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sghic-ngp.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부산서부-고현}}} || ||<-2><:>기점||<:>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2><:>종점||<:>경상남도 거제시 고현동([[고현버스터미널]])||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6:10|| ||<:>막차||<:>22:10||<:>막차||<:>22:10|| ||<-2><:>배차간격||<-4><:> 20~30분 || ||<-2><:>운수사명||<:>[[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대한여객]]||<-2><:>인가대수||<:>대[* 경원 대 , 신흥 대, 대한 대(장승포행과 더불어 윤번제 시행중이며, 1주일마다 1대씩 더 들어가는 로테이션이 적용되며, 예비차는 회사별로 1~2대.)]|| ||<|2><-2><:>상세 노선||<:>고현 방면 (부산서부발)||<-4><:>[[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신평역/김해공항(선택정차) - {{{#bbb 거가대교}}} - 장목(선택정차)[* 신흥여객 한정] - 송정(선택정차 - 연초(선택정차)[* 전상상 정차하지만 정차할 사람없으면 그냥 통과한다] - [[고현버스터미널]]|| ||<:>부산사상 방면 (고현발)||<-4><:>[[고현버스터미널]] - 장목(선택정차)[* 신흥여객 한정 정차 하청도 정차할때도 있다] - {{{#bbb 거가대교}}} - 신평역/김해공항(선택정차)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6><:> {{{#ffffff 시외버스 부산서부-장승포}}} || ||<-2><:>기점||<:>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2><:>종점||<:>경상남도 거제시 장승포동([[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 ||<|2><:>종점행||<:>첫차||<:>06:30||<|2><:>기점행||<:>첫차||<:>06:00|| ||<:>막차||<:>22:20||<:>막차||<:>22:30|| ||<-2><:>배차간격||<-4><:> 30~70분 || ||<-2><:>운수사명||<:>[[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대한여객]]||<-2><:>인가대수||<:>10대[* 경원 4대, 신흥, 대한 3대(윤번제로 1주일마다 4대 들어가는 회사가 변동 있을수 있으며, 예비차 회사별로 1대.)]|| ||<-2><:>상세 노선||<-4><:>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신평역/김해공항(선택정차) - {{{#bbb 거가대교}}} - 옥포[* 장승포 방향: 시내버스 거제소방서 정류소/부산서부 방향: 시내버스 옥포사거리 정류소 옆. 참고로 정류장 바로 뒤에 매표소 겸 매점이 있다.] - [[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 || == 개요 == [[부산광역시]]와 [[거제시]]를 잇는 시외버스 노선. [[경원여객]],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대한여객]]이 운행하고 있다. == 역사 == 거가대교가 개통하기 이전에는 장승포 - 부산간 노선은 고현,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고성]],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마산]]등을 경유하는 완행편과 [[마창대교]]를 이용하는 직행편으로 운행했었다. 2010년 12월 [[거가대교]] 개통과 동시에 거가대교를 경유하게 바뀌었으며, 3시간 소요 노선이 1시간 소요 노선으로 완전히 탈바꿈하여 도선이 폐업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도선업이 폐업할 무렵에 부산항에서 장승포항을 오가는 연안배편 이용요금이 18,000원이었다.] 차량 행선판에 서부산[* 신흥여객 차적], 부산사상[* 부산교통, 경원여객 차적]으로 표시하며, 코버스 및 버스타고 예매 전산으로는 부산서부로 나온다. 2012년에 이 노선의 [[신평시외버스정류장|신평역]] 정차편에 대해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동진, 동원, 동남, 태영)와 갈등이 있었다.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key=20120620.22012204510| ]] == 특징 == * 무정차로 운행하는 직통편이 있고, [[신평역]]/[[김해공항]], 장목[* 고현착발 신흥여객 차적에 한하여 경유하며, 이 경우 신평역을 필수로 경유하며 거가대로 중간에서 연초까지 왕복 2차로 도로로 빠진다. --본격 완행--]을 경유하는 경유편[* 완행...이라기엔 장목 정차편이 아니라면 소요시간 면에서 크게 차이가 안 난다.]이 있다. 장승포행은 막차를 제외하곤 전부 경유편으로 운행한다.[* 물론 막차도 옥포에는 정차한다.] * 이 노선을 운행하는 3사는 [[거가대교]] 구간을 운행하는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2000번]]과 경쟁이 매우 심한 편이며, 특히 경원여객 같은 경우는 일반차량 신차를 이 노선에 1순위로 투입할 정도다.[* 차급은 부산교통 계열사는 차급이 케바케이기는 하나, 아무리 못해도 14년식 이후 차량 투입이 많은 편이며, 경원여객은 15년식 이후 차량이 주력으로 투입되는 편이고 신흥여객은 두 회사에 비해 차돌리기가 많은 편이다.] 하지만, 2000번의 경우 고현과 부산을 오가기에는[* 대표적으로 서면] 연초에서 [[거제 버스 10|거제 10번]] 등으로 갈아타야 하다 보니 불편함이 꽤 있다. 단, [[부산역]] 등지로 가려는 경우 시외버스의 [[신평역]] 정차 횟수가 적어 2000번을 타는 것이 탁월한 선택일 수 있다. * 주말에는 부산서부 기준으로 매진이 일어나는 일이 잦은 편이므로 예매가 필수이며, 예비차도 이때 투입하는 편이다. * [[경원여객]] 장승포행 차량의 경우, 능포차고지에서 주유를 위해 옥수동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하차를 시키는 경우도 있는 편이다. * 2023년 12월 1일부터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2000번]]의 고현터미널 연장이 확정됨에 따라 요금이 3~4천원 정도 저렴한 대신 중간경유지(연초, 옥포, 대계, 명지 등)가 많은 2000번과 비싸지만 중간 경유 없이 빠르게 이어주는 시외버스의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 2000번의 고현 연장이 확정되자 시외버스 업체들이 김해공항행 2배 증차[* 기존 6회 -> 12회] 및 적자 발생시 지원을 요청하였고, 거제시가 이를 수용하여 차후 신평/장목경유가 줄고 김해공항경유 배차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초 2000번의 4대 증차 및 장승포행 노선(2001번) 분리, 거제-부산간 [[M버스]] 2개 노선[* 거제 상문동-고현-수양-연초-남포동-부산역-서면-해운대 / 거제 능포-아주동-옥포-남포동-부산역-서면-해운대] 개통이 추진중으로, 앞으로 직행좌석버스, M버스와 상호보완 관계로 운행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환승저항 및 요금절감 관련 문제로 인해 [[시외버스 부산서부-통영|통영 노선]]은 하단, 당리동과 명지, 녹산 일대에서 출발할 경우 [[고현버스터미널]]에서 통영행 시외버스로 갈아타면 되기 때문에 타격을 받게 되었다.[* 명지신도시와 신호지구, 녹산공단에서 사상터미널로 가는 버스가 있긴 하나 모두 굴곡노선이며, 그 외에는 하단역에서 환승해야한다. 이들 지역에서는 고현으로 가서 통영행 시외버스로 갈아타는 것이 가장 빠르다.][* 일각에서는 2000번 연장이 경남 고성까지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고현 경유가 사상 경유보다 1,650원 더 비싸긴 한데 그렇게 차이가 나는 수준이 아니라서 고성으로 갈 때도 교통상황 등에 따라 목적지가 명지신도시, 녹산 쪽일 경우 사상터미널 대신 고현에서 환승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 요금 == || 행선지 || 성인 || 중고생 || 아동 || || 부산서부 || ₩ 9,700(장승포)[br]₩ 8,500(옥포)[br]₩ 9,000(고현)[br]₩ 9,400(옥포심야)[br]₩ 10,700(장승포심야)[br] ₩ 9.900(고현심야) || ₩ 7,800(장승포)[br]₩ 6,800(옥포)[br]₩ 7,200(고현)[br]₩ 7,500(옥포심야)[br]₩ 8,600(장승포심야)[br]₩ 7,900(고현심야) || ₩ 4,900(장승포)[br]₩ 5,400(장승포심야)[br]₩ 4,300(옥포)[br]₩ 4,700(옥포심야)[br] ₩ 4,500(고현)[br] ₩ 5,000(고현심야) || || 신평역 || ₩ 8,400(장승포)[br]₩ 9,200(장승포심야)[br]₩ 7,200(옥포)[br] ₩ 7,900(옥포심야)[br]₩ 9,000(고현)[br]₩ 9,900(고현심야) || ₩ 6,700(장승포)[br]₩ 7,400(장승포심야)[br]₩ 5,800(옥포)[br] ₩ 6,300(옥포심야)[br] ₩ 7,200(고현)[br]₩ 7,900(고현심야) || ₩ 4,200(장승포)[br]₩ 4,600(장승포심야)[br]₩ 4,500(고현)[br]₩ 3,600(옥포)[br]₩ 4,000(옥포심야)[br]₩ 5,000(고현심야) || || 김해공항 || ₩ 9,400(장승포)[br]₩ 8,200(옥포)[br]₩ 8,800(고현) || ₩ 7,500(장승포)[br]₩ 6,600(옥포)[br]₩ 7,000(고현) || ₩ 4,700(장승포)[br]₩ 4,100(옥포)[br]₩ 4,400(고현) || (2023.7.11 기준)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신평역]][*A 일부 운행편]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파일:BGL_logo.svg|width=17]] [[부산김해경전철]] : 사상역, [[공항역(부산)|공항역]][*A 일부 운행편] * 일반 철도역 : [[사상역(경부선)|사상역]](무궁화호)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거제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