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기도의 시외버스)] [[파일:시외버스 1329.jpg]]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1329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남부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종합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6:10 ||<|2> 기점행 || 첫차 || 05:20 || || 막차 || 21:30 || 막차 || 20:45 || ||<-2> 운수사명 || [[경일여객]] ||<-2> 배차간격 || 20~40분 (일 32~35회) || ||<-2> 노선 ||<-4> [[서울남부터미널|남부터미널]] - {{{#aaa 서초IC}}} - {{{#aaa 경부고속도로}}} - {{{#aaa 신갈JC}}} - {{{#aaa 영동고속도로}}} - {{{#aaa 양지IC}}} - [[양지정류장(용인)|양지사거리]] - [[좌찬정류장|좌찬]] - [[백암터미널]] - 죽산시외버스터미널 - [[두원공과대학교]] - [[광혜원터미널]] - 이월 - [[진천종합터미널]] || == 개요 == * [[경일여객]]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약 83km이다. == 역사 == * 2012년에 경기도 면허 시외버스가 GBIS에 등록되면서 번호가 부여되었다. * 2020년 4월 1일부터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으로 감편되었으며[* 진천행 22회, 광혜원행 14회, 두원공대행 8회 → 진천행 27회, 죽산행 1회], 행선지가 대부분 진천행으로 일원화되었다. * '''2021년 8월부터 양지사거리 정류소가 기존 정류소(29577)에서 인근 [[중부대로]]에 있는 통근, 통학버스 정류소로 임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상행은 양지IC 사거리에서 좌회전 하는 방식이 아닌, 제일사거리에서 남평로로 우회하여 운행하기도 한다. * 2022년 4월 21일 기준 모든 행선지가 진천행으로 일원화되었으며, 진천발 서울남부행 20:45 직행이 확인되었다. * 2022년 6월 1일부터 1일 28회에서 32회로 증회되며, 금/토/일/휴일에 죽산행 1회, 토/일/휴일에 진천행 2회가 추가로 운행된다.[* 추가 운행되는 시간대 중 14:25가 죽산행이고, 18:55, 20:55가 진천행이다.] [[http://www.nambuterminal.com/cyber/notice_content.aspx?code=notice&page=1&search=&value=&snum=175|#]] 이에 따라 배차간격이 기존 30~50분에서 30분으로 변경되었다.[* 단 진천발은 평균 30분 간격이지만 일부 시간대에 한해 20~4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 * 2022년 7월 1일부터 서울남부행은 일부 시간대 이월을 미경유한다. 시간표 상으로 이월(경유)/광혜원(직통) 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운행 비율은 1:1 정도이다. [[https://m.blog.naver.com/c_young17/222798881630|#]] == 특징 == * [[서울남부터미널]]에서 타는 경우 매표소에서 직접 좌석을 지정하여 결제한 후 승차권을 발권하여 승차해야 한다.[* 모바일 예매시 발권 없이 시외버스모바일 앱에서 QR코드로 승차해야 한다.(2021년 4월 1일부터 변경됨) 버스타고에서 예매시 무인발매기에서 표를 끊고도 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 예매한 시간대가 늦더라도 앞차에 승객이 없으면 미리 탑승할 수 있다.[* [[서울남부터미널]]기준 만약 미리당겨타기시 예매 좌석번호에 앞시간대 예매 승객이 앉아 있으면 다른 빈자리를 활용해도 상관없다.] * 교통카드 전용 승차장(매표소가 없는 승차장)인 양지사거리, '''좌찬''', 두원공대 정류장을 제외한 나머지 정류소에서는 가급적 승차권을 구매하여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매표소 수입과 요금결제 오류 때문. 양지사거리도 원래는 매표소가 있었으나 그 자리에 주상복합 아파트가 지어지고 있어서 사실상 교통카드 전용 승차장이 되었다.][* 백암터미널은 교통카드를 기사마다 받아주는 경우가 있으나 죽산터미널에서는 무조건 승차권을 발권해야 한다. 심지어 죽산터미널은 비좌석제인 천안, 아산(온양)도 승차권을 발권해서 타야할 정도라서 차라리 교통카드만 있다면 [[안성 버스 370, 380|370번, 380번]]등을 타고 공도로 넘어와서 천안, 아산(온양) 직행을 다시 갈아타면 되지만 공도도 [[경기고속]]에서만 교통카드가 사용되지, [[충남고속]]은 충남지역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용을 거부한다. 이럴경우 10시에 온양행 [[경기고속]]배차를 놓치면 천안까지 가서 다시 아산표를 끊고 가거나 차라리 [[평택역]]으로 가서 1호선을 타고 이동해야 한다. --아산시내버스는 평택에서 탑승은 가능하지만 환승할인이 안되기 때문--] * 양지~죽산까지는 [[17번 국도]]를 이용한다. 그 외 두원공대~광혜원, 이월~진천 구간에서도 부분적으로 17번 국도를 이용하기도 한다. * 승객은 양지사거리가 가장 많으며, 가장 적은 정류장은 좌찬, 두원공대[* 방학.], 이월이다. * 진천터미널 - 광혜원 까지 20~25분 안에 도착한다. 시내버스보다 빠르게 이동하고 싶다면 이 버스나 동서울행, 인천행 등 이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서울남부 - 진천까지의 소요시간은 110분 정도 걸린다. * 서울남부행의 경우, 진천~좌전까지 선착순으로 승차하다보니 양지사거리에서 탑승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민원으로 인해 입석을 받지 않는다.] 코로나 감차 이전에는 배차간격이 20분이어서 크게 문제되지 않았으나, 감차 이후 30~40분 간격이다보니 특히 2022년 거리두기 해제 영향으로 승객이 더 몰린다. 운수사에서도 이를 인지했는지 2022년 6월부터 30분 간격으로 시간표를 변경하였다. * 진천터미널은 이론상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노선 시종착지인 관계로 사용을 거부하고 표를 끊고 탑승하라고 한다. === 운임 === 2022년 4월 21일 기준, 순서대로 성인, 청소년, 어린이 운임. 단위는 원. 두원공대 학생인 경우 서울남부까지 가는 사람에 한해 청소년 운임을 받는다. || 목적지 ||<-3> 서울남부 출발 ||<-3> 진천 출발 || || 서울남부 ||<-3> || 10500 || 8400 || 5300 || || 양지 || 3400 || 2400 || 1700 || 7200 || 5800 || 3600 || || 좌찬 || 4100 || 2900 || 2100 || 6400 || 5100 || 3200 || || 백암 || 5100 || 3600 || 2600 || 5400 || 4300 || 5700 || || 죽산 || 6800 || 4800 || 3400 || 3800 || 3000 || 1900 || || 두원공대 || 6900 || 4800 || 3500 || 3600 || 2900 || 1800 || || 광혜원 || 8400 || 6700 || 4200 || 2100 || 1700 || 1100 || || 이월 || 9400 || 7500 || 4700 || 1500 || 1200 || 700 || || 진천 || 10500 || 8400 || 5300 ||<-3> || 백암-죽산은 1700/1200/900, 백암-광혜원은 3300/2300/1700. 수정 필요 == 시간표 == [[파일:시외버스 1329 시간표(2022.06).png]]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남부터미널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내 대학교 진입버스)] [[분류:경기도의 시외·공항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