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8455.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시외버스 845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R8455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고양종합터미널) ||<-2> 종점 || 경기도 안성시 가사동(안성종합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6:35 ||<|2> 기점행 || 첫차 || 05:00 || || 막차 || 16:30 || 막차 || 14:00 || ||<-2> 운수사명 || [[대원고속]] ||<-2> 배차간격 || 1일 3회[* 기존 9회] || ||<-2> 노선 ||<-4> [[고양종합터미널]] - [[일산IC|{{{#aaa 일산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aaa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김포IC|{{{#aaa 김포IC}}}]] - [[김포국제공항]] - [[개화IC|{{{#aaa 개화IC}}}]] - [[올림픽대로|{{{#aaa 올림픽대로}}}]] - [[한남대교|{{{#aaa 한남IC}}}]] - [[경부고속도로|{{{#aaa 경부고속도로}}}]] - [[기흥동탄IC|{{{#aaa 기흥동탄IC}}}]] - 예당마을·롯데캐슬 - 메타폴리스·다은마을 - 나루마을·한화꿈에그린2차 - [[오산역환승센터]] - [[송탄시외버스터미널]] - [[평택지제역]] - [[평택터미널]] - [[공도시외버스터미널]] - 중앙대·롯데캐슬아파트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 개요 == [[대원고속]]에서 운행했던 시외버스 노선. == 역사 == * 2012년 GBIS에 경기도 면허 시외버스가 등록되면서 8455번으로 번호를 부여받았다. * 2020년 10월 4일에 종점이 [[동아방송예술대학교]]에서 [[안성종합버스터미널]]로 단축됐다. * 2021년 2월 7일에 예당마을과 나루마을에 추가로 정차하도록 변경됐다. * 2023년 8월 16일부로 폐지됐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34231|#]] == 특징 == * 고양종합터미널과 김포국제공항에서 승차하는 경우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었다. 실제로 해당 정류장에서는 좌석제로 승차했다.[* 이러한 이유로 동탄이나 [[오산역환승센터]]에서 반대로 안성 가는 쪽은 구간승차조차 아예 이용할 수 없었다. 이럴 경우 1호선으로 [[오산역]]에서 [[평택역]]으로 온 다음 안성가는 시내버스를 갈아타거나, [[안성 버스 8202|8202번]]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 경유지가 많아 고양에서 안성까지는 3시간 30분이나 걸리고 요금이 16,000원이 넘었다. 게다가 운행횟수도 매우 적었다. 따라서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을 타고 [[고속터미널역]]으로 와서 [[시외버스 서울경부-안성|서울경부-안성 노선]]을 타거나, [[남부터미널역]]으로 와서 [[시외버스 8146|8146번]]을 타고 가는 게 좋았다.[* 공도~안성 시내구간은 전환시외가 조금 빠르다. 시간대가 간발의 차로 엇갈린다면 살짝 더 내려가 시외 8146번도 괜찮으나 KD라서 표정속도가 조금 딸린다는 건 감안해야 한다. 안성터미널을 바로 이용해야 하거나 인근이 목적지인 경우에는 시간대가 맞다면 직통노선인 [[시외버스 8008|8008번]]을 이용하면 빠르게 도착할 수 있다. 동아방송대 혹은 인근이 목적지라면 8146번만이 한 번에 간다.][* 백석역 - 고속터미널까지 약 1시간, 1650원(남부터미널의 경우 약 5분, 100원 추가)이 들며, 안성터미널 기준으로 8000원에 1시간 30분 정도로 잡으면 되기 때문에 더 적은 비용과 시간을 들일 수 있다.] 또한, 고양에서 평택으로 갈 때는 3호선을 타고 [[양재역]]으로 이동한뒤 M5438번이나 6600번으로 환승하거나 1500번을 타고 [[영등포역]]에서 일반열차를 타는 것을 추천한다. 김포공항에서 안성갈 때도 [[김포공항역]]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을 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로 갈아타는게 압도적으로 빠르다. * 최근에는 [[안성 버스 4401|4401번]]의 개통으로 전 구간 완주 수요는 사실상 없어졌다고 봐도 무방했다. 4401번을 타고 [[양재시민의숲역]]역에서 내려서 [[서울 버스 9711|9711번]]으로 갈아타면 고양시까지 더 저렴하고 빠르게 갈 수 있다. '''[[개념환승|심지어 3호선 시외루트와 달리 갈아타는 데 걸어갈 필요조차 없다!]]'''[* 상행 한정. 하행은 건널목을 한 번 건너야 한다. 그래도 역에서 터미널까지 걸어가는 것 보다는 훨씬 짧다.] * 이러한 이유로 전 구간 완주 수요는 거의 없었고, 안성~오산[* 안성(공도)~평택~오산~동탄 구간승차 가능][* 안성(공도)에서 동탄도 일단 연계가능하나 시외운임이라 비싸고 1시간 30분은 걸리는데다 1동탄 메타폴리스 인근으로 바로 가는게 아니라면 권장하지 않는다. 1동탄을 갈때도 오히려 2동탄이나 동탄역으로 가는 [[경기광주 버스 8202|8202번]]을 타고 근처에서 내려서 갈아타는게 시간적으로도 빠르고 운임적으로도 알뜰하다.], 동탄에서 김포공항까지 가는 수요가 많았다. 사실상 동탄 이남[* 동탄 지역에는 [[공항버스 8840|8840번]]이 이 노선을 보조해준다.] 지역은 김포공항까지 가는 공항버스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연장하고 나면 평택 지역 경유지들을 모두 빼버릴 가능성도 있었는데, 개통하고 나면 평택에서 김포공항으로 가는 데 전철[* 평택/평택지제/오산-가산디지털단지(7호선 환승)-부천종합운동장(서해선 환승)-김포공항. 급행 이용 시 평택~김포공항 기준 약 1시간 30분.]이 버스보다 빨라지기 때문이다. 8840번 공항버스의 개통에 따른 수요 감소로 인해 이 노선이 8월 16일에 폐선됨에 따라 평택 지역 경유지들을 모두 빼버릴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오산역]], [[평택지제역]], [[평택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김포공항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공항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김포공항역 * [[파일:GoldLine_icon.svg|width=17]] [[김포 골드라인]]: [[김포공항역]] * [[파일:SRT BI.svg|width=35]]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평택지제역]](SRT), 평택역 (ITX-새마을, 무궁화호) [[분류:경기도의 시외·공항버스]] [[분류:2023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