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의 시초자, rd1=시초자)] [include(틀:하스스톤/직업 전설/티탄)] [include(틀:죽음의 기사(하스스톤))] [목차] == 개요 == ||<-6>
|| || '''한글명''' || 시초자 ||<-4><|8> [[파일:시초자.png|width=200]] || || '''영문명''' || The Primus || || '''카드 세트''' || 티탄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죽음의 기사}}} || || '''종족''' || - || || '''[[https://cards.hearthpwn.com/enUS/gifs/TTN_737.gif?184727|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8 || '''공격력''' || 7 || '''생명력''' || 9 || || '''효과''' ||<-5>'''티탄''', 이 카드의 능력을 사용한 후에, 그 룬 카드를 '''발견'''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5>티탄의 판테온이 있듯이 어둠땅에는 강력한 통치자들로 구성된 죽음의 판테온도 존재합니다.[br]''(As there is a Pantheon of titans, so is there also a Pantheon of Death, comprised of powerful rulers in the Shadowlands.)'' || >소환: 룬이 네 운명을 정하리라. ''(The runes decide your fate.)'' >공격: 룬에 속박되어라! ''(Bound by the runes.)'' >혈기의 룬 발동: 혈기, 생명의 잔재다. ''(Blood, remnants of life.)'' >부정의 룬 발동: 부정, 죽음의 상징이다. ''(Unholy, symbol of death.)'' >냉기의 룬 발동: 냉기, 쓰라림의 징표다. ''(Frost, mark of the bitter.)'' ||<-3>
<#eaeaea>|| ||<:> '''한글명''' ||<:> 혈기의 룬 ||<|10><:> [[파일:혈기의 룬.png|width=200]] || ||<:> '''영문명''' ||<:> Runes of Blood || ||<:> '''카드 세트''' ||<:> 티탄 || ||<:> '''카드 종류''' ||<:> 주문(토큰)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죽음의 기사}}} || ||<:> '''속성''' ||<:> - || ||<:>'''[[https://cards.hearthpwn.com/enUS/gifs/TTN_737t.gif?184727|황금 카드]]''' ||<:> 황금 시초자의 티탄 || || '''룬''' ||<-2>[[파일:혈기룬.png|width=40]] || ||<:> '''비용''' ||<:> - || ||<:> '''효과''' ||||적 하수인을 처치합니다. 이 하수인과 내 영웅이 그 하수인의 생명력을 얻습니다. || ||<-3>
<#eaeaea>|| ||<:> '''한글명''' ||<:> 부정의 룬 ||<|10><:> [[파일:부정의 룬.png|width=200]] || ||<:> '''영문명''' ||<:> Runes of the Unholy || ||<:> '''카드 세트''' ||<:> 티탄 || ||<:> '''카드 종류''' ||<:> 주문(토큰)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죽음의 기사}}} || ||<:> '''속성''' ||<:> - || ||<:>'''[[https://cards.hearthpwn.com/enUS/gifs/TTN_737t1.gif?184727|황금 카드]]''' ||<:> 황금 시초자의 티탄 || || '''룬''' ||<-2>[[파일:부정룬.png|width=40]] || ||<:> '''비용''' ||<:> - || ||<:> '''효과''' ||||'''도발'''과 '''환생''' 능력이 있는 3/3 언데드를 둘 소환합니다. || ||<-6>
|| || '''한글명''' || 시초자의 종복 ||<-4><|8> [[파일:시초자의 종복.png|width=200]] || || '''영문명''' || Servant of the Primus || || '''카드 세트''' || 티탄 || || '''카드 종류''' || 하수인(토큰) || || '''등급''' || 기본 || || '''직업 제한''' || {{{#black 죽음의 기사}}} || || '''종족''' || 언데드 || || '''[[https://cards.hearthpwn.com/enUS/gifs/TTN_737t2.gif?184727|황금 카드]]''' || 황금 부정의 룬의 효과 || || '''비용''' || 3 || '''공격력''' || 3 || '''생명력''' || 3 || || '''효과''' ||<-5>'''도발''', '''환생''' || >소환: 죽음은 삶의 증상일 뿐. ''(Death is a symptom of life.)'' >공격: 시초자를 섬겨라! ''(Serve the Primus!)'' ||<-3>
<#eaeaea>|| ||<:> '''한글명''' ||<:> 냉기의 룬 ||<|10><:> [[파일:냉기의 룬.png|width=200]] || ||<:> '''영문명''' ||<:> Runes of Frost || ||<:> '''카드 세트''' ||<:> 티탄 || ||<:> '''카드 종류''' ||<:> 주문(토큰)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죽음의 기사}}} || ||<:> '''속성''' ||<:> - || ||<:>'''[[https://cards.hearthpwn.com/enUS/gifs/TTN_737t3.gif?184727|황금 카드]]''' ||<:> 황금 시초자의 티탄 || || '''룬''' ||<-2>[[파일:냉기룬.png|width=40]] || ||<:> '''비용''' ||<:> - || ||<:> '''효과''' ||||내가 시전하는 다음 주문의 비용이 (3) 감소하고 '''주문 공격력 +3'''을 얻습니다. || == 상세 == [[하스스톤]] 확장팩 [[티탄(하스스톤)|티탄]]의 죽음의 기사 전설. [[말드락서스]]에서 명예와 영광을 빛낸 영혼들을 관장하며, [[어둠땅]]을 수호하는 군대인 [[말드락시]]를 통솔하는 '''시초자'''다.[* 티탄급의 위상을 가진 무궁한 존재이긴 하지만, 사실 따지고 보면 티탄은 아니다.] 능력들에 룬이 달려있지만 시초자 자체는 룬이 필요 없는 카드이므로 덱을 짤 때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시초자의 발견 능력에서 나오는 카드풀에만 관여한다. 능력 중 냉기의 룬을 사용하면 냉기 룬 카드를 발견하는 식이다. 즉 각각 혈기,냉기,역병 계열의 기술이란걸 보여주기 위해 룬을 박아놓은것이라 보면 된다. == 평가 == === 출시 전 === 혈기 룬은 [[나탈리 세린]]의 능력에 더해서, 그만큼 내 영웅의 체력을 올려주면서 혈기 룬 카드까지 발견하는 엄청난 상위호환 능력으로, 혈기 룬 자체에도 [[패치워크(하스스톤)|패치워크]]같은 오버밸류의 카드가 많으므로 가장 많이 사용될 것으로 추정된다. 냉기 룬의 경우 빙하 진군보다 감소량이 출중한데다 주문 공격력까지 먹여주기에 뼈아픈 죽창딜을 넣을 수 있다. '''당장 냉혹한 겨울만 해도 1코 광역 5딜에 카드를 뽑는 미친 카드가 된다!''' 특히, 효과 자체가 "다음 주문"이기 때문에 당장 낸 턴에 연계하지 않아도 된다. 부정 룬의 경우, 나쁜 효과는 아니지만 다른 효과에 비해서는 파격적이지 않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을 듯 하다. 룬을 갖고 있지 않은 카드라 죽기의 룬 타입에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이긴 하지만, 티탄의 각 세 능력이 룬 타입과 방향성이 비슷하다. 특히, 혈기와 궁합이 잘 맞는 티탄 능력이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진 터라 혈죽은 필수적으로 정도가 채용할 것이라 예측됐다. === 출시 후 === 출시 전 예상되었듯, '역병'이라는 컨셉에 묻혀서 범용적으로 활용하기 좋은 신카드를 못 받은 죽기에게 한줄기 빛이 되었다. 대부분 시초자를 내는 타이밍에는 혈기 능력을 사용하여 상대의 위험한 하수인을 제압 후, 제압이나 생명력 회복에 특화된 혈기 카드를 발견해 이후의 필드/체력 컨트롤을 돕게 되며, 운이 좋다면 패치워크를 발견해서 시프같은 핵심 하수인들을 태울 수도 있다. 능력의 효과로 체력이 높아진 시초자는 확실한 단일/광역 제압기가 아니면 하수인 간 교환으로는 잡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다음 턴에도 생존하는 경우가 꽤 잦은 티탄이기도 하다. 초기에는 저평가되었던 부정 능력도 상당히 괜찮은 효과로, 빈 필드에서 주도권을 잡을 때 유용하다. 명치를 지키는데 특화된 토큰인데다가, 광역기 하나로는 제대로 정리가 안되는 필드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초자는 제거되더라도 토큰은 환생까지 남아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발견 카드 중에 이번에 추가된 헬리아를 발견한다면, 컨트롤 매치에서 괴상한 승리를 이끌어낼수도 있다. 냉기는 무난한 두 번째 능력으로 픽되지만, 대부분 냉기 주문을 넣지 않다보니 냉기 발견에서 실력으로 냉기 주문을 뽑아야 한다. 쓸모없는 냉기 하수인이나 무기도 꽤 많기 때문에, 냉혹한 겨울이나 울부짖는 한파가 나오는 경우는 꽤 드문 편이다. 결론적으로는 3혈, 3부, 3냉, 역병, 무지개 모든 덱에 다 들어간다. 어그로 덱에서도 쓰일 수 있는 성능이다. 여담으로 매치업에 따라 무조건 아끼거나 때로는 봉인해야 될 경우도 있다. 혈기 미러전 시에는 최대한 시초자를 아끼고 있다가 상대 시초자를 시초자로 잡아낸다면 약 20에 가까운 영웅 체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체력 차이는 게임을 뒤집을 수 있는 차이다.복사계 카드인 반향을 사용하는 흑마법사와 마법사를 상대로는 여유가 된다면 반향 2장이 더 빠졌을 때 내는 것이 좋고, 내더라도 상대가 복사한 시초자의 혈기로 내 시초자를 잡는 불상사가 생기지 않게 혈기를 쓰는 것이 강요된다. 맨날 훔쳐대는 사제 상대로는 내면 복사당한다는 생각으로 내야 하며, 내지 않고 게임을 끝낼 수 있다면 안내는 것이 좋다. 특유의 파워로 인해 사제는 게임을 이기든 지든 시초자를 뻇으려고 할 것이다. 상술한 특징들 덕분에, [[해방된 요그사론]]이 날뛰게 된 메타가 도래함에 따라 시초자를 내는 것은 더더욱 위험부담이 커지게 되었다. == 기타 == 사실 시초자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에서 [[무궁한 존재들]]의 일원으로, 죽음 속성을 맡은 최고위 존재라는 점에서 질서 속성의 최고위 존재인 [[티탄(워크래프트 시리즈)|티탄]]과 동급이기는 하나 기본적으로는 티탄과 다른 종족이다. 그럼에도 하스스톤에서 티탄으로 등장한 것은, 하스스톤의 직업은 11개인데 와우를 통틀어 존재하는 티탄은 8명밖에 안 되기 때문에 티탄과 동급의 개체를 어디선가 끌어오거나 새로 만들어야 했고, 시초자의 경우 [[어둠땅|죽음 영역]]에 따로 있는 판테온의 일원이며, 그중 가장 죽음의 기사와 연관이 깊은 대상이기 때문에 등장했다. 시초자는 죽음의 기사의 상징과도 같은 [[서리한]]과 지배의 투구를 만든 장본인이며, 죽음의 세계에서 그가 담당하는 영역은 강령술과 괴저 마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투쟁의 영역인 [[말드락서스]]인 등 여러모로 죽음의 기사와 잘 어울리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심지어 인게임 내에서의 성약 선택률도 말드락서스 세력인 강령군주의 선택률이 가장 높았다. 컨셉과 성능을 모두 잡았기 때문이다.] 티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별 이견은 없던 편. 이후 아예 고대 신에 불과한 [[해방된 요그사론]]이 티탄으로 나오면서 선녀 취급을 받고 있다. 같은 무궁한 존재들인 [[대영주 데나트리우스(하스스톤)|대영주 데나트리우스]]와 [[간수(하스스톤)|간수]]의 경우 비용 10에 10/10짜리 하수인으로 나왔으나 시초자는 그 규칙을 지키지 않았다. 다만 다른 케이스로 [[심연의 신 느조스]]와 [[크툰(하스스톤)|크툰]] 또한 코스트 패치로 인해 10코스트라는 고대 신의 규칙을 깬 전적이 있어서 이상하지는 않다. [[분류:하스스톤/카드/무종족 하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