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교통]][[분류:경상남도의 교통]][[분류:서울특별시의 교통]] || [[파일:동서울 양산 해운대 시외우등.jpg|width=100%]] || [[파일:경남 시외프리.jpg|width=100%]] || || 양산 경유 시외우등 || 프리미엄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동서울↔해운대}}}(양산 경유) || || 기점 ||<-2>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동서울터미널]]) || 종점 ||<-2>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2> 해운대행 || 첫차 || 06:30 ||<|2> 동서울행 || 첫차 || 06:00 || || 막차 || 23:59 || 막차 || 23:50 || ||<-2> 배차시간 ||<-4> 일 8회 || ||<-2> 운수사명 ||<-4> [[경남고속뉴부산관광]] || ||<-2> 상세 노선 ||<-4> [[동서울종합터미널]] ↔ [[강변북로]] ↔ [[천호대교]] ↔ [[천호대로]] ↔ [[상일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하남JC]] ↔ [[중부고속도로]] ↔ [[호법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낙동JC]] ↔ [[서산영덕고속도로]] ↔ [[상주JC]] ↔ [[낙동강의성휴게소]]/[[낙동강구미휴게소]] ↔ [[상주영천고속도로]] ↔ [[영천JC]] ↔ [[경부고속도로]] ↔ [[양산JC]] ↔ [[중앙고속도로지선]] ↔ [[남양산IC]] ↔ [[35번 국도]] ↔ [[양산시외버스터미널]] ↔ [[35번 국도]] ↔ [[남양산IC]] ↔ [[중앙고속도로지선]] ↔ [[양산JC]] ↔ [[경부고속도로]] ↔ [[구서IC]] ↔ [[번영로(부산)|번영로]] ↔ [[원동IC]] ↔ [[해운대로]]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번영로 정체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부산울산고속도로 우회하기도 한다. 우회시 루트 [[양산JC]] ↔ [[경부고속도로]] ↔ [[노포JC]]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기장JC]] ↔ [[부산울산고속도로]] ↔ [[장산로(부산)|장산로]] → [[양운로]] → [[해운대로]]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 ||<-6> {{{#ffffff 시외버스 동서울↔해운대}}}(좌천·기장 경유) || || 기점 ||<-2>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동서울터미널]]) || 종점 ||<-2>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2> 해운대행 || 첫차 || 08:30 ||<|2> 동서울행 || 첫차 || 09:30 || || 막차 || 18:30 || 막차 || 17:30 || ||<-2> 배차시간 ||<-4> 일 3회 || ||<-2> 운수사명 ||<-4> [[경남고속뉴부산관광]] || ||<-2> 상세 노선 ||<-4> [[동서울종합터미널]] ↔ [[올림픽대로]] ↔ [[강변북로]] ↔ [[강일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하남JC]] ↔ [[중부고속도로]] ↔ [[호법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낙동JC]] ↔ [[서산영덕고속도로]] ↔ [[상주JC]] ↔ [[낙동강의성휴게소]]/[[낙동강구미휴게소]] ↔ [[상주영천고속도로]] ↔ [[영천JC]] ↔ [[경부고속도로]] ↔ [[언양JC]] ↔ [[울산고속도로]] ↔ [[울산JC]] ↔ [[부산울산고속도로]] ↔ [[장안IC]] ↔ [[좌천정류소]] ↔ [[14번국도]] ↔ [[기장정류소|죽성사거리]](하차/승차) ↔ [[기장대로]] ↔ [[해운대로]]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 개요 == [[경남고속뉴부산관광]]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 특징 == * 전회 우등으로 운행한다. * [[양산시외버스터미널|양산]] 경유와 [[기장정류소|기장]], [[좌천정류소|좌천]] 경유가 나눠어져있다. 기장,좌천 경유의 경우 과거 동서울~울산~해운대 노선의 흔적이다.[* 과거 동서울-울산 노선은 저렴한 요금등으로 굉장히 잘 나갔는데 증차에는 제약이 걸려 동서울-해운대 노선을 개통해 중간에 울산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울산행 노선을 편법 증차하게 되었다. 이 당시에도 해운대는 잘 나가던 관광지였기는 하지만 울산을 경유한데다가 도로망도 좋지않아 소요시간이 지나치게 오래걸려 해운대까지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많이 없었다. 참고로 저당시 동서울에서 해운대까지 버스를 이용하면 6시간은 기본이었다.] 양산 경유의 경우 최초에는 동서울 - 양산 -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노선으로 운행했으며 언양터미널의 수요부족으로 양산까지 노선을 단축해 운행하고 있었다. 이후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동서울-해운대간 무정차 계통을 폐지하면서 대신 양산행 노선을 전회 해운대까지 연장한 것이다. * 양산경유보다 좌천경유가 소요시간이 더걸린다. 이는 좌천을 경유하면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되면서 우회하는 경로가 되기 때문이다. * 1일 1회 양산 경유 노선으로 [[프리미엄 버스|시외 프리미엄]]이 운행중이다.[* 동서울 출발 19:30, 해운대 출발 10:50[* 양산 출발 11:40]] * 기장에서 하차나 승차하는경우 좌천으로 발권하고 하차나 승차하면된다(죽성사거리 버스정류소에 정차한다). 승차권상에도 기장,좌천으로 표기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버스회사측도 기장정류장 탑승 승객에게는 시외버스 어플예매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어플로 예매하면 qr코드로 바로 탑승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중부고속도로의 정체가 심하면 경부고속도로로 우회하는 경우도 있다. *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엔 [[중앙고속도로]] - [[광주원주고속도로]]로 우회한다 * 본래 강일IC를 경유하도록 인가가 되어있으나 해당 구간의 정체를 피할 목적으로 천호대교를 넘어 상일IC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천호역이나 강동역 등지에서 경남고속 차량이 보인다면 100% 이 노선이다. * 동서울에서 해운대까지 '''5시간'''이 걸리는 장거리 노선이지만, [[고속버스 서울경부-부산]] 노선도 4시간 10분~20분이 걸리고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해운대까지 전철로 1시간이 넘게 걸리는 만큼 서울에서 해운대로 바로 가고 싶다면 이 노선을 타는 게 오히려 더 빠르고 편안하다. 전철은 착석 보장이 안 되고[* 물론 [[노포역]] 출발 차량은 착석 보장이다.] 버스 좌석보다는 불편한 게 당연하니까.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해운대역]], [[양산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