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 [[파일:동서울 양산 해운대 시외우등.jpg|width=100%]] || [[파일:경남 시외프리.jpg|width=100%]] || || 양산 경유 시외우등 || 프리미엄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동서울↔해운대(양산 경유)}}} || || 기점 ||<-2>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동서울터미널]]) || 종점 ||<-2>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s-5|해운대(수도권)시외버스정류소]]) || ||<|2> 해운대행 || 첫차 || 06:30 ||<|2> 동서울행 || 첫차 || 06:00 || || 막차 || 23:59 || 막차 || 23:50 || ||<-2> 배차시간 ||<-4> 일 8회 || ||<-2> 운수사명 ||<-4> [[경남고속뉴부산관광]] || ||<-2> 상세 노선 ||<-4> [[동서울종합터미널]] ↔ {{{#aaa 강변북로 ↔ 상일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하남JC ↔ 중부고속도로 ↔ 호법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낙동JC ↔ 서산영덕고속도로 ↔ 상주JC}}} ↔ [[낙동강의성휴게소]]/[[낙동강구미휴게소]] ↔ {{{#aaa 상주영천고속도로 ↔ 영천JC ↔ 경부고속도로 ↔ 양산JC ↔ 중앙고속도로지선 ↔ 남양산IC ↔ 35번 국도}}} ↔ [[양산시외버스터미널]] ↔ {{{#aaa 남양산IC ↔ 중앙고속도로지선 ↔ 양산JC ↔ 경부고속도로 ↔ 구서IC ↔ 번영로 ↔ 원동IC ↔ 해운대로}}}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s-5|해운대(수도권)시외버스정류소]] || ||<-6> {{{#ffffff 시외버스 동서울↔해운대(좌천·기장 경유)}}} || || 기점 ||<-2>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동서울터미널]]) || 종점 ||<-2>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s-5|해운대(수도권)시외버스정류소]]) || ||<|2> 해운대행 || 첫차 || 08:30 ||<|2> 동서울행 || 첫차 || 09:30 || || 막차 || 18:30 || 막차 || 17:30 || ||<-2> 배차시간 ||<-4> 일 3회 || ||<-2> 운수사명 ||<-4> [[경남고속뉴부산관광]] || ||<-2> 상세 노선 ||<-4> [[동서울종합터미널]] ↔ {{{#aaa 강변북로 ↔ 상일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하남JC ↔ 중부고속도로 ↔ 호법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낙동JC ↔ 서산영덕고속도로 ↔ 상주JC}}} ↔ [[낙동강의성휴게소]]/[[낙동강구미휴게소]] ↔ {{{#aaa 상주영천고속도로 ↔ 영천JC ↔ 경부고속도로 ↔ 언양JC ↔ 울산고속도로 ↔ 울산JC ↔ 부산울산고속도로 ↔ 장안IC}}} ↔ 좌천 ↔ 기장(죽성사거리)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s-5|해운대(수도권)시외버스정류소]] || == 개요 == [[경남고속뉴부산관광]]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 특징 == * 전회 우등으로 운행한다. * [[양산시외버스터미널|양산]] 경유와 [[기장정류소|기장]], [[좌천정류소|좌천]] 경유가 나눠어져있다. 기장,좌천 경유의 경우 과거 동서울~울산~해운대 노선의 흔적이다.[* 과거 동서울-울산 노선은 저렴한 요금등으로 굉장히 잘 나갔는데 증차에는 제약이 걸려 동서울-해운대 노선을 개통해 중간에 울산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울산행 노선을 편법 증차하게 되었다. 이 당시에도 해운대는 잘 나가던 관광지였기는 하지만 울산을 경유한데다가 도로망도 좋지않아 소요시간이 지나치게 오래걸려 해운대까지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많이 없었다. 참고로 저당시 동서울에서 해운대까지 버스를 이용하면 6시간은 기본이었다.] 양산 경유의 경우 최초에는 동서울 - 양산 -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노선으로 운행했으며 언양터미널의 수요부족으로 양산까지 노선을 단축해 운행하고 있었다. 이후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동서울-해운대간 무정차 계통을 폐지하면서 대신 양산행 노선을 전회 해운대까지 연장한 것이다. * 양산경유보다 좌천경유가 소요시간이 더걸린다. 이는 좌천을 경유하면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되면서 우회하는 경로가 되기 때문이다. * 1일 1회 양산 경유 노선으로 [[프리미엄 버스|시외 프리미엄]]이 운행중이다.[* 동서울 출발 19:30, 해운대 출발 10:50(양산 출발 11:40)] * 기장에서 하차나 승차하는경우 좌천으로 발권하고 하차나 승차하면된다(죽성사거리 버스정류소에 정차한다). 승차권상에도 기장,좌천으로 표기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버스회사측도 기장정류장 탑승 승객에게는 시외버스 어플예매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어플로 예매하면 qr코드로 바로 탑승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중부고속도로의 정체가 심하면 경부고속도로로 우회하는 경우도 있다. *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엔 [[중앙고속도로]] - [[광주원주고속도로]]로 우회한다 * 본래 강일IC를 경유하도록 인가가 되어있으나 해당 구간의 정체를 피할 목적으로 천호대교를 넘어 상일IC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천호역이나 강동역 등지에서 경남고속 차량이 보인다면 100% 이 노선이다. * 동서울에서 해운대까지 '''5시간'''이 걸리는 장거리 노선이지만, [[고속버스 서울경부-부산]] 노선도 4시간 10분~20분이 걸리고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해운대까지 전철로 1시간이 넘게 걸리는 만큼 서울에서 해운대로 바로 가고 싶다면 이 노선을 타는 게 오히려 더 빠르고 편안하다. 전철은 착석 보장이 안 되고[* 물론 [[노포역]] 출발 차량은 착석 보장이다.] 버스 좌석보다는 불편한 게 당연하니까. * 현재는 코로나 시국 이전처럼 해운대 착발 노선 중 수도권 노선만 별도로 분할되어 기존의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가 아닌 별도 정류장에서 착발하고 있다. '''이 노선을 비롯한 수도권행 시외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운대역]]이 아닌, [[중동역(부산)|중동역]] 2번 출구로 가야한다.''' * 서울과 부산을 잇는 고속/시외버스 노선 중 두번째로 많은 편수를 운행한다. 1위는 [[고속버스 서울경부-부산]] 노선. 하지만 1위 노선 편수의 약 3분의 1로 차이가 매우 크다. 그리고 서울경부-부산 노선과 더불어 서울-부산간 심야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중동역(부산)|중동역]], [[양산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양산시의 시외버스]][[분류:서울특별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