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영어판 명칭'''||<:>'''Shivan Dragon'''||<|6>[[파일:Shivan_Dragon.jpg]]|| ||<:>'''한글판 명칭'''||<:>'''시브의 용'''|| ||<:>'''마나비용'''||<:><#f00>{{{#fff {4}{R}{R}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생물 — 용|| ||<-2><:>비행''(이 생물은 비행이나 대공을 가진 생물로만 방어할 수 있다.)''[br][br]{R}: 시브의 용은 턴종료까지 +1/+0을 받는다.|| ||<:>'''공격력/방어력'''||<:>5/5|| [목차] == 카드 설명 == 매직 더 개더링 초기부터 코어세트에 거의 단골로 출연했으며, 6판에 잠깐 절판된 뒤 다음 7판에서 재판되고 매직 2010까지 생존했다. 이후 또 짤렸다가 매직 2014부터 다시 부활하여 [[매직의 기원]]으로 코어세트가 종결될 때까지 쭉 나왔다. 다만 매직 2015에서는 아웃넘버 카드라서 스탠다드에서 쓸 수는 있지만 부스터에서는 나오지 않아서 리밋에서 만날 일은 없게 되었다. 이후로는 스탠다드에 나오지 못할 것으로 보였지만, 부스터에는 등장하지 않되 스탠다드에서 사용이 가능한 웰컴 덱 시리즈가 나오면서 다시 등판, 이렇게 항상 스탠다드 범위 내에선 거의 빠져나가는 일이 없는 생물이 되었다. 물론 역시 리미티드에서 볼 수는 없지만. 그리고 2018년 7월 [[코어세트 2019|코어세트가 부활]]하면서 기대를 배신하지 않고 나와주었다. 코어세트 2020에서도 실렸지만, 코어세트 2021에서 다시 짤리면서 스탠다드 로테이션 아웃. 이른바 마나를 지불해서 능력을 올리는 '펌핑형' 생물의 고전. 특히 이 녀석처럼 공격력만을 일시적으로 올리는 타입의 능력을 속칭 '''[[브레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는 마치 드래곤이 마나를 소모해 강력한 브레스를 내뿜어 더 큰 피해를 입히는 듯한 이미지를 주었기 때문. 다만 문제는 그때 그 시절에는 [[마나 섬광]]이 있었기 때문에 이것도 빨리 꺼낼 수 있었고 펌핑하는 데미지도 무서워서 좋은 카드 취급을 받았지만, 카드가 나온지 오래되다보니 현 시점에서 저게 나올만한 턴에는 이미 오만가지 것이 다 깔려있어서 활약할 기회가 그렇게 크지 않다는 것.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만원짜리 수표로 불리기도 했었던 것이 무색하다. MTG 특유의 생물 파워 인플레의 희생자. 어찌보면 알라라의 파편에 나온 [[화염파 용]]이 더 좋을 수도 있는데, 이 녀석도 스탠다드에선 당연히 쓰이질 않았다. 안 좋은 의미에서 보자면 '''MTG에서 드래곤은 쓸데없이 마나비용만 높고 실용성이 없다'''는 관념을 자리잡게 만든 시초 중 하나. 그나마 리미티드에서는 나오는 순간 패왕으로 활약할 수 있었지만, 매직 2015부터는 부스터에서 빠지게 되면서 이젠 그마저도 불가능해졌다. 그저 지못미. 다만 [[용덕후]]들을 비롯한 컬렉터들에게는 여전히 인기있는 카드라서, 한정판 알파에 나오는 이 녀석은 '''무려 1200$''' 즈음의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이게 얼마나 대단한가 하면, 한정판에서 [[Reserved Cards]]를 제외하면 [[낙원의 새]]나 [[마나 저장실]]에 버금가(며 그다지 차이도 안 나)는 최고가. 이 녀석이 스탠다드 범위를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는 걸 생각한다면 사실상 '''스탠다드/모던에서 사용 가능한 최고가 카드'''라는 어처구니없는 결론이 나온다. === 이름 번역에 대하여 === 번역명에 관한 여러가지 문제가 있는 카드 중 하나이다. 처음에는 시바의 드래곤이라고 번역되었는데, 일단 Shivan Dragon의 Shivan 자체는 인도의 신 [[시바]]를 뜻하는 것이 맞다. From The Vault: Dragon의 책자를 보면 알 수 있는데, [[리처드 가필드]]가 어린시절 인도에서 살던 경험을 언급하며 파괴신 시바에서 유래했다고 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후 설정이 추가되며 Shiv라는 지명이 생긴 것. 즉, 시바의 드래곤 자체는 시바라고 말해도 틀렸다고 말하기 애매하지만 다른 카드들은 명백한 오역이다. 이 문제는 Shiv란 지명이 신 한국어판의 [[플레이버 텍스트]]에서 '''시바'''라 번역되며 더욱 심해졌다.~~[[마작의 제왕 테쯔야|모 만화]]에서 [[국사무쌍]]을 '''국토무쌍'''으로 잘못 읽더니 변역가가 이걸 끝까지 밀어버린 것도 아니고~~ 이름에 Shiv가 들어가는 마법진 카드 [[Shiv's Embrace]]도 역시 '시바의 포옹'이 되어버렸다. 다만 2018년 도미나리아에서는 Shivan Fire가 [[시브의 불]]로 번역, Shiv가 처음으로 '시브'로 표기되어 Shivan Dragon의 명칭도 바뀔 수 있을지 기대되었고, 결국 [[코어세트 2019|부활한 코어세트]]에서 재판되면서 공식적으로 번역명이 '''시브의 용'''이 되었다. 덤으로 Dragon이라는 단어도 예전에는 드래곤이란 원 발음 그대로 들여왔지만, 신 한글판에서는 서양권 드래곤도 '용'이라고 번역하는 추세에 맞추었다. 때문에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구 한국어판''' ||<|2> → || '''신 한국어판''' ||<|2> → || '''코어세트 2019 이후''' || || 시바의 드래곤 || 시바의 용 || 시브의 용 || ==# 수록세트 일람 #== ||<:>'''세트'''||<:>'''[[매직 더 개더링/블록|블록]]'''||<:>'''희귀도'''|| ||<:>[[Limited Edition Alpha]]||<:><|14>코어세트||<:><|22>레어|| ||<:>[[Limited Edition Beta]]|| ||<:>[[Unlimited Edition]]|| ||<:>[[Revised Edition]]|| ||<:>[[매직 더 개더링 4판]]|| ||<:>[[매직 더 개더링 5판]]|| ||<:>[[매직 더 개더링 7th Edition]]|| ||<:>[[매직 더 개더링 8th Edition]]|| ||<:>[[매직 더 개더링 9th Edition]]|| ||<:>[[매직 더 개더링 Tenth Edition]]|| ||<:>[[Magic 2010 Core Set]]|| ||<:>[[매직 2014 코어세트]]|| ||<:>[[매직 2015 코어세트]]|| ||<:>[[매직의 기원]]|| ||<:>환영 덱 2016||<:>[[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환영 덱 2017||<:>[[아몬케트]]|| ||<:>[[코어세트 2019]]||<:><|2>코어세트|| ||<:>[[코어세트 2020]]|| ||<:>비트다운 박스세트||<:><|2>기타|| ||<:>From the Vault: Dragons|| == 사용가능 포맷 == ||<:>'''포맷'''||<:>'''[[매직 더 개더링/금지 제한 카드|사용가능 여부]]'''|| ||<:>스탠다드||<:>절판 || ||<:>파이어니어||<|5><:>사용가능|| ||<:>모던|| ||<:>레거시|| ||<:>빈티지|| ||<:>[[EDH]]|| ==# 카드 배경담 #== 보시다시피 7th에서 한번 바뀐 뒤 상당히 오랫동안 유지되어왔다. 한국어판에서는 2014의 플레이버 텍스트가 2015에서 직역에 가깝게 한 번 바뀌었고, 코어세트 2019에서 번역명이 바뀌면서 새로 번역했기 때문에 변경 횟수 두 번 추가. 코어세트 2020에서는 완전히 플레이버 텍스트가 바뀌었는데, 이는 일종의 시리즈로, [[불꽃의 아가리, 드라쿠세스]]를 비롯해 코어세트 2020에 등장하는 용 관련 카드들은 전부 플레이버 텍스트가 다른 누군가의 유언으로 되어있다. ||<:>'''세트'''||<:>'''[[플레이버 텍스트]]'''|| ||<:>[[Limited Edition Alpha]]||<|7>''모든 드래곤들이 잔인한 것이 사실이지만, 특히 시바의 드래곤은 남들의 불운에 환희를 느끼면서 마치 고양이가 마지막 결정타를 가하기 전에 생쥐를 가지고 놀듯이[* 한국어판 실제 카드에서는. '놀드시'라 오타 표기되었다.] 그 희생자들을 괴롭힐 때가 많다.''|| ||<:>[[Limited Edition Beta]]|| ||<:>[[Unlimited Edition]]|| ||<:>[[Revised Edition]]|| ||<:>[[매직 더 개더링 4판]]|| ||<:>[[매직 더 개더링 5판]]|| ||<:>비트다운 박스세트|| ||<:>[[매직 더 개더링 7th Edition]]||<:><|5>''The undisputed master of the mountains of Shiv.''|| ||<:>[[매직 더 개더링 8th Edition]]|| ||<:>[[매직 더 개더링 9th Edition]]|| ||<:>[[매직 더 개더링 Tenth Edition]]|| ||<:>[[Magic 2010 Core Set]]|| ||<:>[[매직 2014 코어세트]]||<:>''시바의 주인은 당연히 용이다.''|| ||<:>[[매직 2015 코어세트]]||<:><|5>''절대적인 힘을 가진 시바 산맥의 주인.''|| ||<:>[[매직의 기원]]|| ||<:>환영 덱 2016|| ||<:>환영 덱 2017|| ||<:>From the Vault: Dragons|| ||<:>[[코어세트 2019]]||<:>''누구도 부인하지 않는 시브 산맥의 주인.''|| ||<:>[[코어세트 2020]]||<:>''"그냥 우리와 장난치고 있을 뿐이야, 마르스덴."'' ''—광휘의 다핀느, 마지막 유언''|| == 다른 일러스트 == ||[[파일:Shivan Dragon (7th Edition).jpg]]||모든 카드 일러스트가 일신된 것으로 유명한 7판의 일러스트.[br]이 이후부터 정규 팩에 등장하는 시바의 용은 전부 이 일러스트를 따르고 있다.||[[파일:Shivan Dragon (From the Vault; Dragons).jpg]]||프롬 더 볼트에서 '''유일하게''' 사용된 특별 일러스트.[br]다만 컬렉터들 사이에서는 무한정판 이전은 물론이고 심지어 7판 포일보다도 못한 취급을 받고 있다.|| == 유사 카드 일람 == [anchor(화염파 용)] === 화염파 용 === ||<:>'''영어판 명칭'''||<:>'''Flameblast Dragon'''||<|6>[[파일:Flameblast Dragon.jpg]]|| ||<:>'''한글판 명칭'''||<:>'''화염파 용'''|| ||<:>'''마나비용'''||<:><#f00>{{{#fff {4}{R}{R}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생물 — 용|| ||||비행[br][br]화염파 용이 공격할 때마다, 원하는 목표 하나를 정한다. 당신은 {X}{R}를 지불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화염파 용은 그 목표에게 피해 X점을 입힌다.|| ||<:>'''공격력/방어력'''||<:>5/5|| '''수록세트 일람''' ||<:>'''세트'''||<:>'''[[매직 더 개더링/블록|블록]]'''||<:>'''희귀도'''|| ||<:>Shards of Alara||<:>Alara||<:><|3>레어|| ||<:>Archenemy||<:>—|| ||<:>Magic 2012||<:>코어세트|| '''사용가능 포맷''' ||<:>'''포맷'''||<:>'''[[매직 더 개더링/금지 제한 카드|사용가능 여부]]'''|| ||<:>블락 컨스트럭티드||<|6><:>사용가능|| ||<:>모던|| ||<:>레거시|| ||<:>빈티지|| ||<:>[[EDH|커맨더]]|| '''카드 배경담''' ||<:>'''세트'''||<:>'''[[플레이버 텍스트|배경담]]'''|| ||<:>Shards of Alara||<:><|2>''Dragon lords of Jund rule by edicts of flame.''|| ||<:>Archenemy|| ||<:>Magic 2012||<:>''그는 불과 진노로 만들어진 강력한 입김으로 산비탈을 핥아서 영역을 표시한다.''|| [anchor(Moltensteel Dragon)] === Moltensteel Dragon === ||<:>'''영어판 명칭'''||<:>'''Moltensteel Dragon'''||<|6>[[파일:Moltensteel Dragon.jpg]]|| ||<:>'''마나비용'''||<:><#ff0000>{{{#ffffff {4}{R/P}{R/P}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마법물체 생물 — 용|| ||<-2><:>''({R/P}는 {R}나 생명 2점으로 지불할 수 있다.)'' 비행 {R/P}: Moltensteel Dragon은 턴종료까지 +1/+0을 받는다.|| ||<-2><:>''An apocalypse in dragon form.''|| ||<:>'''공격력/방어력'''||<:>4/4||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워터마크'''|| ||<:>New Phyrexia||<:>레어||<:>피렉시안|| 훗날 Scars of Mirrodin 블록의 New Phyrexia에 나온 변종으로, 소환하는 마나와 펌핑하는 마나가 일반 적마나에서 피렉시안 마나로 바뀌어서 생명점을 지불해서 펌핑할 수 있는 대신 기본 공방은 4/4로 약화되었다. 희귀도는 여전히 레어. [anchor(달의 장막의 용)] === 달의 장막의 용 === ||<:>'''영어판 명칭'''||<:>'''Moonveil Dragon'''||<|7>[[파일:Moonveil Dragon.jpg]]|| ||<:>'''한글판 명칭'''||<:>'''달의 장막의 용'''|| ||<:>'''마나비용'''||<:><#f00>{{{#fff {3}{R}{R}{R}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생물 — 용|| ||||<:>비행 {R}: 당신이 조종하는 각 생물은 턴종료까지 +1/+0을 받는다.|| ||||<:>''"저것들은 숨을 쉬고 심장이 뛰며 변신하지도 않는다. 그 정도면 산 자들의 동료로 생각해도 되겠지."[br]—[[트레이벤의 수호자 탈리아|카타르 기사 탈리아]]''|| ||<:>'''공격력/방어력'''||<:>5/5||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어둠의 강림]]||<:>미식레어|| 어둠의 강림에선 죽지도 않고 또 다른 변형이 나왔다. 자신의 조종하는 모든 생물을 펌핑할 수 있다. 다만 평판은 X미식. 발비도 그렇고 사용할 덱이 마땅치 않다. 다만 예쁜 일러스트랑 드래곤에 미식레어라는 점 때문에 [[용덕후]]들의 최소 수요는 보장되어 있다. 고블린하고 엘프 등도 다 빠진 주제에 왜 고딕호러 중심에 이 카드가 나왔냐고 하면 플레이어들이 드래곤을 너무 좋아하기 때문에. '''진짜로'''. 양키들이 좋아하는 [[용덕후]] 들의 수요를 채운다는 목적 외에는 다른 목적이 아무 것도 없는 카드다. 그래도 이렇게 한 번 선례가 나와준 덕분에 이니스트라드를 다루는 이후 세트에서도 용들은 하나둘씩 꼭 나와줬고, 그 중에서는 [[그을린 알]]이나 [[달빛장막 섭정]]과 같은 강력한 카드가 있었기 때문에 그런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도 있다. === 기타 === 능력은 좀 다르지만 이 카드의 진화형이라 할 수 있는 생물로는 Shivan Hellkite, 즉 "시바의 '''[[헬카이트|지옥룡]]'''"이 있다. 그리고 약화판으로 [[새끼 드래곤]]이 존재한다. 그리고 최종 진화형으로는 [[Hellkite Overlord]]가 존재한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아몬케트]][[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이니스트라드]][[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매직 2012 코어세트]][[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Scars of Mirro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