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나고야 철도 소속 카카미가하라선의 역, rd1=시민코엔마에역)] ||<-3> {{{+2 '''시민공원'''}}}'''(문화창작지대)'''{{{+2 '''역'''}}}[br](아인병원) || ||<-3>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30]] || || [[검단오류역|{{{#!html
검단오류 방면}}}]][[주안역|주 안]][br]← 1.0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html
인천 2호선
(I219)
}}}]] || [[운연역|{{{#!html
운연 방면}}}]][[석바위시장역|석바위시장]][br]1.0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시민공원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Citizens Park[br]{{{-2 (Culture Creation Zone)}}} || || [[한자]] ||<-2> 市民公園[br](文化創作地帯) || || [[간체자]] ||<-2> 市民公园(文化创作地带) || || [[가나(문자)|가나]] ||<-2> [ruby(市民公園, ruby=シミンゴンウォン)]([ruby(文化創作地帯, ruby=ムンファチャンジャクチデ)]) || ||<-3> '''주소''' || ||<-3>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371 ([[주안동]]) || ||<-3> '''운영 기관'''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ffffff 인천 2호선}}}]] ||<-2> [[인천교통공사]] || ||<-3> '''개업일'''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ffffff 인천 2호선}}}]] ||<-2> 2016년 7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I219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371 ([[주안동]] 189) 소재. [[인천교통공사]]가 운영.[* 건설사는 [[현대건설]]이다.(로드뷰로 시민공원역쪽을 2015년쯤으로해서 보면 알 수 있다.)] == 역 정보 == || [[파일:zrt6cZc.jpg|width=100%]]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시민공원역 [[조감도]] || 지하역으로 3층 구조이다. 대합실은 지하 1층, 지하 2층,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위치한다. 역은 '옛시민회관사거리'에 위치한다.[* [[인천 5.3 민주항쟁]]이 일어난 곳이다.] 2000년까지 인천시민회관이 있던 자리로, 이 회관은 1994년 구월동의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이 개관하기 전까지 인천광역시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존재했던 대형 공연장이자 컨벤션 장소였다. [[2000년]]에 회관 건물을 헐고 근린공원인 '옛시민회관쉼터공원' (또는 ''''시민공원'''')을 조성해놓은 곳이기에 '시민공원'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회관이 철거된지 20년이 다 되어가는 [[2020년]] 현재도 이곳은 시민회관이나 시민회관사거리로 불리고 있다. 특히 어르신들에겐 아직도 그렇게 불리고 있어서 시민공원이라고 하면 잘 모를 수 있다. 심지어 이곳에서 오랫동안 거주한 20~30대 젋은층들도 이곳을 시민회관사거리로 불리고있다. 이 역과 인천 2호선 주안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이 존재하며, 해당 구간에서는 속도를 줄여 운행한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주안역]]과 옛 시민회관사거리를 직선으로 잇는 [[미추홀대로]] 밑이 아닌, 그 옆의 좁은 길인 주안서로 밑으로 [[주안역]]과 이어진다. 그 이유를 추측하자면, 시민공원역의 위치가 옛시민회관사거리 바로 오른쪽인지라 미추홀대로를 경유할 경우 급곡선 상에 역을 만들 수 없어서 역간 거리 유지를 위해 시민공원역이 약 200m 정도 오른쪽으로 밀려날 우려가 있고, 또 한편으로는 미추홀대로가 교통량이 상당하여 공사 기간 동안 엄청난 교통 체증에 시달렸을 것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미추홀대로 밑에 지하상가가 있어서 지하상가 밑으로 뚫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기에 지금의 경로가 선택된 것이다. 지도만 보면 출구가 두 곳밖에 없으나, 옛시민회관사거리 밑에 있는 '주안시민지하도상가'가 이 역과 직접 연결되어있어 이 지하도가 사실상 시민공원역의 서/남/북측 방향 출구 역할을 하고있다. 시민공원역 2번 출구가 [[포레나 인천미추홀]]과 아인애비뉴, 아인여성병원과 직결되어 개찰구를 지나면 바로 건물로 진입할 수 있다. 2023년 11월부터 12월까지 1번 출구가 캐노피 보수공사로 인해 임시 폐쇄되었다. 1번 출구 쪽으로 이동하려면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지하상가 4번 출구를 대신 이용하면 된다. == 역 주변 정보 == 시민공원역 상부는 [[42번 국도]]와 [[46번 국도]]로 중복 지정된 [[경인로]] 구간이다. 서쪽으로는 [[인천역]]까지 42번 국도와 46번 국도가 중복해서 지나가며, 동쪽으로는 [[간석오거리역]]까지 42-46번 국도가 중복해서 가다가 간석오거리역에서 경인로는 북쪽으로 진행하는 [[46번 국도]]로, 42번 국도는 남동쪽으로 진행하는 [[수인로]]로 갈라진다. 역 서쪽에는 [[미추홀대로]]가 경인로와 남북으로 교차하고 있다. 미추홀대로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공사중일 때는 시민공원역 쪽 구간이 왕복 5차로였지만, [[주안 2,4동 일원 재정비촉진지구]] [[재개발]]에 따라 왕복 8차로로 확장됐다. 미추홀대로 서쪽 재개발이 진행되면 왕복 10차로의 광폭 대로로 확장될 예정이다. ||[[파일:아인여성병원 전경.jpg|width=100%]]||[[파일:아인애비뉴.jpg|width=100%]]|| ||<-2> '''{{{#fff 주변 시설}}}''' || 시민공원역 2번 출구에서 [[포레나 인천미추홀]] 단지 시설을 비롯하여 아인병원, 아인애비뉴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파일:주안2,4동 재개발.jpg|width=100%]] 시민공원역 [[역세권]]은 '''[[주안 2,4동 일원 재정비촉진지구]]'''로 역세권 전체가 [[재개발]]구역이다. [[2018년]] [[11월]] [[한화건설]]의 [[포레나 인천미추홀]](864세대)을 시작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있다. [*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주안]](2,958세대), [[주안 센트럴 파라곤]](1,314세대)] 이 일대의 재개발이 완료되면 '''1만 7,000세대'''의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한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인천 도시철도 2호선|[[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6년 || 9,554명 || [* 개통일인 7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7년 || 12,086명 || || || 2018년 || 13,591명 || || || 2019년 || {{{#f5a251 14,535명}}} || || || 2020년 || 11,081명 || || || 2021년 || 12,154명 || || || 2022년 || 13,795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ictr.or.kr/main/board/data.jsp|인천교통공사 자료실]] || }}}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12,086명으로 인천 2호선 전체 4위의 높은 승하차 인원 수를 보인다. 이곳은 [[경인로]]와 [[미추홀대로]]가 만나는 곳으로, 전통적으로 [[미추홀구]]에서 주안역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던 곳이었다. 미추홀대로를 따라 주안역 번화가가 이어지는 곳이라 유동인구가 많고, 또한 주안역을 경유하는 상당수의 버스가 시민공원역을 지나가도록 되어있다는 점이 많은 승객을 끌어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2020년대]] 들어서 본격화한 [[주안 2,4동 일원 재정비촉진지구]] 사업에 따라 이용객 수 추이가 급변하고 있다. [[2023년]] [[8월]]의 시민공원역 승하차량은 전년 동월(2022년 8월) 승하차량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를 보여주기도 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419190|관련 출처]] [[주안 2,4동 일원 재정비촉진지구]](미추X구역 시리즈)가 완료되면 시민공원역 일대에 17,000여 가구의 [[아파트]]와 [[주상복합]]이 들어서는 [[미추홀구]] 일대의 최고 중심지가 된다. == 승강장 == || [[파일:시민공원역이용안내도.png|width=500]] || || 역 이용 안내도 || ||<-4> [[주안역|주안]]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석바위시장역|석바위시장]] || || {{{#ffffff 상}}} ||<|2>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주안역|주안]]·[[석남역|석남]]·[[검암역|검암]]·[[검단오류역|검단오류]] 방면|| || {{{#ffffff 하}}} ||[[만수역|만수]]·[[남동구청역|남동구청]]·[[인천대공원역|인천대공원]]·[[운연역|운연]] 방면|| 시민공원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기타 == [[1986년]] [[5월 3일]]에 이 역 일대인 옛 시민회관 사거리에서 [[인천 5.3 민주항쟁]]이 일어났다. == 사건 사고 == * 2017년 [[5월 18일]] 화재 감지기가 잘못 작동돼 화재 경보와 함께 역사 연결통로의 방화 셔터가 내려오는 소동이 빚어지면서 시민들이 큰 혼란을 겪었다. * [[2019년]] [[4월 4일]] 고등학생 무리로 보이는 패거리와 일반인 3명이서 시비가 붙어 몸싸움이 벌어지는 소동이 있었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인천 도시철도 2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인천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미추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