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市議會站}}}||<:>{{{+1 City Council Station}}}|| ||<-6><:>[[가오슝 첩운|{{{#000000 '''가오슝 첩운'''}}}]]|| ||<-6><:>{{{+2 '''시의회역'''}}}[br]'''(옛터)'''|| ||<:><-2>[[시쯔완역|{{{#!html
시쯔완 방면}}}]][[옌청푸역|옌청푸]][br]← 1.3 ㎞||<:><-2>[[가오슝 첩운 귤선|{{{#!html
귤선
(O4)
}}}]]||<:><-2>[[다랴오역|{{{#!html
다랴오 방면}}}]][[메이리다오역|메이리다오]][br] 0.8 ㎞ →|| ||<-6><:>[include(틀:지도,장소=市議會站,너비=100%,높이=300px)]|| ||<-6><:>'''다국어 표기'''|| ||<-2><:>[[영어]]||<-4><:>City Council[br]{{{-1 (Former Site)}}}|| ||<-2><:>[[한자]]||<-4><:>市議會[br]{{{-1 (舊址)}}}|| ||<-6><:>'''주소'''|| ||<-6><:>[[대만|중화민국]] [[가오슝시]] [[첸진구(가오슝)|첸진구]][br]後金里017鄰中正四路192-1號B1、B2|| ||<-6><:>'''운영기관'''|| ||<-6><:>[[가오슝 첩운 공사]]|| ||<-6><:>'''개업일'''|| ||<-6><:>[[2008년]] [[9월 14일]]|| [목차] [clearfix] == 개요 == [[가오슝 첩운 귤선]]의 [[철도역]]. [[가오슝시]] [[첸진구(가오슝)|첸진구]]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1번 승강장이 [[시쯔완역]] 방면, 2번 승강장이 [[다랴오역]] 방면이다. 제일 중요한 점,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역명과 달리 가오슝시의회는 이 역에 '''없다.''']] [[펑산시역]]으로 가야 한다. [[가오슝 첩운]] 계획을 세우는 [[1990년대]]에는 시의회역 자리에 가오슝시의회가 있어서 역명이 이렇게 정해졌다. '''가오슝시의회는 지하철 개통 직전인 [[2008년]] [[6월 15일]]에 펑산시역으로 이전'''했으나 역명은 그대로 두고 있다.[* [[가오슝시]]와 가오슝현을 [[2010년]]에 통합하기로 하고 통합 가오슝시의회를 [[펑산시역]]으로 이전한 게 [[2008년]]인데 지하철역은 [[2008년]] [[9월 14일]] 개통하였다.] [youtube(xXWQSqvZ6x4, width=500)] 시의회역 열차 발차 알림음 == 역 주변 정보 == 舊 가오슝시의회는 현재 가오슝시청 교육국 청사로 활용되고 있다. 가오슝시청 교육국 청사 외에 가장 큰 [[역세권]] 건물은 [[중국신탁은행]](CBTC Bank)[* [[중국]] 본토의 중국신탁은행(CITIC)과 전혀 다른 법인이다.] 가오슝 본부이다. 역 주변에 딱히 랜드마크가 될 건물이 없긴 한데 도심 한 가운데 있어서 이용객은 많은 편이다. 교육국은 임시청사인데다가 대만은 교육자치제 또한 없어서 그냥 시청 내 하나의 부서에 불과한데 역명을 줄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건 현지인들은 바꿀 필요성도 불편함도 거의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불편함이 컸다면 당연히 자신들부터 역명을 바꾸려 했을 것이다. 가오슝시 통합청사 계획이 지나치게 오랫동안 표류하면서 옛 시의회 청사의 용도 또한 표류하고 있는 것이 역명 방치(?)의 가장 큰 원인이며, [[대만]]의 정치적 의사결정 시스템이 한국에 비해 상당히 느린 것도 한 몫한다. [[분류:200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만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가오슝 첩운 귤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