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트로엥|[[파일:시트로엥 로고(2019-2021).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시트로엥 C1.png|width=100%]]}}} || || {{{#fff '''C1'''}}} || [목차] '''Citroen C1''' == 개요 ==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인 [[PSA 그룹]]의 산하 브랜드인 [[시트로엥]]에서 생산했던 차량이며, [[푸조 107]]과 [[토요타 아이고]]의 형제차이다. == 상세 == === 1세대(2005~2014) === [[파일:2005 시트로엥 C1.png|width=700]] [[토요타]]와 [[PSA 그룹]]간의 프로젝트인 'BZero'에서 시작되었으며, [[2005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최초 공개가 이루어진 후 같은 해 6월에 출시되었다. [[푸조 107]]과는 헤드램프 및 테일램프, 전면 범퍼의 형상이 다르다는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같은 차량이다. 4인승 차량이나 3도어 및 5도어 사양으로 등장했고, [[전륜구동]] 방식의 차량이며 전장은 3,435mm, 전폭은 1,630mm, 전고는 1,468mm, 휠베이스는 2,340mm, 공차중량은 805kg이다. 생산은 [[체코]] 콜린 시에 위치한 TPCA[* '''T'''oyota '''P'''eugeot '''C'''itroën '''A'''utomobile의 약자]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2세대 역시 같은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푸조 107]]처럼 후미등 클러스터는 C-필러 없이 뒷문의 가장자리부터 리어 윈도우까지 연결되며, 가솔린 엔진의 연비는 약 21.7km/L, 디젤 엔진의 연비는 약 24.4km/L였다. 이로 인해 [[독일]] [[슈피겔]] 지에서는 [[토요타 프리우스]] 다음으로 가솔린 엔진에서, [[스마트 포투]] 다음으로 디젤 엔진 부분에서 연비가 좋은 차량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2010년]] 1월에는 [[토요타 리콜 사태]]의 여파로 [[토요타 아이고|아이고]], [[푸조 107|107]] 등과 합쳐 총 10만대 이하의 차량을 리콜한다고 발표했는데, 다른 [[토요타]] 차량들처럼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거나 때는 과정에서 페달이 눌려진 상태로 떨어지지 않는 결함이 있었다는 이유에서였다. [[영국]] 시장에서는 기본형을 '바이브'로 판매했는데, 3도어/5도어 사양이 있었고, 중앙 잠금 장치 및 전자식 윈도우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1.0L 엔진만 적용된 [[깡통]] 그 자체였다. 고급형인 '리듬'에서는 원격 중앙 잠금 장치, 컬러 코드 윙 미러, 2개의 측면 에어백 및 엔진 레브 카운터가 적용되었다. 여기서는 1.0L와 1.4L 엔진이 탑재되었다. 최고급형은 '코드' 였는데, 3도어/5도어로 제공되었으며 14인치 알로이 휠, 반(半) 가죽 시트, 크롬 실내 장식, 글로브 박스 커버 등이 추가되었다. [[파일:2009 C1.png|width=700]] [[2009년]]형 C1 [[2009년]] 1월에 [[토요타 아이고]], [[푸조 107]]과 함께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 새로운 C1은 시트로엥의 패밀리룩과 함께 새로운 그릴 및 전면 범퍼가 적용된다. 기존의 바이브 사양은 'VT', 리듬 사양은 'VTR'로 변경되었다. 시트 천과 환기 제어 장치의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색상이 있는 전면 범퍼와 새로워진 휠이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의 경우 1.0L 엔진의 Co2 배출량은 106g이었으나, 연비는 25.6km/L로 증가하였다. 1.4L는 높은 사양에서 기존 그대로 적용되며, 색상 3가지가 추가되었다. [[파일:2012 C1.png|width=700]] [[2012년]]형 C1 [[2012년]] 3월에 2차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 새로운 범퍼, LED 주간주행등, 블루 페인트 색상, 개선된 연비, 스티어링 휠 개선, CD 플레이어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또한 플래티넘과 에디션 사양 2개가 추가되었으며, 알로이 휠, 가죽 스티어링 휠, 기어 스틱이 기본 적용되었다. 또한 새로운 기본 사양으로 VTR+가 이어받았다. 내구도의 경우, 독일 자동차 클럽에서의 자료조사에 따르면, 소형차 중에서 [[푸조 107]], [[토요타 아이고]]를 포함해 1~4년 차량이 잔고장이 없는 차량으로 뽑히기도 했다.[* 반대로, [[GM대우 마티즈|쉐보레 마티즈]] 0년~3년된 차량과 [[스마트 포투]] 4~5년된 차량은 잔고장이 심하다고 까인다.] ==== 특별 사양 ==== || [[파일:다마스 블루 C1.png|width=450]] || || C1 쿨 사양(다마스 블루) || 그 외 특별 사양으로는 바이브 사양을 기반으로 한 '쿨'은 에어컨, 파란색 시트 천, 파란색 대시보드 인서트 등이 적용되며, 리피잔 화이트 또는 다마스 블루 색상이 적용되었다. 다마스보다는 약간 색이 밝고 광택의 차이가 있다. [[파일:C1 에어플레이.png|width=700]] C1 에어플레이 사양 리듬 사양을 기반으로 한 '에어플레이'는 [[아이팟]], 아이팟 크래들, 4GB 아이팟 나노 연결 및 컬러 대시보드 인서트가 적용된다. 또한 초기의 차량들은 밝고 소용돌이가 적용된 데칼이 붙어 있었다. 이 사양은 [[2006년]] 7월 브리티시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파일:C1 GT.png|width=700]] 또한 프랑코 스바로라는 디자이너는 이전에 만든 [[시트로엥 사라|사라 피카소 컨셉트]] 이후 C1 GT 컨셉트카를 만들기도 했다. 여기에는 C2VTR 및 C4 WRC 랠리카의 브레이크와 123마력을 내도록 튜닝된 1.6L 엔진, 과격한 형상의 와이드 바디, 그리고 걸 윙 도어가 적용되며 210km/h까지 주파했다고 한다. [[파일:C1 엔터프라이즈.png|width=700]] [[포르투갈]]에서는 1.4L 엔진을 단 3도어 사양을 상용 버전으로 개선한 '엔터프라이즈'라는 밴이 있었는데, 형제차인 [[푸조 107]]에서도 제공되었다. [[파일:C1 EV.jpg|width=700]] 전기차 사양인 C1 ev'ie [[영국]] 시장에서는 [[2009년]] 4월 30일 이후부터 전기차 사양인 C1 ev'ie 의 판매를 시작했는데, 차량의 가격은 일반 차량의 2배 가량인 16,850파운드[* 원화가치 약 2,606만원]에 판매되었다. [[파일:C1 스플래시.png|width=700]] C1 스플래시 1차 [[페이스리프트]] 이후 한정 사양인 '스플래시'는 출시 당시 등장했는데, 기본형인 'VT'를 기반으로 했다. 대신에 에어컨, CD 플레이어 및 전자식 전면 윈도우가 적용되었다. 색상은 스플래시 블루 및 리피잔 화이트 색상이 있었으며, 파란색은 흰색 도어 미러를, 흰색 차량은 검은색 광택 도어 미러를 갖추고 있었다. ==== 안전성 ==== [youtube(i2-aFB8PhdU)] 2005년형 충돌테스트(유로 NCAP) |||||| '''{{{#ffffff 시트로엥 C1 충돌테스트 결과(2005년형,유로 NCAP)}}}''' || || '''구분''' || '''점수''' || '''별점''' || || '''어른 탑승객''' || 26점 || {{{#FFFF00 ★★★★}}}☆ || || '''어린이 탑승객''' || 37점 || {{{#FFFF00 ★★★★}}}☆ || || '''보행자''' || 14점 || {{{#FFFF00 ★★}}}☆☆☆ || || '''{{{#ffffff 시트로엥 C1 충돌테스트 결과(2012년형,유로 NCAP)}}}''' || || {{{#FFFF00 ★★★}}}☆☆ || ==== 파워트레인 ==== |||||| '''{{{#ffffff 시트로엥 C1 파워트레인}}}''' || || 구분 || 1.0L 가솔린 엔진 || 1.4L 디젤 엔진 || || 엔진 유형 || [[토요타]] 1KR-FE형 I3 엔진 || [[포드(자동차)|포드]] DV4형 I4 엔진 || || 최대 출력 || 67마력/6,000rpm || 54마력/4,000rpm || || 최대 토크 || 93Nm/3,600rpm || 130Nm/1,750rpm || || 제로백 || 14.3초 || 15.6초 || || 최고 속도 || 158km/h || 140km/h || || Co2 배출량(g/km) || 106g || 109g || || 적용 변속기 |||| 5단 [[수동변속기]]/5단 [[반자동 변속기]] || === 2세대(2014~2021) === [[파일:2014 C1.png|width=700]] [[2014년]]형 C1 3세대 [[토요타 바이오스]]와 아시아 시장에서 판매하는 [[토요타 야리스]]의 디자인을 닮은 [[토요타 아이고]]와는 차이가 존재한다. 1세대가 [[푸조 107]]과 형제차였다면, 2세대는 [[푸조 108]]과 형제차였다. [[2014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첫 선을 보였으며, 1.4L 엔진이 1.2L [[PSA 그룹]]제 EB2형 I3 가솔린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파일:C1 컬러.gif|width=700]] [[2020년]]형 C1 컬러 [[2018년]] 4월에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 2018년 10월, 시트로엥 CEO 린다 잭슨(Linda Jackson)이 차기 시트로엥 C1 파워트레인을 모두 전동화하는 방향(하이브리드 또는 전기차)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다음 세대 푸조 108과 시트로엥 C1의 경우 파워트레인의 큰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아직 다음세대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도요타와 계속 협업을 할건지 말건지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즉, 뜻이 같다면 하는 것이고 아님 끝낼 수 있다는 것. [[https://www.carscoops.com/2018/10/third-gen-citroen-c1-might-go-electric-route/|#]] [[https://insideevs.com/next-generation-citroen-c1-peugeot-108-toyota-aygo-possible-electric/|#]] PSA 그룹의 결정에 따라 토요타 아이고 3세대의 개발방향 역시 정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2018년 11월 말, 토요타와 PSA그룹은 2021년부로 토요타 아이고, 시트로엥 C1, 푸조 108의 공동개발과 생산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는 기사가 떴다. 따라서 3세대 아이고부터는 시트로엥 C1, 푸조 108과는 완전히 별개의 차가 될 예정이다. 대신 LCV(Light Commercial Vehicles) 개발로 협력 관계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한다. [[https://www.carscoops.com/2018/11/toyota-psa-end-joint-production-aygo-peugeot-108-citroen-c1-city-cars/|#]] [[https://www.carscoops.com/2018/11/toyota-psa-confirm-end-joint-city-car-production-2021/|#]] == 둘러보기 == [include(틀:시트로엥의 차량)] [[분류:시트로엥/생산차량]][[분류:경형 해치백]][[분류:2005년 출시]][[분류:202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