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양시와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노선, rd1=고양 버스 3300)] [include(틀:운행중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진330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300수서.png|width=100%]]}}} || || 선진고속 시절. || 중단되기 직전의 모습.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시외버스 330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고속 330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고속철도수서역) || ||<|2> 종점행 || 첫차 || 05:05 ||<|2> 기점행 || 첫차 || 07:30 || || 막차 || 18:05 || 막차 || 20:30 || ||<-2> 운수사명 || [[경기고속]][br]([[동두천영업소]]) ||<-2> 배차간격 || 1일 4회 || ||<-2> 노선 ||<-4>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한탄강관광지 - 초성2리 - [[소요산역]] - [[동두천역]] - [[동두천터미널]] - [[봉양교차로|{{{#aaa 봉양교차로}}}]] - [[신평화로|{{{#aaa 신평화로}}}]] - 의정부민락 - 민락IC(상) / 활기체육공원.우미린A(하) - [[동의정부IC|{{{#aaa 동의정부IC}}}]] - [[세종포천고속도로|{{{#aaa 세종포천고속도로}}}]] - [[남구리IC|{{{#aaa 남구리IC}}}]] - [[강변북로|{{{#aaa 강변북로}}}]] -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수서역]] || == 개요 == * [[경기고속]]이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 역사 == * 1991년에 영종여객에서 신설하였다. 노선은 '상대원(사기막골) - 종합시장 - [[모란역]] - [[가락시장역]] - [[잠실역]] - [[아차산역]] - [[동부간선도로]] - 도봉면허시험장([[노원역]]) - [[수락산역]] - 장암주공5단지 - [[의정부터미널]] - [[양주역|주내역]] - 덕계리 - 동두천터미널 - [[미2사단]] 정문 정류소' 였다.[* 이 때는 [[자일대우버스 BS|BS106]], [[현대 에어로시티|에어로시티]], [[자일대우버스 BH|BH116]]이 운행하였다.] * 1998년 사기막골 차고지를 70번과 함께 [[경기교통]]에 매각하면서 종점이 [[성남종합버스터미널]]로 변경되고 전곡시외버스터미널로 연장되었다. * 2004년 [[선진네트웍스]]가 [[영종여객]]을 인수하면서 [[선진고속(의정부)|선진고속]]으로 이관되었다. * 2005년 말에 [[아차산역]]에서 잠실로 넘어가는 루트에서 [[동서울터미널]][* 터미널 구내 승하차가 아니라 [[강변역]]A/B 정류장에 섰다.]을 경유하도록 조정되었으며 '3300'번으로 노선번호가 생겼다.[* 동시에 차도 선진그룹 도색을 한 에어로 스페이스 LD 전중문형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기존에 운행하던 차들은 선진그룹의 다른 계열사들로 넘어갔다. 포천권에 남은 소수는 중문 개조가 이뤄졌고, 김포로 넘어간 나머지는 도색만 바꾸고 운행하다가 2006년 말 ~ 2007년에 전부 교체되어 수출되었다.] * 2006년에 [[동서울터미널]]을 경유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 2007년 9월 1일 인가를 분할하여 의정부-노원-강남-성남노선의 [[포천 버스 3100|3100번]]과 의정부-전곡-연천의 3200번을 분리신설했다. 다만 3200번은 얼마 못 가서 다시 흡수되었다. * 2008년 4월 21일부로 수익성 강화를 위해 공릉역, 태릉입구역, 먹골역에 추가로 정차하고 중랑교에서 동부간선도로를 탔으나 은근슬쩍 환원되었다. * 2008년 8월 5일에 노선만 [[경기고속]]에 인수되었다.[* 이 때 선진고속은 철원권에서 운행하던 디젤 차량을 말소하여 중고로 팔고, 3300번에서 쓰던 차를 재배치했다. 또한 일부는 3100번 증차분으로 이동했다.][* 이 때 경기고속 시외부에서도 나름 기대를 했는지 새로 뽑은 BH116이 투입되었다.] * 2011년 7월에 [[덕정역]]을 경유하게 되었으나 얼마 못 가 다시 무정차한다. * 2012년을 전후로 고읍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G1300번도 없어 고읍지구에서 서울로 나가는 교통편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투입되었다. 따라서 양주역은 정차하지 않게 되었고, 대신 현진에버빌, 덕현초교, 의정부성모병원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 2013년에 전곡터미널로 단축되었다. 하지만 기존에 [[연천역]]으로 가던 승객들을 위해 1일 4회는 [[연천역]]으로 연장운행 한다. * 2016년 4월 6일에 '덕계동 - 현진에버빌 - 덕현초교 -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터미널' 구간이 '덕계동 - 양주역 - 암매교차로 - 의정부터미널'로, '장암주공5단지 - 수락산역 - 도봉면허시험장 - 동부간선도로 - 아차산역 - 강변북로' 구간이 '장암주공5단지 - 의정부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토평IC - 강변북로'로 변경되었다. 또한 [[동두천역]], [[동두천터미널]], 장암주공5단지 등 상당수 중간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 대신 양주역과 [[장암역]]에 추가로 정차하였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94884|관련 게시물]] * 2017년 4월 3일부터 그 간의 민원을 수용하여 장암주공5단지와 [[동두천역]]에 다시 정차한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97455|관련 게시물]] * 2018년 4월 1일에 양 방향 막차가 21시에서 20시로 앞당겨졌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37463|관련 게시물]] * 2018년 4월 20일에 [[성남종합버스터미널]]에 주박하는 차량이 사라지고 [[연천역]] [[지원운행]]이 1일 2회로 감회되었다. 연천 출발 차량은 GBIS에서 위치 확인이 되지 않는다. 동시에 시간표가 대폭 개정되면서 첫차와 막차도 일괄 개정되었다. * 전곡터미널 출발 첫차 : 변경사항 없음 * 성남터미널 첫차 : 05:30 → 08:50 * 전곡터미널 출발 막차 : 20:00 → 18:20 * 성남터미널 출발 막차 : 20:00 → 21:00 * 2020년 1월에 전곡터미널에서 [[연천공영버스터미널]]로 연장되었고, 1일 12회로 감회되었다. * 2020년 1월 13일부터 [[의정부 버스 G6000|G6000번]]의 개통 준비로 인하여 태평고개, 가천대, 장암역, 장암주공아파트, 의정부터미널, 양주역, 덕계동, 덕정사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세종포천고속도로]]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98812|관련 게시물1]]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199819|관련 게시물2]] 따라서 동두천 이후부터 쭉 3번 국도 우회도로 - 세종포천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잠실역까지 간다. * 2020년 4월 20일에 '가락시장 - 장지역 - 모란역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구간이 '가락시장 - 수서역'으로 단축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223874|관련 게시물]] 다만 GBIS에는 5월 7일이 돼서야 반영되었다. * 2020년 8월 5일부터 신평화로 상에 위치한 ‘의정부민락’[* 사실 여기는 세종포천고속도로 직통으로 변경된 시점에서 비공식적으로 승하차를 받는 정류장이었다. 즉 정식 정류장으로만 반영된 셈.], ’민락IC’ 정류소에 정차한다. 해당 정류소에서 [[양주 버스 G1300|G1300]]번의 대안으로 잠실역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노선은 더 나아가 수서역까지도 이동가능하다. * 코로나 19로 인해 1일 4회로 감회되었다. * 2022년 5월 1일부터 운휴에 들어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483694|관련 글]] 그 간의 행보를 보면 사실상 폐선에 가깝다. == 특징 == * [[선진고속(1954년)|선진고속]] 시절에는 과속이 일상이었지만, [[경기고속]]에 인수된 뒤로는 90km/h로 정속하였다. 하지만 현재는 국도에서 80~90km/h, 고속도로에서 100~105km/h로 다니면서 다시 과거의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 [[경원선]]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통근열차]]와 함께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이 [[소요산역]]으로 연장된 후 수요가 급감하였다. 과거에는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에서 서울시까지 가장 빠르고 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노선이라[* 전곡 - 의정부 구간만 놓고 보면 39번대 노선과 큰 차이는 없었지만 3300번은 확실히 해당 구간에서 직행버스로 역할을 했기에 소요 시간이 더 짧았다. 게다가 이 시기에는 시내버스도 구간 요금을 칼 같이 받았던 탓에 시내버스 장거리 요금도 비쌌다.] 수요가 많았지만 1호선 연장 이후에는 [[3번 국도]]의 열악한 도로 사정과 [[동부간선도로]]의 [[헬게이트|상습 정체]], 비싼 요금[* 선진그룹이 이 노선에서 손 털고 나온게 2008년이다. 이 때면 39번대 노선들도 요금이 크게 내려간 상황이었고, 의정부 - 강남 수요를 나눠먹던 3100번도 직행좌석버스였기에 요금이 훨씬 더 저렴했다.]으로 인해 이용객이 급감했으며[* 연천 - 서울 구간의 경쟁자인 통근열차는 연천군민에게 전구간 운임을 겨우 500원만 받았으며, 동두천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광역전철의 운임은 당연히 시외버스보다 더 싸고 시간도 더 빠르다.][* 게다가 의정부 - 강남권 수요도 이 노선에서 분리된 3100번이 다 털어간지 오래.], 심지어 [[양주 버스 G1300|G1300번]]도 개통되면서 덕정으로 가서 환승하면 이 노선보다 더욱 저렴하고 편하게 이용할수 있기에 그로 인해 감차도 많이 되어서 전성기에 15분 간격으로 다니던 노선이 계속 노선을 비틀고 차를 줄이더니 코로나 19 이후에는 1일 4회만 다니다가 사라졌다. * 무정차 구간은 [[세종포천고속도로]]를 이용한다. 출퇴근 시간때에도 이용률이 적은 도로라 상대적으로 정체 구간이 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 한 때는 모든 차량이 선진고속 출신 [[대우버스 BH|BH116]] NGV였다. 사실 2008년 인수 당시에는 경기고속이 새로 도입한 BH116 디젤차량으로 다녔으나, 2010년 초에 철원권 노선과 차량 맞 교환을 하면서 디젤차량을 [[시외버스 3001, 3002|3001번]]으로 보내고, 여기에 있던 가스차를 3300번으로 가지고 왔다. 2015년 중반에 잠깐 [[현대 유니버스|유니버스]]와 [[현대 에어로버스|에어로 스페이스]]가 투입되기도 했다. 2017년에 기존 차량들이 노후되면서 대차되어 타 노선으로 넘어가고 운행 중단 시점에는 [[자일대우버스 FX|FX II 116]]으로 운행했다. *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인 의정부 - 잠실 버스가 개통되면 의정부시 수요가 분산될 것으로 보였으나 이제는 양주ㆍ의정부를 아예 경유하지 않고 연천 - 전곡 - 동두천 - 잠실역 - 가락시장 - 모란역 - 성남으로 조정되면서 연천ㆍ전곡ㆍ동두천에서 잠실권 및 성남 등지로 가는 직행노선의 성격이 강해졌다. 또한 노선을 수서역으로 단축하면서 이 성격은 더 강해졌다. * 의정부~잠실~성남 구간을 제외하면 거의 공기수송으로 다녀서 동두천~전곡 구간을 단축시키려고 하였으나, 연천군의 항의로 인하여 무산되었다가 오히려 막판에는 연천 구간이 메인이 되어버렸다. === 시간표 === [[https://www.yeoncheon.go.kr/synap/skin/doc_mobile.xhtml?fn=GIYDEMJQHAZDKMJQGIYTANS7GI4DKMZZ&rs=/DATA/synap/preview/bbs/187|버스 시간표]] * 연천공영버스터미널 출발: 05:05, 11:05, 12:05, 18:05 * 수서역 출발: 07:30, 13:30, 14:30, 20:30 === 사건사고 === 2013년 12월 11일, 이 노선의 차량이 [[의정부버스터미널]] 내부 대합실과 점포까지 밀고 들어오는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로 버스를 기다리던 승객 5명이 가벼운 부상을 입었으며, 당시 점포는 휴점 중이여서 추가적인 인명피해는 없었다. 사고 원인은 눈 때문에 미끄러진 것으로 추정.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07254&replyAll=&reply_sc_order_by=C|기사]]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역]], [[소요산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 [[가락시장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 가락시장역, 잠실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서역 * [[파일:SRT BI.svg|width=35]] 일반 철도역: [[수서역]](SRT) [[분류:경기도의 시외·공항버스]][[분류:1991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