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시외버스]] || [[파일:dsccic-ngp.png|width=100%]] || [[파일:dshcic-ngp.png|width=100%]] || || 춘천 직행 || 화천행 ||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동서울-춘천(직통)}}}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동서울-춘천 직통시외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터미널]]) ||<-2>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온의동([[춘천시외버스터미널]]) || ||<|2> 춘천행 || 첫차 || 06:15 ||<|2> 동서울행 || 첫차 || 06:00 || || 막차 || 23:40 || 막차 || 22:40 || ||<-2> 운수사명 || [[강원고속]] ||<-2> 운행횟수 || 1일 52회 || ||<-2> 상세 노선 ||<-4> [[동서울터미널]] - {{{#bbb 강변북로}}} - {{{#bbb 서울양양고속도로}}} - {{{#bbb 강촌IC}}} - {{{#bbb 46번 국도}}} - {{{#bbb 70번 지방도}}}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 ||<-6> {{{#ffffff 시외버스 동서울-춘천(-화천)(직행)[*2414 동서울 - 춘천 완통 노선번호][*2415 동서울 - 춘천 - 화천 노선번호]}}} || ||<-2> 기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터미널]]) ||<-2>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온의동([[춘천시외버스터미널]])[br]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하리(화천공영버스터미널) || ||<|2> 춘천행 || 첫차 || 06:45 ||<|2> 동서울행 || 첫차 || 06:40 || || 막차 || 18:10[* 화천행 막차] 20:50[*A 춘천까지만 운행] || 막차 || 19:30[* 동서울행 막차] 21:00[*A] || ||<-2> 운수사명 || [[강원고속]] ||<-2> 운행횟수 || 1일 9회 || ||<|2> 상세 노선 || 공통 구간 ||<-4> [[동서울터미널]] - {{{#bbb 강변북로}}} - {{{#bbb 서울양양고속도로}}} - {{{#bbb 화도IC}}} - {{{#bbb 46번 국도}}} - [[대성리역]] - [[청평시외버스터미널]] - [[가평터미널]] - 서천2리 - 서천1리 - 안보리 - 당림리 - 강촌 - {{{#bbb 70번 지방도}}}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첫차부터 18:10분까지는 화천까지 운행한다.] || || 화천 연장 ||<-4> [[춘천역]] - 배터/소양2교 - 두미르아파트 - 사농현대아파트 - 원평리 - 상호아파트 - 신포리 - 사북면행정복지센터 - 지촌리 - 현지사 - 어리고개 - 서오지리 - 달거리 - 원천리 - 화천공영버스터미널 || == 개요 == 동서울터미널과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으로 강원고속이 운행한다. == 특징 == * 강원고속의 주력노선으로 이전에는 [[가평교통|진흥고속]]도 공동배차였으나 2019년 이후 진흥고속이 [[가평 버스 7000, 7001, 7002|7000번]]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외노선을 강원고속에 양도함에 따라 [[강원고속]] 단독배차가 되었다. * 고속도로 무정차와 국도 경유 완행 노선이 나뉘어 있으며 무정차편은 대부분 31석 짭우등을 투입하나 가끔씩 45인승 버스가 올때도 있다.[* 45인승은 화천 위주로 들어간다.] * 완행 노선은 대성리, 청평, 가평, 서천리, 안보리, 당림리, 강촌입구에 정차한다. * 완행은 36인승이 투입된다. 현재 전국에서 매우 드문 36인승 사례다.[* 시외우등할증 도입으로 36인승이 크게 줄었다.] * 직통 차량들은 대부분 18~19년식 그랜버드 파크웨이 차량들을 투입하고 운이 좋으면 20년식 유니버스 럭셔리 차량을 볼수있다. * 직통과 완행 모두 요금은 동일하며, 다만 직통은 1시간 10분 내외, 완행은 1시간 50분 내외의 운행 시간이 소요된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아니라면 직통을 타는 것이 시간면에서 유리하다. * [[용산역]] - [[춘천역]] 사이를 운행하는 [[ITX-청춘]] 대비 경쟁력은 도로 지정체가 없는 경우 비슷하다. [[청량리역]] - 춘천역 구간을 기준으로 할 때 ITX-청춘이 1시간 내외, 직통 시외버스도 1시간 10분 내외라 걸리는 시간도 비슷하다. 청량리역/용산역과 동서울터미널의 입지 차이가 있어 강남이나 잠실로 이동하는 경우 시외버스가, 도심이나 강북, 마포 방면으로 가려는 경우 철도가 조금 더 접근성이 좋다.[* 춘천 시외버스 터미널 인근에 [[남춘천역]]이 있어 춘천에서의 접근성은 큰 차이가 없다.] 요금 역시 2023년 7월 기준 8,600원으로 동일하다. 다만 웬만해서는 지연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 철도와 달리 주말 정체가 심한 [[서울양양고속도로]]와 [[46번 국도]]를 이용하는 시외버스는 주말에는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짭우등 31석이 주력이라 몸은 편하지만 시간을 지켜야 하는 약속이 있다면 철도 이용이 더 유리하다. 또한 시간에 여유가 있고 몸이 편할 필요가 없다면 [[수도권 전철 경춘선]]을 이용하면 청량리역 기준 2,950원이면 춘천에 갈 수 있다. 청량리역 기준으로 1시간 30~50분 내외의 소요시간이 걸린다. * 만약 목적지가 춘천시내이북이거나 화천이라면 춘천행 직통버스를 타고 [[춘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환승하는게 더 빠르다. 처음부터 화천행을 타면 청평, 가평을 경유하느라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춘선]]: [[대성리역]][* 완행만 정차], [[남춘천역]][* 춘천터미널 하차], [[춘천역]][* 화천, 양구행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