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미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김해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성남-김해}}}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성남종합버스터미널]]) ||<-2> 종점 || 경상남도 김해시 외동([[김해여객터미널]]) || ||<|2> 김해행 || 첫차 || 10:10 ||<|2> 성남행 || 첫차 || 10:10 || || 막차 || 16:00 || 막차 || 17:40 || ||<-2> 운행횟수 ||<-4> 1일 2회 || ||<-2> 운수사명 || [[코리아와이드 경북]] ||<-2> 인가대수 || || ||<-2> 상세 노선 ||<-4> [[성남종합버스터미널]] - [[성남대로|{{{#bbb 성남대로}}}]] - [[3번 국도|{{{#bbb 3번 국도}}}]] - [[42번 국도|{{{#bbb 42번 국도}}}]] - [[서여주IC|{{{#bbb 서여주I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김천JC|{{{#bbb 김천J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구미IC|{{{#bbb 구미IC}}}]] - [[구미중앙로|{{{#bbb 구미중앙로}}}]] - {{{#bbb 구미중앙로41길}}} - [[구미종합터미널]] - [[산업로(구미)|{{{#bbb 산업로}}}]] - [[구미중앙로|{{{#bbb 구미중앙로}}}]] - [[구미IC|{{{#bbb 구미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동대구JC|{{{#bbb 동대구JC}}}]] - [[중앙고속도로|{{{#bbb 중앙고속도로}}}]] - [[대동JC|{{{#bbb 대동JC}}}]] - [[중앙고속도로지선|{{{#bbb 중앙고속도로지선}}}]] - [[남해고속도로|{{{#bbb 남해고속도로}}}]] - [[동김해IC|{{{#bbb 동김해IC}}}]] - [[김해대로|{{{#bbb 김해대로}}}]] - [[전하로|{{{#bbb 전하로}}}]] - [[김해여객터미널]] || == 개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성남종합버스터미널]]과 [[경상남도]] [[김해시]] 외동 [[김해여객터미널]]을 잇는 노선. == 역사 == 지금은 폐지된 고속버스 성남-구미 노선도 본 노선의 파생형이므로 본 노선에 통합기재한다. * 2014년에 개통하였으며, 이 시절에는 전회 구미경유였고 KD 운송그룹과 [[경남고속]]이 공동으로 운행했다. * 날짜 미상 [[경남고속]]이 철수하고 [[코리아와이드 경북]]이 들어오면서 경남고속이 구미에서 철수하고 KD 운송그룹은 노선을 구미 미경유로 바꾸었다. * 원래 [[KD 운송그룹]]의 무정차 노선과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구미 경유 노선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 2015년에 [[KD 운송그룹]]의 성남-김해 무정차를 성남-김천-김해 노선으로 조정하려고 했다가 김천의 적은 인구와 [[김천역]]의 존재로 인한 수요 저조 우려로 인해 무산되었다. * 2016년 6월 3일 [[KD 운송그룹]]이 배차에 철수하여 구미경유 성남행만 남게 되었다.[* 대신 KD 운송그룹은 김해-제천-원주 노선을 1일 2회로 신설했다.] *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코리아와이드 진안]]의 [[전환고속|고속버스 성남-구미 노선]]이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성남-구미가 13회에서 4회로 대거 줄었으며 성남-구미 전산망도 [[KOBUS]]와 시외버스터미니로 나뉘어져 있었던 것이 시외버스티머니로 통합되었다. * 2019년 4월 부터 우등할증이 시행되었다. *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해 배차가 4회에서 2회로 줄었다. * 2023년 1월 1일 부터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의 폐쇄에 따라 성남임시터미널에서 승하차 한다. == 특징 == * 구미-성남과 구미-김해를 잇는 유일한 노선이며, 구미-김해는 과거부터 유일한 노선이었고 구미-성남은 2018년 11월 23일 부터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 김해에서 구미까지는 1시간 55분, 성남까지는 4시간 35분, 구미에서 성남은 2시간 40분이 소요된다. * 편도 357km에 이르는 장거리 노선인 만큼 요금도 전 구간 이용시 '''37000원'''으로 비싼 편이다. * 기사 재량에 따라 [[삼랑진IC]] 부터 [[58번 국도]]를 이용하기도 한다. * [[장유시외버스정류장|장유]]는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할 것. * 서부산에서 구미로 갈 때 [[시외버스 창원-구미]]와 함께 검토대상에 포함된다. 서부산에서 구미로 가는 버스가 없기 때문인데, 보통은 [[구포역]]의 존재로 인해 잘 안쓰이며, [[부산김해경전철]]을 타고 [[봉황역]]에 내려 굴다리를 건너 [[김해여객터미널]]로 가서 이용하면 된다. 만약 [[부산역]]이나 서면이 출발지면 [[부산 버스 1004]]를 타면 되며, 구포 쪽이 출발지인 경우 [[부산 버스 127]]을 이용하면 된다. 출발 45분 전에는 부산서부터미널에 도착해야 한다. 성남으로 갈 때는 더욱 자주 쓰인다. * 이 노선은 구미공단과 구미복지에 정차하지 않고 바로 구미에서 김해로 가므로 주의해야 한다. * 나무위키의 구미에서 동남권 방면 노선 중 가장 마지막으로 문서가 생성되었다. * 성남에서 대구로 가는 [[고속버스 성남-동대구]] 고속버스 및 유사 구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 용인-동대구]], [[시외버스 인천-대구서부|시외버스 수원,오산-대구서부]][* 둘다 [[수인분당선]]과 광역버스로 연결할수있기 때문] 간 운수사 마찰을 우려와 성남-구미,김해, 구미-김해 수요 및 성남,구미-서부산 수요 확보겸 구미를 경유하여 경남권 지역인 김해로 운행하기에 여기서 대구[[서부정류장]] 혹은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수도권 노선은 구미-동대구 구간 승차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운대고속]]배차를 이용해야하며 그거 마저 놓쳤다면 [[구미역]]에서 열차를 이용해 [[동대구역]]으로 가야한다.] 로 연결해서 갈라면 꼭 구미에서 내려 갈아타야한다. [[분류:시외버스]][[분류:성남시의 교통]][[분류:구미시의 시외버스]][[분류:김해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