여 오디오가이드도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 시내버스에 비해서는 요금이 훨씬 더 비싸다. 대도시의 경우, 패스 개념으로 표를 사고 난 후 일정시간 동안[* 주로 하루 단위로 계산한다. 24시간이 아닌 그날 첫차부터 마지막차까지.] 자유롭게 승/하차가 가능한 경우[* 영어로 Hop-on Hop-off, 줄여서 HOHO라고도 많이 표기한다. 전 세계 어디든 관광 수요가 많은 대도시라면 시내 주요 관광지 인근에서 이런 버스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가 많은데, 이런 물건들은 [[시내버스]]나 다름없어서 서울처럼 버스운행정보시스템에 노선을 등록해 버리는 곳도 없지는 않다. 물론 [[베를린 버스|아예 시내버스 노선을 시티투어로 짜는 동네]]도 있다. 차량도 2층버스를 넣어 주는 게 아주 노림수다. 반면, 중소도시에서는 노선형 순환버스처럼 운영을 하면 텅텅 비어 적자가 날게 뻔하기 때문에, 요일별로 코스를 정해 두고 패키지 관광상품처럼 당일투어코스로 운영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지역에 따라 비용이 저렴한 버스는 이동만 제공하며, 조금 더 비싼 버스는 가이드도 포함되어 있다. 예약이 필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황에 따라 빈자리가 있으면 출발장소에 그냥 온 승객을 받아주기도 한다.] 외국인은 거의 이용이 어렵다. == 운영 도시 == === 한국 === '''굵은 글씨'''는 버스정보시스템에 노선이 등록되어 있거나 운행 및 도착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지자체다. *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1966년 5월 18일에 신설되었다. [[http://photoarchives.seoul.go.kr/photo/view/83805?only=true|#]]],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 경기도: [[성남시]], [[수원시]], [[화성시]], [[연천군]], [[고양시]], [[가평군]], [[양주시]], [[평택시]], [[안성시]], [[안산시]], [[광명시]], [[파주시]], [[여주시]] * 강원도: [[춘천시]], [[원주시]], [[삼척시]], [[속초시]], [[강릉시]], [[정선군]], [[인제군]], [[홍천군]] * 충청북도: [[청주시]], [[제천시]], [[충주시]] * 충청남도: [[공주시]], [[아산시]],[[서산시]], [[부여군]] * 전라북도: [[익산시]] *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 [[목포시]] *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안동시]] * 경상남도: [[창원시]], [[거제시]], [[남해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 === 일본 === * 도쿄→유메노시타마치 : [[도영 버스]]에서 운영하는 시내관광버스. * 아카이쿠츠, 베이사이드 라인 : [[요코하마 시영 버스]]에서 운영하는 시티투어버스. 하토 버스 등의 정기관광버스들은 시내버스 면허를 받아 운행한다는 점이 한국의 시티투어버스와 비슷하다. === 아메리카 === * [[워싱턴 DC|워싱턴]] DC Circulator : DC 도심부의 황금 노선을 다닌다. [[SmarTrip]]으로는 지하철 환승도 된다(...) === 유럽 === 관광지로 유명한 도시에는 대부분 사설 시티투어버스가 있다. 이하의 노선은 분명 [[시내버스]]인데 관광용 노선인 것. * [[런던 버스|런던]] [[런던 버스 9|9H]], [[런던 버스 15|15H]] : 대놓고 루트마스터만 집어넣는 관광용 맞춤 노선 * [[베를린 버스|베를린]] [[베를린 버스 100|100]], [[베를린 버스 200|200]], [[베를린 버스 300|300]] : 자타공인 베를린 시티투어버스 == 비꼬는 의미의 시티투어버스 == 괴상한 선형으로 정해진 구간을 돈다는 점 때문에, 심지를 구석구석 후비고 다니는 시내버스를 시티투어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굴곡 노선/버스|굴곡 노선]]과 비슷한 의미이지만, '''도심지'''를 쑤시고 다녀야 시티투어버스라고 불리는 듯 하다. === 예시 === [[굴곡 노선/버스]] 참조. == 매체에서의 시티투어버스 == * [[꼬마버스 타요|씨투]] : 꼬마버스 타요에 나오는 어른버스. 자세한 것은 [[꼬마버스 타요|문서 참조]] [[분류:여행]][[분류:버스]][[분류: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