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적자 83선)] [include(틀:특정지방교통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일본국유철도|[[파일:JNR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일본국유철도|{{{#ffffff 일본국유철도}}}]]}}}|| ||<-2><:>{{{#c0c0c0 '''{{{+1 [ruby(白, ruby=しら)][ruby(糠, ruby=ぬか)][ruby(線, ruby=せん)]}}}'''[br]Shiranuka Line | 시라누카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62e3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폐선)]|| ||<-2><:>[[파일:JNR-Hokushin-Sta-from-north-end.jpg|width=100%]] ---- [[키하 56형 동차]]|| ||<-2><:>{{{#ffffff '''노선도'''}}}|| ||<-2><:>{{{#!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시라누카선_노선도_2.png|width=80%]] }}}}}}|| ||<-2><:>'''{{{#ffffff 노선 정보}}}'''|| ||<:>'''분류'''||폐선|| ||<:>'''기점'''||[[시라누카역]]|| ||<:>'''종점'''||[[호쿠신역]]|| ||<:>'''역 수'''||7|| ||<:>'''개업일'''||[[1964년]] [[10월 7일]] || ||<:>'''폐선일'''||[[1983년]] [[10월 23일]] || ||<:>'''소유자'''||<|2>[[일본국유철도|[[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width=230]][br]{{{#808080 일본국유철도}}}]]|| ||<:>'''운영자'''||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33.1km|| ||<:>'''궤간'''||1067mm|| ||<:>'''선로구성'''||단선|| ||<:>'''사용전류'''||비전화|| {{{+1 白糠線 / Shiranuka Line}}} [목차] [clearfix] == 개요 == 1964년부터 1983년까지 [[일본국유철도]]가 운영하던 [[특정지방교통선]]이다. == 역사 == === 시라누카선이 건설되기까지 === [[시라누카초]] 북쪽에 있던 니호 지역에 철도를 놓는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계획되있던 노선이었다. 첫 계획 때는 [[센모 본선|쿠시로 본선]]의 [[마슈역|테시카가역]][* 현재 [[센모 본선]]의 [[마슈역]]]에서 치호쿠선[* 제3섹터로 [[홋카이도 치호쿠 고원철도 고향은하선|고향은하선]]으로 바뀐 이후 [[2006년]] 폐선] [[혼베츠역]]까지를 이을 예정이었다. 하지만, 2차 대전 이후로 계획이 변경되어 [[시라누카역]]에서 니호를 거쳐 [[아쇼로역]]까지 연장하는 시라누카선으로 계획이 바뀌게 되었다. 이 계획은 1953년에 철도부설법에 포함되게 되고, 장기적으로는 [[아쇼로역]]에서 [[신토쿠역]]을 잇는 가칭 [[키타토카치선]]과 연결하여 [[네무로 본선]]의 바이패스 역할을 할 계획까지 세웠다. 또한, 이 노선의 라완역에서 카미아쇼로를 거쳐 [[아이오이선]]의 [[키타미아이오이역|키타미아이오이]]까지 연결하는 지선 계획까지 세워졌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긴축 재정으로 인해 착공식은 4년 뒤인 [[1957년]]에 치러지게 된다. 또한, 1958년에는 아쇼로까지의 구간 역시 착공식이 거행되었다.[* 다만 시라누카선의 아쇼로 구간 착공은 쿠시로 탄전의 실업 대책에 의한 것이라는 의견 역시 있다.] 이후, [[1964년]]에 시라누카 ~ 카미챠로 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1972년]]에는 카미챠로에서 호쿠신까지 역시 개통되었다. === 폐선 === 하지만, 일본 정부가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석탄산업을 사양화하는 정책을 잇따라 내놓음에 따라 이 노선의 미래는 급격히 어두워졌다. 노선 연선에 있는 탄광을 보고 노선을 만든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특히나 시라누카선에게는 이 정책에 더더욱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연선의 탄광이 계속 폐광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빠져나가고 있었고, [[아쇼로역]]에서 만날 예정이었던 [[키타토카치선]] 역시 건설이 좌절되면서 이 노선에는 어둠이 드리우게 되었다. 결국, 1972년 호쿠신까지의 개업 이후 아쇼로까지의 연장에 필요한 예산을 전액 삭감해버리면서 이후 연장은 물거품이 되어버렸다. 안 그래도 국철 적자 순위 1위에 들락날락하는 노선이었기에, 폐지 이야기가 나와도 연선 지자체에서 딱히 큰 움직임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 노선은 전 구간이 [[시라누카초]] 안에서만 운행하고 있었는데, 시라누카초마저도 폐지에 반대하는 이유가 [[미성선]]이라는 것밖에 내세우지 않았고, 이마저도 실제로는 시라누카초 설치 100주년인 [[1984년]]을 시라누카선 폐선의 해로 만들고 싶지 않았을 뿐이였다. 오히려 폐지시 나오는 전환교부금을 빨리 받아야 한다는 이유로 시라누카초가 폐선 논의에 '''적극적으로 임하면서''' 논의 6개월만에 버스 대체의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노선이 유독 폐선이 빨랐던 이유는 앞서 이야기한 연선 지자체의 폐지에 대한 반발이 크게 없었던 것도 있었지만, 다른 이유도 차고 넘쳤다. 이미 시라누카선 바로 옆에는 [[일본 395번 국도|395번 국도]]가 병행하고 있어서 버스 노선 선정에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노선 건설을 위해 용지를 빌려준 농민들도 그 노선이 10년만에 폐지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반발이 있지는 않았다. 개업하고 폐선될때까지 매년 국철 적자순위 최상위권을 차지하던 노선이었기에, 오히려 연선 주민들도 포기하고 '폐선되기 전에 한 번쯤은 타주자'라는 분위기가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결국, 1983년 10월에 시라누카선은 개업 19년만에 폐선되었으며, [[특정지방교통선]] 중 폐선되는 첫 노선이라는 타이틀을 담과 동시에 앞으로 있을 수많은 지방 철도 노선들의 폐선을 예고하게 되었다. == 역 목록 == * 전 구간 [[홋카이도]] [[시라누카군]] [[시라누카초]] 소재. ||<-5><:>{{{#ffffff '''일본국유철도 시라누카선'''}}}|| ||<:>{{{#ffffff 역명}}}||<:>{{{#ffffff km}}}||<:>{{{#ffffff 승강장}}}||<:>{{{#ffffff 환승노선}}}|| || [[시라누카역|시라누카]] [br] 白糠 || 0.0 || 2면 3선 ||¶[[JR 홋카이도]] [[네무로 본선]] || || [[카미시라누카역|카미시라누카]] [br] 上白糠 || 6.0 || 1면 1선 || || || [[쿄에이역|쿄에이]] [br] 共栄 || 9.5 || 1면 1선 || || || [[챠로역|챠로]] [br] 茶路 || 11.8 || 1면 1선 || || || [[누이베츠역|누이베츠]] [br] 縫別 || 19.3 || 1면 1선 || || || [[카미챠로역|카미챠로]] [br] 上茶路 || 25.2 || 1면 1선 || || || [[시모호쿠신역|시모호쿠신]] [br] 下北進 || 30.7 || 1면 1선 || || || [[호쿠신역|호쿠신]] [br] 北進 || 33.1 || 1면 1선 || || [[분류:일본의 폐지된 철도 노선]] [[분류:1964년 개업한 철도 노선]] [[분류:1983년 폐지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