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해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창원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시외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광주 ↔ 창원}}} || ||<:>기점||<-2><:>[[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광천동]]([[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종점||<-2><:>[[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창원종합버스터미널]])|| ||<|2><:>창원행||<:>첫차||<:>09:15||<|2><:>광주행||<:>첫차||<-2><:>09:40|| ||<:>막차||<:>20:05||<:>막차||<:>18:00|| ||<-3><:>배차간격||<-3><:>일 3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일 6회]|| ||<-2> 운수사명 || [[금호고속]] ||<-2> 인가대수 || 2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3대] || ||<-2> 경로 ||<-4>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 [[운암동시외버스정류소|운암동]] ←) ↔ [[서광주IC|{{{#bbb 서광주IC}}}]] ↔ [[호남고속도로|{{{#bbb 호남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bbb 남해고속도로}}}]]([[섬진강휴게소]]) ↔ [[산인JC|{{{#bbb 산인JC}}}]] ↔ [[내서고속버스터미널]] ↔ [[내서JC|{{{#bbb 내서JC}}}]] ↔ [[남해고속도로1지선|{{{#bbb 남해고속도로1지선}}}]] ↔ [[서마산IC|{{{#bbb 서마산IC}}}]]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6><:> {{{#ffffff 시외버스 광주 ↔ 김해}}} || || 기점 ||<-2>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광천동]]([[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종점 ||<-2> [[경상남도]] [[김해시]] [[내외동|외동]]([[김해여객터미널]]) || ||<|2> 김해행 || 첫차 || 07:35 ||<|2> 광주행 || 첫차 ||<-2> 07:10 || || 막차 || 18:35 || 막차 || 18:40 || ||<-3><:>배차간격||<-3><:>일 5회 || ||<-2> 운수사명 || [[금호고속]] ||<-2> 인가대수 || 5대 || ||<-2> 경로 ||<-4>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 [[운암동시외버스정류소|운암동]] ←) ↔ [[서광주IC|{{{#bbb 서광주IC}}}]] ↔ [[호남고속도로|{{{#bbb 호남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bbb 남해고속도로}}}]] ↔ [[산인JC|{{{#bbb 산인JC}}}]] ↔ [[내서고속버스터미널]] ↔ [[내서JC|{{{#bbb 내서J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bbb 남해고속도로1지선}}}]] ↔ [[서마산IC|{{{#bbb 서마산IC}}}]]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58번 국도|{{{#bbb 58번 국도}}}]] ↔ [[김해여객터미널]] || == 개요 == [[광주광역시]]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및 [[경상남도]] [[김해시]]를 잇는 [[시외버스]] 노선. [[금호고속]]이 운행한다. == 역사 == * 동일 노선의 광주-창원의 우등 노선이 1팀(고속부, 그 이전은 광주-마산이었다.)(를)을 광주-김해의 일반 노선이 2팀(직행부)(으)로 운행했으나 2021년 10월 02일부터 2팀으로 통합 동시에 김해의 노선이 일부 시간을 우등 할증 적용되었다.[* 동시에 창원행 고속버스 노선이 내서를 경유하게 되면서 [[전환시외|시외버스로 전환]]되었다.] * 2022년 01월 04일부터 김해 착발 한정으로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김해행 → 07:30[* 2021년 01월 19일까지 08:00] 및 광주행 → 12:00[* 2021년 01월 19일까지 12:30] * 2022년 01월 14일부터 우등 요금 → 프리미엄 요금으로 정상 적용되었다. *2022년 4월부로 프리미엄 버스 운행을 중단하였다가 다시 재개통하였으며, 프리미엄 버스 운행 시간도 김해행 → 07:35 및 광주행 → 12:10 으로 조정되었다. 그 후로 김해행 → 14:15 및 광주행 → 18:40 시간대가 추가되었다. * 특히 출발 직전 버스 TV에 검표현황이 뜨니 출발 1분 전까지 조속히 차량에 승차하도록 하자. 안그러면 노쇼 처리된다. == 특징 == * 일반 및 우등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착발 및 경유지가 다른 [[시외버스 광주-진해|광주 ↔ 섬진강 ↔ 창원 ↔ 진해]]의 노선도 운행 중이다. * 창원행(섬진강 경유 편) 한정 마산 발권 승객 없으면 [[서마산IC]] 대신 [[동마산IC]]로 진입한다. * 김해 편은 광주에서 올 때, 내서 발권 승객이 없으면 내서를 패싱하고 바로 [[서마산IC]]로 진출한다. 기사들이 출발 직전이나 중간 휴게소에서 한 번 더 확인하니 귀를 쫑긋 세우고 있자. * 1팀(고속부) 시절과 지금 2팀(직행부) 운행시 차급에 꽤 신경 쓰는 노선이기도 하다. * 2팀(직행부)(가)이 운행하지만 [[티머니]] [[E-Pass]]가 장착되어 수동으로 검표하지 않는다. == 주의사항 == * [[운암동시외버스정류소|운암동]]의 전산 명이 없다. → '''[[유스퀘어|광주]]'''로 발권 후 하차 * 목적지가 광주 ↔ [[김해여객터미널|김해]]로 발권시 [[고속버스 프리패스|프리패스]] 사용 불가능하다.(단, 경유지는 예외) *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으로는 [[섬진강휴게소|섬진강]] 발권(환승) 및 프리패스 사용 불가능하다. * 프리미엄으로 [[국가유공자]] 할인 불가능하다. * 해당 시간 외 다른 시간으로 대체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고속버스 광주-부산사상|광주 ↔ 부산사상]]의 노선을 이용하면 되며, 06:00 ~ 20:00(30~60분 간격) 부산서부까지는 [[부산김해경전철]]을 타면 된다 주의. 1일 2회는 일반으로 운행하며, 자전거의 탑승자는 이 노선 사용이 불가능하다. [[부산김해경전철]]은 자전거의 탑승을 금지하기 때문이다. 자전거의 탑승자는 [[시외버스 진주-김해|진주 ↔ 김해의 노선(주의. 일부 시간 장유를 경유한다.)]]을 이용하거나 [[부산 버스 1004|1004번]]을 이용해 백양고입구 정류장에 내려 [[구남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으로 갈아탈 수 밖에 없다. 단, 진주 ↔ 광주의 고속의 노선과 진주 ↔ 김해의 노선 둘다 막차가 이른 편이라 막차를 놓치면 부산서부로 갈 수 밖에 없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BGL_logo.svg|width=17]] [[부산김해경전철]]: [[봉황역]] [[분류:시외버스]][[분류:창원시의 시외버스]][[분류:김해시의 시외버스]][[분류:광주광역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