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성도]][[분류:칭하이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중국의 성도)] [include(틀:칭하이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칭하이성|{{{#000,#ddd 칭하이성}}}]]의 성도'''}}} || ||<-3> {{{#ff0 '''{{{+1 [ruby(西宁, ruby=Xīníng)][ruby(市, ruby=Shì)] | ཟི་ལིང་། | ᠰᠢᠨᠢᠩ}}}་'''[br]시닝시 | Xini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시닝시,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칭하이성]] 시닝시 청중구 난관제43호[br]青海省西宁市城中区南关街43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7,372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5구 2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2,467,965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335명/km² || ||<-2> '''{{{#ffff00 서기}}}''' || () || ||<-2> '''{{{#ffff00 시장}}}''' || 쿵링둥(孔令栋)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81억 6,900만 ^^(2015)^^ || || '''{{{#ffff00 1인당}}}''' || $7,897 ^^(2015)^^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정향]], [[튤립]] || || '''{{{#ffff00 시목}}}''' || [[버드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青A'''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湟'''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3'''01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71''' || ||<-2> '''{{{#ffff00 우편번호}}}''' || '''810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QH-01''' ||}}}}}}}}} || ||<-3> [[http://www.xining.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서부 [[칭하이성]]의 [[지급시]]. 인구는 230만명으로 [[티베트 고원]] 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칭하이성의 성도이다. [[시안시]]에서 서북쪽으로 600km, [[란저우]]에서 서북쪽으로 170km 떨어진 분지에 위치해 있는 시닝은 [[황하]]의 지류인 황수이 강(湟水)에 접해 있다. 시닝(西寧)의 뜻을 풀어보면 '서부 지방의 안녕을 빈다'라는 뜻인데, 763년부터 이어진 [[토번]] - [[서하]]의 지배 이후 도시를 회복한 [[북송]] 대에 붙여진 이름이다. 시내에서 서쪽으로 70km만 가면 칭하이성의 어원이 된 칭하이 호수가 나온다. == 칭하이성의 성도 == 본래 이 곳의 이름은 청당(青唐)이었다.[* 당시 청당성 유지가 아직 시닝시 내에 남아있다.] [[한나라]] 대에 중국의 영토가 되었으나 [[강족]] 및 [[티베트]]와 해당 지역을 놓고 숱하게 싸웠던 지역으로, [[오호십육국시대]] 때는 [[선비족]]의 일파인 [[독발부]]가 차지하여 [[남량]]을 건국하기도 하였다. 북위때는 선선진(鄯善镇)이 존재하였으며 해당 지역은 선주(鄯州)로 명칭이 교체된다. [[수나라]] 대에는 서평군(西平郡)이 존재하였으며, [[당나라]] 대에는 선주(鄯州)로 명칭이 돌아가기도 하였다. 안사의 난 시기 토번군에게 점령당하고 서하의 지배 하에도 있었으나, 북송군이 이 곳으로 진출하여 이 곳을 비롯한 3천 리를 개척할 때 서녕주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동관(북송)|동관]]이 이끄는 군대가 청당 일대를 개척했다.] 그러나 정강의 변으로 인해 서하에 다시 빼앗겼다. 원래는 [[간쑤성]] 소속이었으나 티베트 통치를 위하여 [[청나라]] 때 일부러 한족 인구가 많은 시닝을 칭하이에 편입시켰다. 1927년에는 대지진으로 4만명이 사망하는 피해를 겪었다. 1945년에는 시가지 지역이 시닝시로 분리 승격되었고, 이듬해에 잔존 시닝현을 황중현으로 개칭하였다. 2020년에 황중현은 시닝시의 시할구로 전환되었다. 칭하이성의 성도인 시닝은 [[티베트 고원]](靑藏高原)의 동쪽 끄트머리에 자리하여 성도로서 동북으로 너무 치우쳐 있긴 하다. 다만 워낙 다른 도시들에 비해 넘사벽인 인구, 인지도, 인프라 덕에 어쩔 수 없다. 관광지로는 16세기에 지어진 쿰붐 모스크와 동관 모스크, 그리고 도시를 두른 성벽이 있다. == 교통 == 시내 동쪽에는 시닝 차오자바오 국제공항(西宁曹家堡国际机场)이 있다. 국제선의 경우 [[수완나품 국제공항]]과 [[깜라인 국제공항]]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일반철도의 경우 다음과 같은 주요역과 노선이 있다. * [[시닝역]](西宁站): [[칭짱철도]](青藏铁路), 란칭철도(兰青铁路), 닝다철도(宁大铁路), 란신고속철도(兰新客运专线) == 여담 == [[파일:중국 시닝.jpg]] 1380년에 세워진 후 근래에 중건된 동관 모스크 이곳은 티베트에 가깝지만 이슬람교를 믿는 [[회족]]이 많다. 원명교체기 및 명나라 초기 귀순한 무슬림 유목민족들을 대개 간쑤성 서부에 [[둔전]]을 주고 정착시켰는데 이들이 한족과 동화되어 한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회족이 된 경우이다. 이 외에도 일부 티베트계 부족들이 이슬람화한 경우도 있다. 대체로 중국의 회족은 매우 세속화되어 있어서 [[닝샤 후이족 자치구]]를 빼면 일반 중국인과 다를 바 없는 사람이 많지만, 이곳의 회족은 독실한 사람이 많고 시닝시를 가보면 히잡을 쓴 여성이나 무슬림용 모자를 쓰고 다니는 남성도 상당히 눈에 띤다.