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튀르키예의 행정구역)] [[분류:튀르키예의 행정구역]] [[파일:시르트 터키 4.jpg]] ||[[파일:터키 시르트 3.jpg|width=303]]||[[파일:시르트 터키 3.jpg|width=600]]|| || 20세기 초엽 세워진 시계탑 || 울루 자미의 미나렛. 초기 튀르크 무슬림들의 중앙아시아 모스크 양식이 두드러진다 || [목차] == 개요 == [[튀르키예어]] Siirt[* 오스만어의 ع (ayın) 자음이 [[인두음]]으로 발현하는 아랍어와 달리 오스만어에서는 모음 i와 동화되었지만 이것이 i가 두번 겹친다고 해도 장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발음은 si-irt로 2음절이다.] [[아랍어]], [[오스만어]] {{{+1 سعرد }}} [[쿠르드어]] Sêrt [[시리아어]] ܣܥܪܬ [[아르메니아어]] Սղերդ [[그리스어]] Σύρτη [[튀르키예]] 동남부의 도시. [[바트만]]에서 동쪽으로 70km, [[비틀리스]]에서 서남쪽으로 50km, [[이즈미트]]에서 서쪽으로 50km, [[지즈레]]에서 서북쪽으로 60km 떨어진 구릉 지대에 위치한다. 인구는 16만명으로, 시이르트 도의 주도이다. 옛 지명은 시르테로, [[아시리아인]] 기독교도들이 다수 거주하였으나 20세기 초엽 [[아시리아인 대학살]]로 사라져 현재는 [[쿠르드인]]과 [[아랍인]] 무슬림이 주로 거주한다.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의 부인 에미네 에르도안이 시이르트에서 상경한 아랍인 가문 출신이라 한다. 시내에는 울루 자미와 시계탑 등의 볼거리가 있고, 서북쪽 7km 지점에 시이르트 공항이 자리한다. [[피스타치오]]가 유명한 곳이다. 튀르키예어로 피스타치오를 Antep fıstığı([[가지안테프|안테프]] 땅콩)이라고 불리지만 이곳 사람들은 Siirt fıstığı (시이르트 땅콩)이라고 부른다. 사실 자세히보면 둘의 품종이 살짝 다르기 때문에 외형면에서 조금 다르긴 하다. 시이르트산 피스타치오는 껍질색이 좀 더 연하고, 안테프산 피스타치오에 비해 더 크고 맛이 싱겁다. == 역사 == [[파일:터키 시르트 4.jpg|width=920]] 서남쪽 4km 지점 울루차이 강가에 남아있는 모르 야콥 교회 유구 상고대 후르리 인들이 정착하여 고대에는 사이르드라 불렸고, [[동로마 제국]]기에는 그리스식 지명인 시르테 (Σύρτη)라 명명되어 주교구가 되었다. 현지 성당에 보존된 시이르트 연대기는 7세기 중엽 페르시아 지역 기독교 역사를 다루는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중세에는 서남쪽 50km 지점의 [[하산케이프]]에 밀려 소도시에 불과했지만 14세기부터 점차 발전하여 17세기에는 아시리아 문화권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1858년에는 [[칼데아 가톨릭]]의 대주교구가 설치될 정도였다. 하지만 1915년 대학살 당시 대주교 아다이 셰이르를 포함한 기독교도 주민 대부분이 학살되었고, 여러 시리아어 기록물이 소실되었다. 1924년 시이르트 도에 편성되었고, 1965년까지 외국인의 출입이 금지되었다. 1987년부터 1999년까지는 계엄령 지구 (OHAL)에 소속되었다. 1990년에는 서부 바트만 일대가 자체적인 도로 편성되어 떨어져 나갔다. == 갤러리 : 울루 자미 == [[파일:터키 시르트.jpg|width=920]] [[파일:터키 시르트 2.jpg|width=920]] ||[[파일:시르트 터키 1.jpg|width=336]]||[[파일:시르트 터키 2.jpg|width=542]]|| [[파일:터키 시르트 1.jpg|width=920]] 1129년에 세워져 1965년에 재건된 울루 자미 (대사원) [[분류:튀르키예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